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Covid-19 Pandemic on Korea's Commodity Trade

Covid-19 팬데믹이 한국의 상품무역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 안태건 (부경대학교 경영대학 국제통상학부)
  • Received : 2022.12.14
  • Accepted : 2022.12.2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ether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quarantine measures such as border blockade and restrictions on movement due to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pandemic is the cause of a decrease in product trade. To this end, a gravity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mmodity trade statistics from Korea and major trading partn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empirically confirmed that in 2020, the time of the spread of COVID-19, the influence of the COVID-19 pandemic was an obstacle to reducing Korea's trade. However, in the case of 2021,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whether the impact of the pandemi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ommodity trade. As the impact of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nd 2021 is different, the commodity trade situation in 2022 when the COVID-19 epidemic is stably managed is also likely to change. Since factors such as response to COVID-19 and the spread of vaccines vary from country to country, it is thought that such various factors should be fully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olicies to end the COVID-19 era

본 연구는 코로나 19 팬데믹의 전세계적인 확산으로 인하여 국경봉쇄와 이동제한과 같은 방역 조치와 전염병의 확산이 상품무역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과 주요무역 상대국의 상품무역 통계를 이용하여 중력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코로나 19 확산시기인 2020년의 경우 코로나 팬데믹의 영향이 한국의 무역을 감소시키는 장애요인이라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나 2021년의 경우 팬데믹의 영향이 상품무역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지 확인할 수 없었다. 2020년과 2021년의 코로나 19 팬데믹이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 만큼 코로나 19 전염병이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는 2022년의 상품무역 상황 역시 달라질 가능성이 존재한다. 코로나에 대한 대응이나 백신의 보급 같은 요인들이 각 국가마다 상이하기 때문에 코로나 시대를 마감하는 정책 수립과정에 있어서 그러한 다양한 요인들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민재, 한능호 (2021). GVC 재편에 따른 한국 소재.부품 산업의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36(1), 211-229.
  2. 김상만 (2021). 코로나19 팬데믹(COVID-19 Pandemic) 이후 무역환경 변화와 대응에 대한 고찰. 통상법무정책, (1), 196-210.
  3. 김태환 (2021). COVID-19로 인한 우리나라 해운산업의 변화와 전망. 무역보험연구, 22(3), 67-79. https://doi.org/10.22875/JITI.2021.22.3.005
  4. 도언정, 배정한 (2012). 수출기업의 대아세안 FTA 활용전략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14(4), 459-490.
  5. 마학삼, 김석태. (2021). 코로나19 이후 한국무역 환경 변화 및 한.중 무역 전망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22(2), 89-103.
  6. 박현희 (2020), 중력모형을 이용한 기체결 FTA 농산물 부문의 교역패턴 분석, 통상정보연구, 22(2), .261-280.
  7. 배은주, 박세운, 김희호 (2018). 한 아세안 FTA에서 한국기업 거래상대방의 수입통관 분쟁 사례분석과 대응방안 연구. 무역학회지, 43(1), 153-176. https://doi.org/10.22659/KTRA.2018.43.1.153
  8. 송민근. (2020).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신유통에 관한 검토. 해운물류연구, 36(2), 325-356.
  9. 심민섭, 김율성 (2021). COVID-19 이후 해운.물류산업 중심의 주가지수 변화분석 연구. 해운물류연구, 37(1), 71-90.
  10. 심재희, 김지훈 (2020). 코로나19 상황에서 전자상거래의 지각된가치와 위험지각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22(3), 307-323.
  11. 안경애 (2014), APEC 국가의 물류효율성이 무역 및 경제협력에 미치는 효과분석, 유통경영학회지, 17(1): 23-34. https://doi.org/10.17961/JDMR.17.1.201403.23
  12. 안병수 (2021). COVID-19에 따른 외국인직접투자의 영향과 대응방안. 무역상무연구, 89, 141-162.
  13. 안태건.김성룡 (2017), A Study on the Enforcement Effect of FTAs in Korea Electronic and Automobile Industry, 국제상학, 32(4), 377-398.
  14. 안태건 (2021), 물류성과지표를 이용한 한-EU FTA 상품무역에 대한 실증 연구, 국제상학 36(4), 279-295.
  15. 양정호 (2021). COVID-19에 따른 국제운송계약상의 법적쟁점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90, 59-83.
  16. 이창재 (2022). 포스트 코로나 시대 의약품의 국제항공운송에 관한 주요 쟁점. 무역상무연구, 94, 51-74.
  17. 이충배, 노진호 (2020). 코로나19 하에서 글로벌 공급사슬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국제상학, 35(4), 85-107.
  18. 이충배, 류희찬 (2020). 코로나-19 확산 하에서 공급사슬위험관리전략에 관한 연구. 통상정보연구, 22(4), 137-157.
  19. 임은정.전성희 (2019). 교역 상대국의 물류성과지표가 한국무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항만경제학회지, 35(1), 2019, 77-96.
  20. 임천혁 (2021), COVID-19 확산에 따른 무역업체의 수출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무역상무연구, 89, 163-185.
  21. 정문현 (2017), 물류수행이 유라시아 국가의 무역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세학회지, 17(4): 191-218.
  22. 최영석 (2020). 한.아세안 FTA 발효에 따른 산업내무역구조 변화-양적 및 질적 변화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23(3), 125-154.
  23. 하영규, 우수한. (2020). 코로나19로 인한 자동차 산업 영향과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에 대한 효과 분석. 국제상학, 35(3), 149-169.
  24. 한상현 (2016). 한.아세안 FTA하에서 소급발급 원산지증명서의 유효성에 관한 사례연구. 관세학회지, 17(2), 129-147.
  25. Anderson, J.(1979),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Gravity Equation,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69, No.1, 106-116.
  26. Anderson, J. and E. Wincoop (2004), "Trade Cost," Journal of Economic Literature, 42(3), 691-751. https://doi.org/10.1257/0022051042177649
  27. Arvis, J.F., Alina Mustra, M., Ojala, L., Shepherd, B. and Saslavsky, D. (2010), Connecting to Compete 2010: Trade Logistics in the Global Economy--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and Its Indicators. World Bank,
  28. Deardoff, A.(1998), Determinants of Bilateral Trade: Does Gravity Work in a Neoclassical Framework?" in J.A. Frankel (ed.) The Regionalization of the World Econom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9. Evenett, S. and W. Keller(2002), On Theories Explaining the Gravity Equation,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0: 281-316. https://doi.org/10.1086/338746
  30. Frankel, J. and A. Rose(2002), An Estimate of the Effect of Common Currencies on Trade and Incom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7(2): 437-466. https://doi.org/10.1162/003355302753650292
  31. Helpman, E., Melitz, M. and Y. Rubinstain(2008), Estimating Trade Flows: Trading Partners and Trading Volumes,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23(2): 441-487. https://doi.org/10.1162/qjec.2008.123.2.441
  32. Marti, L., Puertas, M. and L. Garcia(2014), The Importance of the Logistics Performance Index in International Trade, Applied Economics, 46(24): 2982-2992. https://doi.org/10.1080/00036846.2014.916394
  33. Tinbergen, J.(1962), Shaping the World Economy: Suggestions for an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 New York: Twentieth Century Fund.
  34. Wang, M and C. Choi(2018), How Logistics Performance Promote the International Trade Volume? A Comparative Analysis of Developing and Developed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Logistics Economics and Globalisation, 7(1): 49-70. https://doi.org/10.1504/IJLEG.2018.09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