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bout the Legal Nature of Negotiations between NHIS and Pharmaceutical Company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제약사 간 의약품 관련 협상 행위의 법적 성격에 관한 고찰

  • Received : 2022.12.15
  • Accepted : 2022.12.28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Recently, the targets and clauses of negotiation between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NHI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has been expanded. Due to newly adopted 'Quality management clause', 'Compulsory supply maintenance clause' and 'Penalty for breach of contract clause', not only 'Ministry of Health and Wellfare (MOHW)'s 'drug listing' and 'Price cap' announcement, but also 'negotiation between NHI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can be a legal sanction to the suppliers. Once secretary of MOHW order NHIS to negotiate with pharmaceutical company, NHIS notify this order to the company and enter into the negotiation. 'The order' exists in the public domain between the government (MOHW) and public institutions (NHIS) and does not constrain the legal rights of companies (Therefore companies cannot pile a lawsuit about the order). However, 'the notice' or 'negotiation' is an act which has a counterpart, can be a target of administrative litigation if the company get some disadvantages from the talks. Negotiations can be divided into four types according to "the target (whether it is listed on the insurance benefit list)" and "the purpose (whether the target is price or conditional)." In particular, negotiations on listed drugs, whose goal is to set unfavorable conditions for companies, can be illegal if there is no price. So we need to consider compensation for the company as an incentive to negotiate.

공단과 제약사 간 협상은 제도 도입 이후 지속적으로 범위와 대상을 확대하여 왔고, 최근에는 품질관리에 관한 사항 등이 협상 대상으로 추가되었다. 그에 따라 복지부의 상한금액 고시가 아닌 공단과의 협상만으로도 제약사들의 법익이 침해될 우려가 제기되었고, 그로 인해 협상의 법적 성격과 법익 침해에 대한 구제방법 등의 검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복지부장관이 공단 이사장에 대한 협상'명령'을 내리면, 공단이 제약사에 이를 '통보'하여 '협상'이 진행된다. '명령'은 행정권 내부의 행위로서 항고소송의 대상이 되는 처분성이 부인된다. 이에 반해 '통보' 내지 '협상'은 제약사를 상대방 당사자로 하는 행위로서, 협상 결렬에 대한 불이익이 존재한다면 그 자체를 '처분'으로 볼 여지도 있을 것이다. 협상은 '대상(보험급여목록에 등재되어 있는지 여부)'과 '목적(협상대상이 가격인지 조건 부여인지)'에 따라 4개 유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조건 부여에 관한 협상은 협약을 통해 부담(부관)을 설정하도록 하는 합의가 된다. 신규 등재 또는 가격 인상 약제 협상의 경우에는 수익적·재량적 행정행위에 부담을 부착하는 경우로서 조건 부여 협상이 적법할 것이지만, 기등재 약제의 가격 조정은 대부분 가격을 인하하는 침익적 처분으로서 협상을 통해 부담을 부착할 경우 위법할 여지를 배제하기 어렵다. 따라서 부담의 설정이 필요하다면 인센티브 등의 부여를 통해 협상에 따른 고시가 수익적·재량적 행정행위가 될 수 있는 길을 열어놓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인, "계약의 형식으로 된 부관의 법률관계", 「행정법연구」 제26호, 2010. 4.
  2. 김대인, "공법상 계약의 법리에 관한 고찰", 「유럽헌법연구」, 2017. 4.
  3. 김용민, "공법상 계약의 적법성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제21권 4호, 2020. 11.
  4. 김용섭, "법적인 근거가 없음에도 공행정을 정당화하는 행정판례에 대한 비판적 검토", 「행정판례연구」 Vol 17, 2012.
  5. 김중권, 직권감차 통보의 처분성 여부에 관한 소고, 「법률신문」, 2017. 5. 16.
  6. 김창엽, 「건강보장의 이론」, 한울아카데미, 2018.
  7. 김호정, "공법상 계약의 특수한 법적 규율", 「외법논집」 VOL. 34, 2010.
  8. 송시강, "행정권한 민간위탁의 헌법상 한계" 「행정법연구」, 2020. 11.
  9. 오준근, "부동산개발사업 허가의 부관과 개발협약에 관한 한국과 미국의 비교법적 고찰", 「토지공법연구」 제40집, 2008. 5.
  10. 최계영, "국민건강보험의 행정법적 쟁점", 「서울대학교 法學」 제55권 2호, 2014. 6.
  11.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의 약제급여 및 약가결정제도」, 2021.
  12. 국민건강보험공단, 「약제비 관리 정책편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