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Distance Science Classes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 및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22.05.05
  • Accepted : 2022.08.09
  • Published : 202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cience classes using elementary school distance science classes on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 research group and non-research group were selected for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ter 10 weeks of experimental treatment, science classes were conducted with the cont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science section, 'Changes of the seasons'. In the three domains of 'knowledge', 'inquiry', and 'attitude', which are sub-domain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inquiry' and 'attitude', which are sub-domains of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positive effect in 'knowledge', a sub-domain of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effect in the overall test result of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science classes using elementary school distance science classes had an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in the sub-domain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persistence/obsession', 'self-confidence', 'humor',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e', and 'independenc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effect in the sub-domain 'curiosity'. The overall test results of the creative personality tes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Therefore, it is interpreted that science classes using elementary school distance science classes are effective in cultivating creative personality.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ce classes using elementary school distance science classes also showed positive responses.

본 연구는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반과 비교반을 선정하여 연구를 하게 되었다. 실험처치는 10주에 거쳐 초등학교 과학과 '계절의 변화' 단원의 내용으로 과학수업을 하였다. 과학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의 사후 검사 결과에서는 '탐구',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의 하위 영역인 '지식'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성취도의 전체검사 결과에서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은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된다. 창의적 인성 검사의 하위 영역인 '인내/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상상',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하위 영역인 '호기심'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창의적 인성 검사의 전체 검사결과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은 창의적 인성 함양에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초등학교 원격 과학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도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미애, 남성욱(2020). 코로나-19로 인한 쌍방향 원격수업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1), 89-116.
  2. 교육부(2020). 체계적인 원격수업을 위한 운영기준안 마련. 교육부.
  3. 권연정(2021). 코로나-19 상황 실시간 화상원격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학습실재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인문사회 21, 12(5), 1017-1032.
  4. 권점례(2020). COVID-19 대응 온라인 개학에 따른 초, 중, 고등학교 원격 수업실태 및 개선 방향 탐색(RRC 2020-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5. 권정민(2021). 코로나 시대 초등원격수업이 부실한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초등교육, 32(1), 399-424. https://doi.org/10.20972/KJEE.32.1.202103.399
  6. 권혜주(2020). e학습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과 학업 성취도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주(2013). 한국판 원격교육 학습 환경 척도의 타당도 검증과 지각된 학업성취도 및 사이버 교육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4(1), 63-72.
  8. 박경택(2020). 온라인 수업이 초등학생 수학불안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4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상훈, 김은협, 김태우, 유미경, 양선환(2020). 원격교육수업 실행 방안. 한국교육학술정보원.
  10. 박형민, 임채성(2021). e학습터 플랫폼을 활용한 원격 생물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40(1), 13-21.
  11. 이수희(2020). 대학 온라인수업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학업성취도를 위한 교수 실재감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연구, 19(5), 227-246.
  12. 이쌍철, 김정아(2018).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36(2), 115-138.
  13. 이용섭(2021a). 초등예비교사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메타버스 활용가능성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48-256.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3.248
  14. 이용섭(2021b).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93-201.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2.193
  15. 이준희(2020). 과학과 온라인 수업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정순원(2020). 초중등학교의 원격수업에 관한 법령 현황 및 개선 방안. 한국교육개발원, 47(2), 53-82.
  17. 정재영(2020). 한국형 원격교육 체제 구축 방안 탐색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8. 조아라, 노석준(2013). 원격대학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몰입, 학습태도, 학습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29(4), 849-879.
  19. 하주현(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4(2), 187-210.
  20.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20). COVID-19에 따른 초.중등학교 원격교육 경험 및 인식 분석.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1. Abdullah, S. I. N. W., Arokiyasamy, K., Goh, S. L., Culas, A. J., & Manaf, N. M. A. (2022).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nd future outlook towards forced remote learning during a global pandemic. Smart Learning Environments, 9(1), 21967091.
  22. Chen, J. C., & Dobinson, T. K. S. (2020). Lectur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blackboard collaborate as a distance learning and teaching tool via open universities australia (OUA). Open Learning, 35(3), 222-235. https://doi.org/10.1080/02680513.2019.1688654
  23. Gamtso, C. W., & Halpin, P. A. (2018). Tailoring library instruction for non-science majors taking hybrid and online science classes: Student perceptions of information literacy in the virtual environment. Public Services Quarterly, 14(2), 99-118. https://doi.org/10.1080/15228959.2017.1372729
  24. He, W., Zha, S., Watson, S., & He, Y. (2022). Teaching tip: Promoting inclusive online learning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formation systems courses.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Education, 33(1), 7-14.
  25. LePage, D. (1996). Distance learning complements a pre-service mathematics education model. T.H.E. Journal, 24(1), 65-67.
  26. Lusardi, L., & Haroldson, R. (2021). Who is most affected by COVID-19? Using story maps with student investigations. Science Teacher, 88(6), 30-37.
  27. Moses, S., Brandford, B., Mensah, M. V., & Asante, S. B. (2022). Modelling the perspectives of distance education students towards online learning during COVID-19 pandemic. Smart Learning Environments, 9(1), 219670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