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 중심으로

The Analysi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Government-designated and Authorized Teacher's Guides of Elementary School Science for the 3rd~4th Grades

  • 투고 : 2022.07.21
  • 심사 : 2022.08.22
  • 발행 : 2022.08.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지도서 8종의 총론 그리고 각론의 지구와 우주 영역 4개 단원의 단원 목표, 단원 평가, 차시 목표 및 차시 평가에서 다루어진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 분석을 통해 향후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5종(62.5%)이 총론에서 과학적 태도와 행동 요소에 대해 매우 간략하게 설명하고 있고 이에 대해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한 지도서 3종도 이에 대한 지도 및 평가를 위한 실제적인 정보는 미흡한 편이다; 둘째, 지도서 각론 4개 단원의 단원 목표의 경우 지도서 5종(62.5%)은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비판성, 증거의 존중 중 3~4가지 행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고 그 나머지 지도서 3종(37.5%)은 행동 요소로 호기심만 포함하고 있거나 태도에 대한 내용 없이 지식과 탐구만을 포함하고 있거나 단원 목표 항목 자체가 없다; 셋째, 분석 대상 지도서 8종 중 1종(12.5%)만이 단원 평가에 해당하는 독자적인 항목을 포함하고 있고, 그 내용으로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도 포함하고 있는데, 이 행동 요소는 단원 목표에서의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와도 대체로 일치하는 편이다; 넷째, 차시 목표의 경우, 지도서 3종(37.5%)에는 호기심, 협동심, 객관성 및 비판성 중 3~4개의 행동 요소가 반영되어 있고 나머지 5종(62.5%)에는 호기심만 포함되어 있다; 다섯째, 차시 평가의 경우, 지도서 8종 중 5종(62.5%)에서 3~4가지 과학적 태도의 행동 요소가 평가되고 있고, 2종(25.0%)에는 호기심과 협동심 두 가지 행동 요소만 평가되고 있으며, 1종(12.5%)에는 전혀 평가되고 있지 않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ientific attitude and its components in the general remarks and in the particulars of one government-designated and seven authorized elementary school science teacher's guides for the 3rd~4th grades which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of teacher's guid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ir general remarks, five of eight teacher's guides (62.5%) give a very brief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and the remaining three teacher's guides give a relatively detailed explanation on the components but they lack practical information on teaching and assessing of the components; Second, in the case of unit objective in the four units of the area of 'Earth and Universe', five of eight teacher's guides (62.5%) contain 3~4 components among 'curiosity', 'cooperation', 'objectivity', 'critical mindedness', or 'respect for evidence', and one of the remaining three teacher's guides contains only the component of 'curiosity', another guide doesn't have any component, and the other guide doesn't have unit objective itself; Third, in the case of unit assessment, only one of eight teacher's guide (12.5%) has independent unit assessment, includes several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the unit assessment, and is broadly consistent between the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 in unit objective and in unit assessment; Fourth, in case of lesson objective, three teacher's guide (37.5%) contain 3~4 components among 'curiosity', 'cooperation', 'objectivity' and 'critical mindedness', and the remaining five teacher's guide (62.5%) include only 'curiosity'; Fifth, in the case of lesson assessment, among eight teacher's guides, five (62.5%) evaluate 3~4 components of scientific attitudes, two (25.0%) evaluate only 'curiosity' and 'cooperation', and one (12.5%) does not evaluate anyth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호감, 강호구, 손중달(1996). 주제3: 생물교육에 있어서 정의적 영역의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 '과학 교육평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 학술심포지엄자료집.
  2. 곽영순(2004). 제7차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1028-1038.
  3.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3-1. 서울: (주)금성출판사.
  4.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등학교 교사용지도서 과학 5-1. 서울: (주)금성출판사.
  5. 교육부(1996). 초등학교 자연 교사용지도서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6. 교육부(2014).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3-1. 서울: (주)미래엔.
  7.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80호. [별책 9].
  8. 교육부(2018a).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사용지도서 과학 3-1. 서울: (주)비상교육.
  9. 교육부(2018b).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사용지도서 과학 3-2. 서울: (주)비상교육.
  10. 교육부(2018c).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사용지도서 과학 4-1. 서울: (주)비상교육.
  11. 교육부(2018d). 초등학교 3~4학년군 교사용지도서 과학 4-2. 서울: (주)비상교육.
  12. 교육부,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7). 과정을 중시하는 수행평가 어떻게 할까요?: 중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17-19-2.
  13. 교육인적자원부(2001).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 3-1.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4. 권치순 외 27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서울: (주)지학사.
  15. 권치순 외 27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서울: (주)지학사.
  16. 권치순 외 27인(2022c).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서울: (주)지학사.
  17. 권치순 외 27인(2022d).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서울: (주)지학사.
  18. 권치순, 박병태(2010).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편찬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지도서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활용 실태. 한국초등교육, 21(2), 247-260. https://doi.org/10.20972/KJEE.21.2.201010.247
  19. 김영채(2002). 창의적 문제해결: 창의력의 이론 개발과 수업. 서울: 교육과학사[재인용: 남윤선, 이형철(2013). 창의.인성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7(1), 131-141]. https://doi.org/10.21796/JSE.2013.37.1.131
  20. 김정렬(2017). 영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서울: 한국문화사.
  21. 김찬종 외 18인(2008). 지구과학 교재 연구 및 지도. 경기: 자유아카데미.
  22. 김현경, 이미경, 이재봉, 이신영, 이양락, 곽영순, 신영준, 김재우, 박상희, 김경은, 황인순, 김경화(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중학교 과학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 2016-2-7.
  23.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24. 문교부(1982).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5. 문교부(1990). 국민학교 교사용 지도서 자연 4-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6. 박상우, 신정윤(2015). 2009 개정 초등학교 및 중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과학적 태도 관련 내용 분석-비판성과 개방성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121-121.
  27. 박일우 외 24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28. 박일우 외 24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29. 박일우 외 24인(2022c).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30. 박일우 외 24인(2022d).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서울: (주)금성출판사.
  31. 변영계, 김영환, 손미(2000).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서울: 학지사.
  32.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1995). 교육학 용어 사전. 서울: 하우동설.
  33. 송영욱, 김범기(2010). 과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375-388. https://doi.org/10.14697/JKASE.2010.30.4.375
  34. 신영준 외 56인(2022).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시안 개발 연구 토론회 자료집. 또는 '2022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시안 개발 연구' 최종보고서, p. 93.
  35. 신영준, 장명덕, 배진호, 권난주, 여상인, 이희순, 노석구(2005). 초등과학 탐구수업 지도자료의 활용 실태. 초등과학교육, 24(2), 160-173
  36. 이상원 외 15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과서.
  37. 이상원 외 15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과서.
  38. 이상원 외 15인(2022c).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과서.
  39. 이상원 외 15인(2022d).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서울: (주)천재교과서.
  40. 이신애, 임희준(2015). 수업준비와 전문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41. 이지운, 노지화(2020). 형성평가, 수행평가,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재고찰. 영남수학회지, 36(4), 515-535.
  42. 임정환, 김명환, 권오범(1983). 과학적 태도함양을 위한 교수전략에 관한 연구. 1983년도 문교부 학술연구 보고서.
  43. 장명덕(2022).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교과서 학습 주제별 과학적 태도 하위 요소 분석 및 분석 활동의 교육적 효과. 초등과학교육, 41(1), 14-29.
  44. 장명덕, 배진호, 권난주, 신애경, 정용재, 나지연(2019). 초등과학교육 이론과 실제 (제2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45. 장명덕, 정용재, 김한제(2011).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 초등과학교육, 30(4), 535-552.
  46. 장신호 외 19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서울: 동아출판(주).
  47. 장신호 외 19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서울: 동아출판(주).
  48. 장신호 외 19인(2022c).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서울: 동아출판(주).
  49. 장신호 외 19인(2022d).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서울: 동아출판(주).
  50. 전승준 외 29인(2018).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 한국과학창의재단.
  51. 정동영, 하상근, 김용욱(2016). 특수교육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과 수업의 실제. 경기: 교육과학사.
  52. 정완호, 허명, 윤병호(1994). 국민학생의 과학적 태도 측정을 위한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65-271.
  53. 조정호 외 19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서울: 비상교과서.
  54. 조정호 외 19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서울: 비상교과서.
  55. 조정호 외 19인(2022c).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서울: 비상교과서.
  56. 조정호 외 19인(2022d).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서울: 비상교과서.
  57. 조헌국 외 9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경기: (주)김영사.
  58. 조헌국 외 9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경기: (주)김영사.
  59. 조헌국 외 9인(2022c).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경기: (주)김영사.
  60. 조헌국 외 9인(2022d).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경기: (주)김영사.
  61. 주경희(2007). 교사용 지도서 내용 구성 방법. 국어교육학연구, 30, 539-563.
  62.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7-210.
  63. 한국교육개발원(1984). 초등학교 자연과 평가의 원리와 실제, 제 TR84-7호.
  64. 현동걸 외 21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1 지도서. 경기: (주)아이스크림미디어.
  65. 현동걸 외 21인(2022a).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1 지도서. 경기: (주)아이스크림미디어.
  66. 현동걸 외 21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3-2 지도서. 경기: (주)아이스크림미디어.
  67. 현동걸 외 21인(2022b). 초등학교 3~4학년군 과학 4-2 지도서. 경기: (주)아이스크림미디어.
  68.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A project 2061 repor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9. Gardner, P. (1975). Attitudes to science: A review.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2(1), 1-41. https://doi.org/10.1080/03057267508559818
  70. Haladyna, T., & Shaughnessy, J. (1982). Attitude toward science: A quantitative synthesis. Science Education, 66(4), 547-563. https://doi.org/10.1002/sce.3730660406
  71. Klopfer, L. E. (1971). Evaluation of learning in science. In B. S. Bloom, T. Y. Hastings, & G. E. Madaus (Eds.), Handbook of formative and summative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New York: McGraw Hill.
  72. Osborne, J., Simon, S., & Collins, S. (2003). Attitudes towards sci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its im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9), 1049-1079. https://doi.org/10.1080/0950069032000032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