DOI QR코드

DOI QR Code

사회여론에 대한 법관의 인식: 법관 대상 FGI에 대한 근거이론 분석과 토픽 모델링 비교

Judges'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Comparing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in Analyzing Focused Group Interview with Judges

  • 강태경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 투고 : 2022.03.25
  • 발행 : 2022.03.31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직 법관 24명을 대상으로 법관들이 재판과 관련하여 사회여론을 어떻게 개념화하는지와 사회여론에 대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에 대한 초점 집단 면접(FGI)을 실시하고, 인터뷰 내용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과 구조적 토픽 모델링(STM)을 수행하였다.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사회상규, 사회통념, 법감정, 국민정서를 여론과 개념적으로 구분하였고, 여론을 특정한 법적 쟁점이나 사건에 대한 일시적이고 감정적인 반응과 정책에 대한 지속적인 의견으로 구분하여 이해하였다. 그리고 사건의 종류나 법적 쟁점에 따라 여론이나 사회통념에 대해 다른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픽 모델링 결과는 근거이론적 분석 결과와 상당한 유사성을 보였고, 특정 토픽의 발현 가능성은 연구 참여자들의 담당 사건 종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In this study, focused group interviews with 24 incumbent judges were conducted on how they conceptualize public opinion and what attitude they take toward it in relation to judicial trials.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STM).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judges distinguished concepts such as social rules, socially accepted ideas, legal emotion, and public mood from public opinion, and subdivided public opinion into temporary and emotional reactions to specific legal cases and consistent attitudes toward law and polic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udges' attitudes toward public opinion and social norm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ases or legal issues. Topic modeling results significantly corresponded to the grounded theory results. In this model, the effects of the types of cases dedicated to participants on topical prevale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지현. (2019). 인터넷상 여론조작의 실태와 규제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비교형사법연구, 21(1), 287-315. https://doi.org/10.23894/KJCCL.2019.21.1.011
  2. 공영호. (2015). 재판 전 퍼블리시티가 국민참여재판에 미치는 영향 - 미국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홍익법학, 16(3), 483-504. https://doi.org/10.16960/JHLR.16.3.201509.483
  3. 김병수. (2015). 유무죄판단과 양형심리의 분리를 통한 공정한 국민참여재판의 실현. 형사법연구, 27(1), 109-145. https://doi.org/10.21795/KCLA.2015.27.1.109
  4. 김웅규. (2013). 공적 사안(matter of public concern)의 규범적 의미. 홍익법학, 14(2), 191-220. https://doi.org/10.16960/JHLR.14.2.201306.191
  5. 김청택. (2019). 빅데이터를 이용한 심리학 연구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8(4), 519-548. https://doi.org/10.22257/KJP.2019.12.38.4.519
  6. 김현석. (2019). 재판의 진행·판단에서 법관의 정서에 관하여. 법조, 68(1), 254-306. https://doi.org/10.17007/KLAJ.2019.68.1.009
  7. 김현섭.박은정. (2017). 법관의 직무수행을 위한 덕목의 실증적 분석 및 실천방법론. 법원행정처 연구용역보고서.
  8. 박은정.강태경. (2016). 법관의 자기이해에 관한 경험적 연구. 법과 사회, 53, 185-221.
  9. 박은정.강태경.김현섭. (2015). 바람직한 법관상의 정립과 실천방안에 대한 연구. 법원행정처 연구용역보고서.
  10. 박종현. (2016). 헌법질서 내에서의 법원의 지위와 역할. 헌법학연구, 22(1), 1-38.
  11. 백영민. (2020). R를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개정판. 한울.
  12. 손병덕.김민선.허계형. (2020). 토픽분석을 활용한 진로개발활동으로서의 청소년 동아리활동 지원사업의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27(5), 253-275
  13. 유은정. (2012). 미국연방대법원, 사법심사 그리고 국민. 강원법학, 36, 309-348. https://doi.org/10.18215/KWLR.2012.36..309
  14. 윤진수. (2003). 법관의 윤리. 서울대학교 법과 대학 편, 法律家의 倫理와 責任. 박영사, 137-155.
  15. 이상돈. (2016). 소통적 합리성과 법관상의 변화-법해석의 합리성을 중심으로. 법철학연구, 19(1), 61-98.
  16. 이상윤a. (2009). 법전문가의 법의식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7. 이상윤b. (2020). 법관의 진솔에 관한 소고. 법철학연구, 23(1), 235-286. https://doi.org/10.22286/KJLP.2020.23.1.007
  18. 이세정.이상윤. (2008). 2008 국민법의식 조사연구. 한국법제연구원.
  19. 이정숙.박진영. (2020).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마을활동가의 성장경험과 성장의 의미 분석. 인문사회 21, 11(1), 693-704.
  20. 이진리.박승우. (2021). 1970년대 새마을 담당 공무원의 역할 구조 분석 - 토픽모델링 기법을 사용한 심층 면접 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자치행정학보, 35(4), 45-65. https://doi.org/10.18398/KJLGAS.2021.35.4.45
  21. 이태헌.김청택. (2004). LSA 모형에서 다의어 의미의 표상. 인지과학, 15(2), 23-31.
  22. 장재윤.최연재.강지연. (2020). 국내 ICT 업종 종사자들의 직장에 대한불만 요인 분석 및 전/현직자 간 차이 분석: 토픽 모델링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9(3), 445-480. https://doi.org/10.22257/KJP.2020.9.39.3.445
  23. 조규락.김선연. (2016). 법관의 역할과 역량 분석. 직업교육연구, 35(5), 201-229.
  24. 최성진. (2010). 현대사회에 있어서 형법의 이원화 경향. 형사정책연구, 83, 281-310.
  25. 최우철.박서하.노승국. (2021). '중형선고' 논란에 따른 형벌포퓰리즘에 대한 실증 연구: 비정형 빅데이터 분석방법론의 적용. 한국범죄학, 15(1), 131-148.
  26. 추지현. (2017). 엄벌주의 보편성에 대한 비 판적 검토. 형사정책연구, 28(2), 155-179.
  27. 하봉준. (2013). 광고 조사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
  28. 홍영오.이영주.허태균.김나경.윤상연. (2014). 형사정책과 사법제도에 관한 연구 (VII): 사법판단에서 실체적 진실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식. 형사정책연구원.
  29. 홍영희. (2019). 소프트웨어 (SW) 교육 정책에 대한 토픽 분석: 부산지역 종합지를 중심으로. 통계연구, 24(2), 52-77. https://doi.org/10.22886/JKOS.2019.24.2.52
  30. Baumer, E. P., Mimno, D., Guha, S., Quan, E., & Gay, G. K. (2017). Comparing grounded theory and topic modeling: Extreme divergence or unlikely convergence?. Journal of the As 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8(6), 1397-1410. https://doi.org/10.1002/asi.23786
  31. Blei, D., & Lafferty, J. (2006). Correlated topic model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 ing systems, 18, 147.
  32. Boaventura De Sousa Santos. (1995). Toward a New Common Sense. Law, Science, and Politics in the Paradigmatic Transition. Routledge.
  33. Charmaz. K. (2014). Constructing grounded theory, 2nd. SAGE.
  34. Collins, T. A., & Cooper, C. A. (2016). The Case Salience Index, Public Opinion, and Decision Making on the US Supreme Court. Justice System Journal, 37(3), 232-245. https://doi.org/10.1080/0098261X.2015.1130105
  35. Dworkin, R. (1977). Taking Rights Seriously. Harvard University Press.
  36. Dworkin, R. (1986). Law's Empire. Harvard University Press.
  37. Giles, M.W., Blackstone, B., & Vining Jr, R.L. (2008). The Supreme Court in American democracy: Unraveling the linkages between public opinion and judicial decision making. The Journal of Politics, 70(2), 293-306. https://doi.org/10.1017/S0022381608080316
  38. Glaser, B.G. (1965).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of qualitative analysis. Social Problems, 12, 436-445. https://doi.org/10.2307/798843
  39. Glaser, B.G., & Strauss, A.L.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De Gruyter.
  40. Hart, H. L. A. (1997). The Concept of Law. Oxford University Press.
  41. Hornik, K., & Grun, B. (2011). Topicmodels: An R package for fitting topic models. Journal of statistical software, 40(13), 1-30.
  42. Johnson, B., & Strother, L. (2021). TRENDS: The Supreme Court's (Surprising?) Indifference to Public Opinion. Political Research Quarterly, 74(1), 18-34. https://doi.org/10.1177/1065912920958080
  43. Leahu, L., & Sengers, P. (2014). Freaky: performing hybrid human-machine emotion. In Proceedings of the 2014 conference on Designing interactive systems, 607-616.
  44. Mack, K., Anleu, S. R., & Tutton, J. (2018). The judiciary and the public: Judicial perceptions. Adelaide Law Review, 39(1), 1-35.
  45. Posner, R.A. (2008). How Judges Think. Harvard University Press.
  46. Rawls, J. (2005). Political Liberalism, expanded edition. Columbia University Press.
  47. Roberts, M.E., Stewart, B.M., Tingley, D., Lucas, C., Leder-Luis, J., Gadarian, S.K., Albertson, B. and Rand, D.G. (2014), Structural Topic Models for Open-Ended Survey Respons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8: 1064-1082. https://doi.org/10.1111/ajps.12103
  48. Schmiedel, T., Muller, O., & vom Brocke, J. (2019). Topic modeling as a strategy of inquiry in organizational research: A tutorial with an application example on organizational cultur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22(4), 941-968. https://doi.org/10.1177/1094428118773858
  49. Tamanaha. B.Z. (2004). On the Rule of Law. History, Politics, The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