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제정보
본 연구는 2021년 통일부 지원으로 수행되었음.
참고문헌
- 조선로동당 규약. (1946, 1948, 1956, 1961, 1970, 1980, 2010, 2012, 2016, 202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 (1998, 2009, 2012, 2016, 2019.4, 2019.8).
- 고재홍. (2021). 2018년 이후 북한 군사동향의 특징과 전망. INSS 전략보고, 144: 1-14.
- 기세찬. (2012). 중국 당-군관계에 관한 일고찰: 당과 군의 관계의 변화와 현재의 특징. 국방연구, 55(4): 25-52. https://doi.org/10.23011/JNDS.2012.55.4.002
- 김갑식. (2013). 권력구조와 엘리트. 장달중 (편). 현대 북한학 강의. 사회평론.
- 김갑식. (2014). 김정은 정권의 수령제와 당, 정, 군 관계, 한국과 국제정치, 30(1): 29-64.
- 김갑식 외. (2015).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수령제, 당, 정, 군 관계, 권력 엘리트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 김동엽. (2015). 당.정.군 관계의 지속성과 변화. 김갑식 외.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 수령제, 당, 정, 군 관계, 권력 엘리트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 김동엽. (2019).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군사 분야 변화와 전망. 경제와 사회, 122: 76-103.
- 김보미. (2017). 북한의 당군관계, 그 결과: 북핵개발의 국내정치적 요인과 핵전력 지휘통제체계. 현대북한연구, 20(3): 99-137. https://doi.org/10.17321/RNKS.2017.20.3.003
- 김성주. (2017). 북한군 '당위원회'에 관한 연구: 형성과 발전과정, 기능을 중심으로. 국방연구, 60(3): 1-24. https://doi.org/10.23011/JNDS.2017.60.3.001
- 김에스라.오경섭. (2019). 김정은 핵심집단 특성. 오경섭 외. 김정은 정 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 김유진. (2021). 김정은, 사상 첫 전군지휘관 강습 주재...핵 언급 없어. 경향신문, (7월 30일).
- 김인태. (2019).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4기 대의원 선거 결과 분석. INSS 이슈브리프, 116: 1-5.
- 김인태. (2020). 북한의 수령영도체계에 관한 연구: 김정은 시대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 김인태. (2021a). 김정은 시대 10년: 「노동당 중앙지도기관」의 구성과 변화. INSS 전략보고, 133: 1-21.
- 김인태. (2021b). 김정은 시대 10년: 「국가지도기구」의 구성과 변화. INSS 전략보고, 138: 1-24.
- 김일기.김인태. (2021). 북한의 「개정 당규약」 분석과 시사점. INSS 전략보고, 127: 1-17.
- 김일기.채재병. (2021). 제8차 노동당 대회와 북한정치: 평가와 전망. INSS 전략보고, 131: 1-18.
- 김태경.이정철. (2021). 조선노동당 제8차대회 당규약 개정과 북한의 전국 혁명론 변화. 통일정책연구, 30(2): 1-18. https://doi.org/10.33728/UPS.2021.30.2.001
- 김한권. (2018). 2018 중국 양회와 한중관계. IFANS 주요국제문제분석 2018-17,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나영주. (2001). 중국 인민해방군의 경제활동과 당의 대군통제. 한국국제정치학회, 41(4): 233-252.
- 박명규 외. (2011). 북한 김정은 후계체제:구축과정. 엘리트. 정책. 안정성.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 박영자. (2017). 김정은 시대 조선노동당의 조직과 기능: 정권 안정화 전략을 중심으로. 통일연구원.
- 박영자 외. (2018).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KINU 연구총서, 18-22. 통일연구원.
- 박형중. (2019). 권력세습과 통치연합 재편. 오경섭 외. 김정은 정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 서동만. (1996). 북한 당군관계의 역사적 형성: 한국전쟁 이후부터 1961년 전후 시기까지를 중심으로. 통일문제연구, 8(2): 59-193.
- 성균중국연구소. (2021). 19기 6중전회 심층 분석: "시진핑 시대로의 초대". 성균차이나브리프, 130-135.
- 안종철. (1997). 김정일 체제유지와 북한인민군의 이중조직에 관한 연구. 한국동북아논총, 6: 161-182.
- 안치영. (2018). 중국공산당 19차 당 대회 보고와 시진핑(習近平)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 동향과 전망, 102: 144-185.
- 오경섭 외. (2019). 김정은 정권 핵심집단 구성과 권력동학. 통일연구원.
- 오경섭 외. (2021). 김정은 지배체제 구축과 권력 안정화. 통일연구원.
- 오경섭.김진하. (2021). 조선노동당 제8차 대회 분석(3): 정치 분야. Online Series, CO 21-03.
- 이교덕. (2018). 김정은 시대 국가기구의 위상과 역할. 박영자 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KINU 연구총서 18-22. 통일연구원.
- 이기동. (2010). 제3차 노동당 대표자회 이후 북한 권력구조 확립의 쟁점과 과제. 한국과 국제정치, 26(4): 215-242.
- 이기동. (2015). 수령제의 지속성과 변화. 김갑식 외 (2015). 김정은 정권의 정치체제: 수령제, 당, 정, 군 관계, 권력 엘리트 지속성과 변화. 통일연구원.
- 이기동. (2021a). 북한의 8차 당대회 당규약 분석. INSS 이슈브리프, 267: 1-6.
- 이기동. (2021b). 김정은 시기 군에 대한 당적 지도와 통제. INSS 전략보고, 140: 1-13.
- 이상숙. (2019). 북한 김정은 시기 국가기구의 특징: 김일성 김정일 시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북한연구학회보, 23(2): 85-103.
- 이상숙. (2020). 북한의 당정관계 변화와 대외정책: 중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책연구시리즈 2020-14,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
- 이양호. (2003). 중국 인민해방군의 경제활동 축소. 국제정치연구, 6(1): 149-165.
- 이정남. (2020). 시진핑 '신시대' 중국의 정치체제: 당국가체제의 '진화' 와 새로운 패러다임의 권위주의체제의 등장. 중소연구, 44(3): 7-48. https://doi.org/10.21196/APRC.44.3.202011.001
- 이정철. (2018). 쿠바와 북한의 7차 당대회 비교: 당군관계와 체제론. 국방연구, 61(1): 1-20. https://doi.org/10.23011/JNDS.2018.61.1.001
- 이종화. (2012). 중국 당정관계의 지속과 변화. 중국과 중국학, 17: 99-132.
- 이준혁. (2021). 북한군의 제1차 지휘관, 정치일꾼강습회 분석. INSS 이슈브리프, 267: 1-4.
- 임수호. (2021). 8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경제전략 기조와 시사점. INSS 전략보고, 115: 1-21.
- 임수호. (2022). 북한 경제전략 변화의 정치동학: 이데올로기, 이익갈등, 경제정책. INSS 연구보고서 2021-15, 1-127.
- 장윤미. (2021). 중국의 당, 국가, 사회의 관계: 거버넌스 구조의 변화. 중소연구, 45(1): 217-252. https://doi.org/10.21196/APRC.45.1.202105.007
- 장철운. (2021). 북한의 군사력 및 군의 역할 변화에 대한 평가와 전망. 북한 김정은 정권 10년 평가와 전망 학술회의 자료집, (2021.11.2).
- 조영남. (2019). 중국의 엘리트 정치: 마오쩌둥에서 시진핑까지. 민음사.
- 조영남. (2021). 개혁기 중국 엘리트 정치의 연구 현황과 과제. 중소연구, 45(3): 7-101. https://doi.org/10.21196/APRC.45.3.202111.001
- 조영남. (2022). 중국공산당의 세 개의 '역사 결의' 비교 분석. 중국사회 과학논총, 4(1): 4-30.
- 한기범. (2018). 내각의 체계와 특징. 박영자 외. 김정은 시대 북한의 국가기구와 국가성. KINU 연구총서 18-22, 통일연구원.
- 한병진. (2021). 김정은과 엘리트 및 인민의 관계. 오경섭 외. 김정은 지배체제 구축과 권력 안정화. 통일연구원.
- 허규호.안경모. (2020). 김정은 시기 북한 군부의 역할과 성격 변화에 대한 연구: 전문직업주의의 부상을 중심으로. 국방정책연구, 35(4): 69-101. https://doi.org/10.22883/JDPS.2020.35.4.003
- 황태연. (2019). 중국의 당정관계 변화, 마오쩌둥 시대로의 회귀인가?: 시진핑 시대 당정 기구개혁을 중심으로. 현대중국연구, 21(2): 1-35.
- Alaggapa, M. (2001). Coercion and Governance: The Declining Political Role of the Military in Asia. California University Press.
- Albright, David E. (1980). A Comparative Conceptualization of Civil-Military Relations, World Politics, 32(4): 553-576. https://doi.org/10.2307/2010057
- Bruneau, Thomas C and Florina Cristiana Matei, eds. (2015). The Routledge Handbook of Civil-Military Relations. Routledge.
- Bruneau, Thomas C, and Aurel Croissant. (2019). The Nexus of Control and Effectiveness. In: Thomas C. Bruneau and Aurel Croissant (eds). Civil-Military Relations: Control and Effectiveness Across Regimes. Lynne Rienner.
- Burns, John P. (1994). China's Nomenklatura System. Problems of Communisum, 33.
- Colton, Timothy J. (1978). The Party-Military Connections: A Participatory Model.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Colorado: Westview Press.
- Goh, Kevin and Julia Muravska. (2012). Military-Owned Business: Corruption and Risk Reform. Transparency International.
- Grewert, Elke and Zeinab Abul-Magd, eds. (2016). Businessmen in Arms: How the Military and Other Armed Groups Profit in MENA Region. Rowman and Littlefield.
- Herspring, Dale R. (1978). "Introduction."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West-view Press.
- Huang, Yasheng. (1996). Inflation and Investment Controls in China: The Political Economy of Central-Local Relations during the Reform Er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untington, S. P. (1957). The Soldier and the State: The Theory and Politics of Civil-Military Relations. Harvard University Press.
- Kolkowicz, Roman. (1978). Interest Groups in Soviet Politics: The Case of the Military.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Westview Press.
- Lieberthal, Kenneth. (1995). Governing China: From Revolution Through Reform. W. W. Norton.
- Mendee, J. (2015). Civil-military relations in a dictatorship: North Korea. In Bruneau, Thomas C and Florina Cristiana Matei. (eds). The Routledge Handbook of Civil-Military Relations. Routledge.
- Odom, William E. (1978). The Party-Military Connection: A Critique. In Dale R. Herspring and Ivan Volgyes. (eds).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Systems. Westview Press.
- Peceny, Mark, Caroline C. Beer and Shannon Sanchez-Terry. (2002). Dictatorial Peac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96(1): 15-26. https://doi.org/10.1017/S0003055402004203
- Perlmutter, Amos and William M. LeoGrande. (1982). The Party in Uniform: Toward a Theory of Civil-Military Relations in Communist Political System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6(4): 778-789. https://doi.org/10.2307/1962970
- Schurman, Franz. (1968). Ideology and Organization in Communist China. 2nd ed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Shirk, Susan. (1993). The Political Logic of Economic Reform in Chin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Way, Christopher and Jessica Weeks. (2013). Making It Personal: Regime Type and Nuclear Proliferation.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8(3): 705-719.
- Zheng, Yongnian and Gang Chen. (2015). The Chinese Communist Party: an institutional perspective. In, David S.G Goodman (ed) Handbook of the Politics of China. Edward Elgar Publi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