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lternative Concepts of Pre-Elementary Teachers on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s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 연구

  • Received : 2022.07.27
  • Accepted : 2022.08.22
  • Published : 2022.08.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alternative concept of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to seasonal changes. From May 2021 to June 2022, it was conducted with 60 pre-primary teachers at P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re-primary teachers explained the cause of seasonal changes, and out of 60 pre-primary teachers, only 22 (36%) had scientific concepts, and the remaining 38 (64%) students had alternative concepts. Second, in explaining how the inclination of the Earth's axis of rotation is related to seasonal changes, only 16 (27%) of the 60 pre-primary teachers had a scientific concept, and the remaining 44 (73%) had alternative concepts. Third, pre-primary teachers expla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e in the solar altitude and the seasonal change. Among 60 pre-primary teachers, 12 (20%) had a scientific concept, and the remaining 48 (80%) had alternative concepts. Fourth, looking at the comprehensive types of alternative concepts for seasonal changes, the aS-bS-cS type, which is classified as a type that explains the causes of seasonal changes using scientific concepts as a whole, was 8(13%) out of 60 pre-primary teachers. and the remaining 52 (87%) had at least one alternative concept to explain seasonal changes.

본 연구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에 대한 대안 개념에 대한 연구로 2021년 5월부터 2022년 6월까지 P교육대학교 초등예비교사 6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들은 계절변화 원인을 설명하는데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22명(36%)만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38명(64%)의 학생들이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들은 지구의 자전축의 경사가 어떻게 계절변화를 일으키는데 관련되어 있는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16명(27%)만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44명(73%)은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은 태양의 남중고도의 변화와 계절변화와의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초등예비교사 60명 중에서 12명(20%)이 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48명(80%)가 대안개념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계절변화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이 대안개념의 종합적인 유형을 살펴보면 계절변화의 원인을 전체적으로 과학개념을 사용하여 설명하는 유형으로 분류되는 aS-bS-cS 유형은 60명의 초등예비교사 중에서 8명(13%)에 불과했으며, 나머지 52명(87%)는 계절변화를 설명하는데 모두 하나 이상의 대안 개념을 소지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 본 결과 초등예비교사들은 계절변화의 원인에 대한 일반적 개념, 자전축의 경사와 계절변화, 남중고도의 변화에 따른 계절변화를 설명할 때 다양한 대안개념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work was supported by a research grant from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Development Fund) in 2021.

References

  1. 김규성, 국동식(2005). 계절변화의 오개념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 과학교육연구논총, 21(1), 27-32.
  2. 김순식(2012).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수업에 대한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3), 245-255. https://doi.org/10.15523/JKSESE.2012.5.3.245
  3. 김순식(2021). 초등예비교사의 성별 및 지구과학 이수 여부가 '계절변화' 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36-247.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3.236
  4. 이명제(2014). 초등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 종류, 빈도 및 인지적 배경 출처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5(4), 277-289.
  5. 이명제(2016).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설명과 확신 수준. 교육논총, 53(3), 1-13.
  6. 이용섭(2006). 천문 영역에 대한 STAD 모형의 협동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25(2), 141-148.
  7.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41-351.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41
  8. 이은옥(2011). 계절변화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대안개념.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정선라, 이용복(2013).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4(4), 366-377.
  10. 정홍식(2005). 초인지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형성과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채동현(1998). 새로운 계절변화 실험모형이 초등예비교사의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7(1), 23-32.
  12. 채동현, 김희숙(1996). 초등예비교사들의 태양의 고도에 대한 유년적 사고. 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논문집, 18, 73-92.
  13.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2(1), 109-120.
  14. 채동현, 임성만(2011). 반증-실험 모형을 이용한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개념 변화 분석. 초등과학교육, 30(4), 524-534.
  15. 하옥선(1999). 태양 고도와 계절변화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현동호(2014). 계절의 변화를 설명하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대안개념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Atwood, R., & Atwood, V. (199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causes of seas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553-563.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5)33:5<553::AID-TEA6>3.0.CO;2-Q
  18. Champgne, A. B., & Klopfer, L. E. (1983). Naive theories and science learn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hysics Teachers, New York.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25 825)
  19. Kikas, E. (1998). The impact of teaching on students' definitions and explanations of astronomical phenomena. Learning and Instruction, 8, 439-454. https://doi.org/10.1016/S0959-4752(98)00004-8
  20. Shepardson, D. P., & Mohe, E. B. (1999). The role of anomalous data in restructuring forth graders' frameworks for understanding electric circui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1), 77-94. https://doi.org/10.1080/095006999290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