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Important of Port Selection Factors to Attract Shippers for Mokpo New Port

목포 신외항 선·화주 유치를 위한 항만선택 요인의 중요도 분석

  • 손유미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과) ;
  • 김지현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과 ) ;
  • 이경석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시스템학과) ;
  • 김화영 (목포해양대학교 해상운송학부 )
  • Received : 2022.12.18
  • Accepted : 2022.12.2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A relative importan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at factors are required for port selection in Mokpo New Port and what needs to be addressed first in order to expand automobile and steel cargo handling. The port selection factors of Mokpo New Port were classified into 4 major and 13 intermediate categories, and AHP analysis was used. As a result, items such as 'port facilities', 'accessibility to international ports', 'port facility usage fees', and 'connectivity with neighboring cities/ports' were evaluated as important. The respondent groups were divided into shipowner and shipper, port operator and stevedore, and public official, and an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conducted to verify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groups. As a result, shipowner and shipper, port operator and stevedore were similar, but there was a difference from public official group. Shipowner and shipper, port operator and stevedore with similar response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the 'port practitioner' group, and public official were classified into the 'port policy maker' group,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group was tested. Therefore,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major category items, and even in the intermediate category items such as 'possession of adjacent hinterland industrial complex', 'cargo equipment', '24-hour port operation', 'inland transportation cost', 'accessibility to international ports', 'marketing and incentives' with statistical. In other words, the 'port practitioner' group evaluated items that can increase cargo creation and handling productivity as important whereas the 'port policy maker' group considers port development and policies such as port infrastructure, connectivity with other ports, and incentive support items are more important.

목포 신외항에서 처리 중인 자동차, 철재 화물을 확대하고 다른 종류의 화물 유치를 위해서 목포 신외항에 필요한 항만선택 요인이 무엇이고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할 사항이 무엇인지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목포 신외항의 항만선택 요인을 4개의 대분류와 13개의 중분류로 계층화하고 AHP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항만시설', '국제항만과의 접근성', '항만시설 이용요금', '인접도시·항만과의 연결성' 등의 항목이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평가대상자를 선주 및 화주, 항만운영사·하역사, 공무원으로 구분하여 그룹 간 인식의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선주 및 화주와 항만운영사·하역사 관계자들은 비슷했고 공무원 그룹과는 차이가 있었다. 응답 특성이 비슷한 선주 및 화주와 항만운영사·하역사를 '항만실무자' 그룹으로 공무원은 '항만정책수립자' 그룹으로 구분하여 그룹 간 인식의 차이를 검정하였다. 그 결과 일부 대분류 항목에서 차이가 있었고, 중분류 항목에서도 '인접 배후산단 보유', '하역장비', '24시간 항만 운영', '내륙운송 비용', '국제항만과의 접근성', '마케팅 및 인센티브 지원' 항목에서 통계적 차이가 있었다. 즉 '항만실무자' 그룹은 화물의 창출과 처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항목이 중요하다고 평가하였고, '항만정책수립자' 그룹은 항만 인프라, 타 항만과의 연결성, 인센티브 지원 등 항만개발 및 정책 등의 항목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목포지방해양수산청(2020), 항만정보, 목포항 소개.
  2. 박계각.최경훈.이청환(2018), 목포항 비경쟁 요인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34권 제3호, 113-132.
  3. 오가영.최경숙.김정순(2009), 소규모 항만 선택의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19권 제5호, 81-102.
  4. 오현민.이향숙.윤경준(2021), AHP 분석을 통한 목포항의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물류학회지, 제31권 제3호, 59-72.
  5. 유은희.박홍규(2019), AHP기법을 활용한 중소항만의 경쟁력 강화요인에 관한 연구: 대산항과 평택.당진항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 제41권 제1호, 155-183. https://doi.org/10.22828/MERI.2019.41.1.007
  6. 이면수.최훈도.임동석.곽규석(2010), 국내 중소형 항만의 경쟁력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도 항만을 중심으로-,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4권 제10호, 817-821. https://doi.org/10.5394/KINPR.2010.34.10.817
  7. 이해찬.정석환.김유나.여기태(2021), Fuzzy-IPA 기법을 활용한 군산항 니즈분석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 연구, 제37권 제4호, 835-868.
  8. 여기태.이홍걸.오세웅(2004), 중소형항만의 화주유인 증대를 위한 항만선택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해운물류연구, 제43호.
  9. 정준식(2015), 항만선택 결정요인분석을 통한 마산항의 인접지역 수출화주 유치방안, 물류학회지, 제25권 제1호, 1-15.
  10. 추문정.김창수.하민호(2021), 대중무역 측면에서 한국 주요 항만의 경쟁력 분석, 해운물류연구, 제37권 제4호, 885-909.
  11. 한국은행 목포본부(2013), 최근 목포항 물류 처리 현황 및 시사점.
  12. 해양수산부(2020), 제4차(2021~2030) 전국 항만 기본계획.
  13. 해양수산부(2022), 해운항만물류정보시스템, 해운항만통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