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mpirical Study of Age Effect on Awareness for Korean Unification: evidence from 2020 Seoul, Incheon, Gyeonggi survey data

통일 의식에 대한 연령 효과 분석: 수도권 데이터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1.12.20
  • Accepted : 2022.02.09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Korean Unification among age groups based on survey data. It is verified by statistical model analyses that the ratio of agreement for Korean Unification increases with the age growth, but after the highest peak at the age group of 44 ~ 53 years, the ratio of agreement gradually decreases. The statistical model shows that the age group of 44 ~ 53 years old has 2.5 times higher odds of agreement than the age group of 24 ~ 33 years old and the odds of female to male is 0.56. Meanwhile, the ratio of increase in the agreement, aligned with the increasing age groups, shows 4.3 times higher for males than females. The difference in the ratio of agreement in the overall age groups is estimated to be contributed the most by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io of agreement for Korean Unification between the young male generation (in their 20s and 30s) and the middle-aged male generation (in their 40s and 50s).

본 논문은 통일에 대한 찬성-반대 응답을 바탕으로 수도권(서울, 인천, 경기) 거주 시민의 통일 의식에 연령대별 차이의 양태를 고찰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통일에 대한 찬성 의견이 연령과 양의 선형관계에 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의 통일에 대한 찬성 의견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지만 44세~ 53세 층에서 가장 높은 찬성 비율을 보인 후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모형 분석에서 44 ~ 53세층은 참조집단인 24 ~ 33세층에 비해 승산이 2.5배 이상 높았으며, 남성에 대한 여성의 승산은 0.56배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별 통일 찬성 비율 평균값의 추세선 기울기 기준으로 연령 증가에 따른 통일 찬성 비율 증가 경향은 남성이 여성보다 약 4.3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청년층(2030)과 중년층(4050) 간의 현저한 통일 찬성 비율의 차이가 수도권 전체 연령대의 통일 찬성 비율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0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강원택. (2013). 한국 선거에서의 계급배반투표와 사회계층. 한국정당학회보, 12(3): 5-28.
  2. 강원택.성예진. (2018).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이념과 세대: 보수 성향 유권자를 중심으로. 한국정치연구, 27(1): 205-240.
  3. 고상두. (2010). 통일 이후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동서독 지역주민의 인식. 유럽연구, 28(2): 269-288. https://doi.org/10.17052/JCES.2010.28.2.269
  4. 구본상.최준영. (2019). 통일의식에서의 영호남 지역 차에 대한 경험적 분석. 분쟁해결연구, 17(2): 107-135. https://doi.org/10.16958/DRSR.2019.17.2.107
  5. 김병조. (2009). 민주화 선호경향과 통일의식 간의 관계 분석 -통일정책에 대한 한 제언. 통일과 평화, 1(2): 63-102.
  6. 김병조. (2015). 한국인의 통일인식 2007 ~ 2015: 세대별 격차와 세대내 분화. 통일과 평화, 7(2): 3-41.
  7. 김석호.김영원. (2017). 정치 태도와 행위의 세대 간 차이. 한국의 사회동향, 통계개발원.
  8. 김학재. (2020). '통합'의 다양한 차원: 역사.비교지역주의적 관점, 통일과 평화, 12(1): 179-234.
  9. 김학재.강채연.김범수.김병로.김희정.이성우.임경훈.최규빈. (2019). 2019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10. 김희삼.최슬기.김석호.이윤석.이영욱.강우진.김혜원.송인호.전병목. 김순희.이상협. (2015). 세대 간 갈등의 분석과 상생 방안의 모색. 연구보고서 2015-05, 한국개발연구원.
  11. 김희정.김선. (2018). 세대별 통일의식과 통일교육: 통일의식조사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6): 1643-1654.
  12. 백대현.이재완. (2015). 통일의식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통일편익과 비용 인식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와 행정, 25(2): 205-224.
  13. 변종헌. (2012). 20대 통일의식과 대학 통일교육의 과제. 통일정책연구, 21(1): 157-186.
  14. 우경봉. (2020). 정당 지지에 대한 세대별 차이 고찰. 분석과 대안, 4(2): 103-132. https://doi.org/10.22931/AANDA.2020.4.2.004
  15. 우경봉. (2021). 연령대별 통일 찬성, 반대 비율 고찰. 한국사회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사회경제학회.
  16. 우경봉. (2022). 통일 의식의 양극화. 한국사회경제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사회경제학회.
  17. 이철승. (2019). 불평등의 세대. 문학과지성사.
  18. 이내영. (2014). 한국인의 통일의식의 결정요인: 새로운 분석모델의 모색. 평화연구, 2014(봄): 167-206.
  19. 이내영.정한울. (2013). 세대균열의 구성요소: 코호트 효과와 연령효과. 의정연구, 19(3): 39-83.
  20. 이성우. (2013). 통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통일여건의식의 상호관계: LISREL을 통한 구조방정식모델 분석. 통일과 평화, 5(1): 115-153.
  21. 장민수.김준석. (2015). 북한 주민에 대한 상충적 태도와 적극적 통일 인식에의 영향. 한국정치연구, 24(1): 111-139.
  22. 임경훈. (2019). 통일의식조사, 2019[데이터 세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연구수행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KOSSDA) [자료제공기관], 2020-09-23, A1-2019-0027, V1.0, http://hdl.handle.net/20.500.12236/24142
  23. 임홍택. (2018). 90년생이 온다. whale books.
  24. 정동준. (2016).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한국정치학회보, 50(5): 131-161. https://doi.org/10.18854/KPSR.2016.50.5.007007
  25. 정은미. (2013). 남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 변화: 2011 ~ 2013년 설문 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통일과 평화, 5(2): 74-104.
  26. 조민. (2003). 통일정책과 국민통합: 보혁갈등을 넘어. 통일정책연구, 12(2): 1-40.
  27. 천관율.정한울. (2019). 20대 남자. 시사인북.
  28. 최슬기.이윤석.김석호. (2019). 세대별로 투표하는 정당이나 후보는 달라지는가?. 한국사회, 20(2): 103-130. https://doi.org/10.22862/KJSR.2019.20.2.004
  29. 통계청. (2020). 2017 국민이전계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