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신천, 안성진, 성영훈, 정영식, 김영애, 서정희, 박세영 (2019). 해외 소프트웨어교육 운영 현황에 대한 실증자료 분석 리포트. KERIS 이슈 리포트, 2019(3).
- 강주영, 김동화 (2020). 중등 수학 영재의 독창성에 관한 고찰. 과학영재교육, 12(3), 212-225.
- 교육부 (2015a).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8번].
- 교육부 (2015b). 제2차 수학교육 종합 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5.03.16.).
- 권오남, 박정숙, 박지현, 조영미 (2005). 시리즈 A: 개방형 문제 중심의 프로그램이 수학적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수학교육, 44(2), 307-323.
- 김나리, 서용현, 조한혁 (2018). 코딩수학 내용 및 환경 설계-수학화와 컴퓨팅 사고력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4), 647-673.
- 김동화, 김영아, 강주영 (2018). 중등수학영재의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고찰.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34(4), 429-449. https://doi.org/10.7858/EAMJ.2018.029
- 김병수 (2014). 계산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PPS기반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 김부윤, 이지성 (2007).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관점 연구. 수학교육, 46(3), 293-302.
- 김상룡 (2002). 초등수학에서 동화의 활용 방안 탐색. 초등수학교육, 6(1), 29-40.
- 김언주 (1997). 창의력 사고에 있어서 정서의 문제. 창의력교육연구, 1(2), 171-189.
- 김영직 (2020). 문제해결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 테스트 중심 문제해결(CT-TDPS) 학습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예미, 고호경, 허난 (2020). 파이썬을 활용한 중학교 1학년 소인수분해의 수학과 코딩 융합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4(4), 563-585.
- 김원준, 김은아, 오세경 (2019). 유아코딩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4(2), 307-337.
- 김유경, 방정숙 (2015). 수학 기반 융합 수업 모형의 가능성 탐색. 初等 數學敎育, 18(2), 107-122.
- 김종진 (2011). EPL을 이용한 창의성 증진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김판수 (2008).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영재교육연구, 18(3), 465-496.
- 김홍원, 박경미, 김수환, 김신영, 채선희 (1997). 창의력 신장을 돕는 중학교 수학과 학습평가 방법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남승인, 류성림, 신준식, 우동하, 이용희 (2016). 수학영재교육: 이론과 실제. 경문사.
- 류성림, 이종학, 윤마병, 김학성 (2018). 초등학교 영재교육을 위한 수학.과학 중심의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융합학회논문지, 9(10), 217-228.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217
- 류희찬, 장인옥 (2010).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0(4), 459-476.
- 문성재, 노정원, 노예솔, 이경화(2019).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58(4), 545-566.
- 문용린 (2010). 배려와 나눔을 실현하는 창의인재육성을 위한 창의.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 박대륜, 유인환 (2018).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 활용 파이썬 학습 모형 개발.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57-366.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57
- 박성현 (2002). 컴퓨터과학을 위한 수학교육.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재현 (2014). 평이한 정형문제를 통한 창의성 수준과 성향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박주연 (2015). Scratch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몰입, 학습 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서용현 (2019). 초중등 연계 코딩수학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신동조, 고상숙 (2019). 수학교육에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의 의미 및 연구 동향 탐색. 수학교육, 58(4), 483-505.
- 신수범 (2015). 스크래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향상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0(11), 191-197. https://doi.org/10.9708/JKSCI.2015.20.11.191
- 심광섭, 심성아 (2018). 파이썬 코딩을 도입한 수학 교과 지도 방안 개발-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 교과의 '소인수분해' 내용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73, 43-64.
- 안성진 (2015). Computational Thinking에 대한 이해, 정보문화포럼 2015년 연구보고서.
- 양재명, 이원규, 김자미, 윤일규, 서정희, 우호성, 양혜지, 김민정, 최희정 (2017). 2017년도 소프트웨어(SW)교육 연구학교 현황 및 효과성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유정호 (2015). 수학 내용 기반의 코딩 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유중현, 김종혜 (2008).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정보과학적 사고 능력에 대한 개념적 고찰, 정보창의교육논문지, 2(2), 15-24.
- 이경화 (2015). 수학적 창의성. 경문사.
- 이대현 (2012). 수학적 창의성의 요소와 창의성 개발을 위한 수업 모델 탐색.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6(1), 39-61.
- 이도영, 정종인 (2018). 중학교 수학 통계 영역과 파이썬(Python) 프로그래밍 융합수업이 문제해결력과 교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0(4), 336-344. https://doi.org/10.5762/KAIS.2019.20.4.336
- 이승우 (2020). 프랑스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분석: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2(1), 125-159.
- 이은석 (2013). LOGO에서 별다각형 그리기를 활용한 초등수학영재교육 학습 지도 자료 개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이재호, 장준형 (2018). 컴퓨팅 사고력 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탐색. 창의정보문화연구, 4(3), 273-283. https://doi.org/10.32823/JCIC.4.3.201812.273
- 이재호, 장준형 (2020). 일반학생과 영재학생의 소프트웨어교육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신장 효과 비교 분석. 영재교육연구, 30(1), 55-64.
- 이지성 (2006). 수학적 창의성의 창의적 태도에 대한 측정 도구의 개발과 적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장인옥 (2010). LOGO를 이용한 프로젝트 학습에서 나타난 초등 수학 영재 학생들의 전략적 사고와 교사 역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전영국 (2015). 컴퓨터 프로그래밍과 창의성 발현 활동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NetLogo 기반의 계산적 사고 중심으로.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8(3), 1-14.
- 정인우, 조한혁 (2020). 3차원 좌표계 기반 코딩환경을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발현 방안: 코딩과제 설계 및 코드표현의 분석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22(1), 161-181.
- 정진주 (2020).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초등 수학 영재용 학습 자료 개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지현경 (2021).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한 교과-소프트웨어융합 수업설계 모형 개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최인선 (2012). 수학적 창의성 연구에 대한 고찰. 한국수학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2), 29-32.
- 황우형, 최계현, 김경미, 이명희 (2006). 수학교육과 수학적 창의성.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E 수학교육 논문집, 20(4), 561-574.
- 황혜진 (2016). 스크래치를 활용한 방과후 융합인재교육(STEAM) 수학수업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Becker, J. P., & Shimada, S. (1997). The open-ended approach: A new proposal for teaching mathematics. Reston, VA: NCTM.
- Clement, D. H., Battista, M. T., & Sarama, J. (2001). Logo and geometr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Monograph, 10, i+1-177. https://doi.org/10.2307/749924
- Ervynck, G. (1991). Mathematical creativity. In D. Tall.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42-53).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 Haylock, D. W. (1987). A framework for assessing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children.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18(1), 59-74. https://doi.org/10.1007/BF00367914
- CSTA & ISTE. (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for K-12education. Retrieved June 17, 2019, from http://csta.acm.org/Curriculum/sub/CurrFiles/CompThinkingFlyer.pdf
- Krutetskii, V. A. (2014). 수학적 능력의 심리학 [송상헌, 임재훈, 권석일, 남진영, 정영옥, 서동엽, 김성준, 김지원, 역] (원본 출간년도 : 1976). 서울 : 경문사.
- Lee, K. H. (2017). Convergent and divergent thinking in task modification: A case of Korean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exploration. ZDM, 49(7), 995-1008. https://doi.org/10.1007/s11858-017-0889-x
- Polya, G. (1957). How to solve it: A new aspect of mathematical method(2nd). (Ed.), 우정호 (역) (2008). 어떻게 문제를 풀 것인가. 교우사.
- Silver, E. A. (1997). Fostering Creativity through Instruction Rich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ZDM, 29(3), 75-80. https://doi.org/10.1007/s11858-997-0003-x
- Sriraman, B. (2005). Are giftedness and creativity synonyms in mathematic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1), 20-36. https://doi.org/10.4219/jsge-2005-389
- Tall, D. (1991).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류희찬, 조완영, 김인수(역)(2003). 고등수학적 사고. 경문사.
- Wing, J. M. (2006). Computational thinking. Communications of the ACM, 49(3), 33-35. https://doi.org/10.1145/1118178.1118215
- Wing, J. M. (2017). Computational thinking's influence on research and education for all. Ital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5(2), 7-14.
- Wolfram. C. (2020). The Math(s) Fix: An Education Blueprint for the AI Age-Wolfram Media. Wolfram Media,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