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Effec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혜경 (유일코칭심리센터) ;
  • 정은경 (강원대학교 행정.심리학부 심리학과)
  • 투고 : 2022.12.16
  • 심사 : 2022.12.26
  • 발행 : 2022.12.31

초록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 청소년의 적응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업적 수행을 측정하여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방 군단위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가족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측정되고 약 5개월 후 국어시험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국어수행은 내재적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습동기화와 사회적 지지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통제변인을 넣고 분석한 회귀분석에서도 내재적 학습동기는 국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다중가산조절모델을 통해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화와 가족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교사 지지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지의 수준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교사 지지가 높을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 수준과 관계없이 국어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지지가 낮은 수준일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따라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며 국어수행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re are many studies that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tu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However, studies examining the effects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by measuring the actual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rare.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and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5th and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122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local county-level area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 language test was conducted about 5 months after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of families and teachers were measured. The results revealed that Korean language performa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and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regression analysis with control variables, it was found that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The interaction effect of learning motivation and social support was significant only in teacher support, not in family support. In specific, when teacher support was high, Korean language performance was high regardless of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vel, but when teacher support was low, th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mattered in the performanc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부 (2022). 202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조간보도자료. (2022. 6. 13).
  2. 교육부 (2019). OECD 국제 학업성취도 비교연구(PISA 2018) 결과 발표 조간보도자료. (2019. 12. 4).
  3. 권영민 (2002). 국어 능력 평가의 의미. 새국어생활, 12(2), 5-13.
  4. 권영옥 (1995). 학업성적과 처벌이 학업동기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명숙 (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민성 (2009). 교수-학습 상황에서 배려의 개념화와 교육적 의미. 교육심리연구, 23(3), 429-458.
  7. 김범주 (2021). 코로나19 사태의 학업성취도 효과 분석: 수도권 중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9(4), 107-129.
  8. 김소운 (2010). 게임기반학습에서 학습자의 인지양식이 학습동기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수경 (2020).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숙영 (2010). 초등학생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아영, 차정은, 장유경, 이유미 (2008). 초등학생용 학업 동기 및 공부전략검사개발 연구보고서. 서울: (주)한솔교육.
  12. 김영미 (1997). 학원수강과 학습동기가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윤자 (2004). 교사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중학생의 지각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김태은, 현주 (2007). 학교급별 학업능력에 대한 학습효능감, 학습동기화, 성취목표지향성의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21(1), 185-207.
  15. 김항아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지지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혜진 (2006). 초등학생이 지각한 담임교사의 지지와 학업성취도 및 교우관계와의 연관성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마경희 (1995). 성취동기와 자기효능성 및 내적동기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문병상 (2012). 내재적 읽기동기, 자기조절학습전략, 국어성취도 간의 종단적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13(4), 143-162. https://doi.org/10.15753/AJE.2012.13.4.007
  19. 박선미 (2008). 내적동기 증진 전략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효능감과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박연징 (2019).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지지가 수업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습동기의 매개효과.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박은성 (2010). 교사의 사회적지지에 대한 근원 탐색. 초등교육학연구, 17(1), 65-82.
  22. 박지윤, 박용한 (2019). 초등학교 고학년의 성격 5요인 및 사회적 지지와 온.오프라인 도움요청,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31(3), 527-553. https://doi.org/10.17927/TKJEMS.2019.31.3.527
  23. 박지원 (1985). 사회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박진옥 (2008).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 및 교사 신뢰와 학습동기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서인균, 이연실 (2017). 청소년기 스트레스가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고등학생 비교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9(3), 23-51.
  26. 선주원 (2008). 국어과 학습 동기 유발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 36, 239-264.
  27. 성소연 (2013). 학교급별에 따른 가정환경, 학교환경 및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도간의 구조적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소연희(2008). 학교급별에 따른 지각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경로모형을 중심으로. 아동교육, 17(2), 49-64.
  29. 송영경, 김영희, 황성실, (2011).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효과. 한국생활과학회지, 20(1), 1-19
  30. 송연주 (2015).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관계와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 연구. 아동교육 24(2), 53-71.
  31. 안도희, 최혜림 (2012). 고등학생의 학업 동기 및 사회적 지지와 학업 성취와의 관계. 한국교육문제연구, 30(2), 145-164.
  32. 엄태동 (2003). 초등교육의 맥락에서 본 초급지식의 성격: 교육의 가치와 교과의 가치에 대한 분석. 초등교육연구, 16(1), 1-22.
  33. 유지혜 (2008).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백석대학교 상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이경화 (2008). 바른생활과 언어예절 교육 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선영, 송주연 (2019).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의 우울과 학교생활적응, 학업성취에 대한 스트레스의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교육방법연구, 31(1), 21-43. https://doi.org/10.17927/TKJEMS.2019.31.1.21
  36. 이숙정 (2006).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97-218.
  37. 이아람 (2016). 중학생용 사회적지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이영옥 (2016). 청소년의 학습정서, 학습동기가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창의성의 매개 효과. 순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이은주 (2000). 초등학생들의 학습동기의 변화. 초등교육연구, 14(1), 47-66.
  40. 이지민 (2008). 담임교사의 사회적 지지도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이혜원 (2001). 자아개념, 학교태도 교사기대지각이 학교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2. 이희애 (2001). 학습동기강화 수업이 아동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3. 임수현, 정은선 (2021). 코로나19 기점으로 나타난 초등학교 4, 6학년 수학 학업성취도 변화 분석. 한국초등교육, 32(3), 249-266. https://doi.org/10.20972/KJEE.32.3.202109.249
  44. 임효진, 선혜연, 황매향 (2016). 교육심리학. 서울: 학이시습.
  45. 전경옥 (2005). 성취목표, 학업동기, 학습전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정경숙 (2016). 청소년기의 부모자녀관계와 또래관계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정병삼 (2012). 부모, 교사, 친구관계에서 지각하는 지지가 초기 청소년들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종단적 효과. 한국청소년연구, 23(2), 131-159.
  48. 조민희 (2018). 초등학생의 또래관계의 질, 가족 및 교사의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조한익 (2010).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지지, 희망 및 우울증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심리연구, 24(1), 161-181.
  50. 최명구, 성소연 (2012). 중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간의 구조관계. 청소년학연구, 19(11), 357-373.
  51. 최병연 (2002). 자기결정성 학습동기 이론의 교육적 적용. 교육문제연구, 16, 165-184.
  52. 최승희 (2012). 자기주도 학습코칭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하현수 (2010).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한미현 (1996).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지각과 행동문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5. 현주, 김태은, 김양분, 박현정 (2006). KEDI 종합검사도구 개발연구(I). 서울: 한국교육 개발원.
  56. 홍애순 (2013).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적응이 학교행복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7. 황매향 (2006).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관계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차이. 아시아교육연구, 7(3), 187-203.
  58. Aiken, I.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59.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rice-Hall.
  60. Barrera, M. (1981). Social support in adjustment of pregnant adolescents: Assessment issues. In B. H. Gottlieb(Ed.). Social networks and social support(pp.66-96). Beverly Hills, CA: Sage.
  61. Cobb, S. (1976). Presidential addres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62. Cobby, S. (1976). Social support as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lomatic Medicine, 38(5), 300-314. https://doi.org/10.1097/00006842-197609000-00003
  63.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1.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64. Davis, H. A. (2003). Conceptualizing the role and influence of student teacher relationships on children's social and cognitive development. Educational Psychologist, 38(4), 207-234.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804_2
  65. Dubow, E. F., & Tisak, J. (1989). The relation between stressful life events and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Child development, 1412-1423.
  66. Elias, M. J., & Haynes, N. M. (2008). Social competence, social support, and academic achievement in minority, low-income, urb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23(4), 474.
  67. Gage, N., & Berliner, D. (1992). Educational psychology (5th ed.), Houghton Mifflin Company.
  68. Gottfried, A. E. (1985).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7, 631-645.
  69. Harter, S. (1981). A new self-report scale of intrinsic versus extrinsic orientation in the classroom: Motivational and informational components. Developmental Psychology, 17, 300-312. https://doi.org/10.1037/0012-1649.17.3.300
  70. Harter, S. (1985). Manual for the Social Support Scale for Children. Denver: University of Denver.
  71. Hayes, A. F. (2018).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72. House, J. S. (1981). Work stress and social support. Massachusetts: Addison-Wesley, Publishing Co. 27-38.
  73. Howes, C., Hamilton, C. E. & Matheson, C. C.(1994).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Differential associations with aspects of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Child Development, 65, 253-263. https://doi.org/10.2307/1131379
  74. Isakson, K., & Jarvis, P. (1999). The adjustment of adolescents study.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8(1), 1-26. https://doi.org/10.1023/A:1021616407189
  75. Klem, A. M., & Connell, J. P. (2004). Relationships matter: Linking teacher support to student engagement and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health, 74, 262-273. https://doi.org/10.1111/j.1746-1561.2004.tb08283.x
  76. Kosir, K., & Tement, S. (2014).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academic achievement: A cross-lagged longitudinal study on three different age groups.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9(3), 409-428. https://doi.org/10.1007/s10212-013-0205-2
  77. Kuhfeld, Megan., Soland, James., Tarasawa, Beth., Johnson, Angela., Ruzek, Erik., Liu, Jing. (2020). Projecting the Potential Impacts of COVID-19 School Closures on Academic Achievement. EdWorkingPaper No. 20-226.
  78. Lepper, M. R., Corpus, J. H., & Iyengar, S. S. (2005).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in the Classroom: Age Differences and Academic Correlat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7(2), 184-196.
  79. Lv, B., Zhou, H., Guo, X., Liu, C., Liu, Z., & Luo, L.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emotional well-being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ina: The moderating role of parent-school communication. Frontiers in psychology, 7, 948.
  80. Marsh, H. (1989). Age and sex effects in multiple dimensions of self-concept: Pre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Journo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417-430.
  81. Meece, J., Miller, S., & Ferron, J. (1995). Longi,tudinal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San Francisco.
  82.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https://doi.org/10.1002/cd.23219925706
  83. Pintrich, P. R., & Schunk, D. H.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2nd.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84. Pintrich. P. R., & de Groot, E. V. (1990).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l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85. Pintrich. P. R., &. Schrauben, B. (1992). Students' motivational beliefs and their cognitive engagement in academic task. In D. H. Schunk & J. Meece(Eds.), Students' perceptions in the classroom: Causes and sequences(pp. 149-183).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6. Ryan, R., & Deci, E. L. (2000).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99, 734-746.
  87. Ryan, R. M., & Grolnick, W. S. (1986). Origins and pawns in the classroom: self-report and projective assessment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children's percep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 550-558 https://doi.org/10.1037/0022-3514.50.3.550
  88. Schunk, D., Pintrich, P. R., & Meece, J. L. (2008).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3rd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rentice Hall.
  89. Sternberg, R. J. & Williams, W. M. (2010). 스턴버그의 교육심리학 (김정섭, 신경숙, 유순화, 이영만, 정명화, 황희숙 역). 서울:(주)시그마프레스. (원서출판 2009).
  90. Stipek, D. J. (1998). Motivation to learn: From theory to practice(3rd ed.). Boston: Allyn and Bacon.
  91. Terwilliger, V. D. (1988). The relationship of competitiveness to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92. Wentzel, K. R. (2009). Stud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s motivational contexts. In K. R. Wentzel, & A. Wigfield (Eds.), Handbook of Motivation at School. New York: Routledge.
  93. Wubbels, T., Brekelmans, M., & Hermans, H. (1987). Teacher behavior: An important aspec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The Study of Learning Environments, 3, 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