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 National Guard the root of the reserve power

예비전력의 효시(嚆矢) 호국군(護國軍)의 성격에 관한 연구

  • 박종현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군사학과 )
  • Received : 2022.11.29
  • Accepted : 2022.12.31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Although the Korea National Guard(KNG) has a short history, it has a great meaning in that it is the first of the Korean reserve forces system. Research on the KNG has been passively conducted so far. Even so, the research conducted was limited to a fragmentary description from a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did not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G. Therefore, in this study, after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the KNG existed, we tri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KNG from a new perspective from legal, institutional, military, and political perspectives. In summary, the KNG was born as an efficient system in preparation for war while receiving legal support. In addition, the adoption of the volunteer army system, a recruiting system of advanced countries, the fact that officers were trained through a separate military academy unique to the KNG, and that they contributed to rear area operations are highly evaluated from a military standpoint. On the other hand, it is negative that politicians and non-military groups colluded from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KNG. Finally, with this study as an opportunity,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reserve force that existed before the Korean War will become more active.

호국군은 비록 짧은 역사였지만 대한민국 예비군제도의 효시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이러한 호국군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소극적으로 진행되어 왔다. 그나마도 진행된 연구는 역사적 관점에서 단편적인 서술에만 국한되어 왔고 호국군의 성격을 규명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호국군이 존재했던 시대적 배경을 살펴본 다음 법적·제도적, 군사적, 정치적 관점의 새로운 시선에서 호국군의 성격을 규명하고자 노력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호국군은 법률적 지지를 받으면서 전시에 대비한 효율적인 제도로 탄생하였다. 그리고 선진국형 모병제도인 지원병제를 채택했다는 점, 호국군만의 별도 사관학교를 통해 장교를 양성했으며 후방지역작전에 기여했다는 점은 군사적 측면에서 높이 평가된다. 반면, 호국군을 창설하는 과정부터 정치권과 비군사단체가 결탁하였다는 점은 부정적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계기로 6.25전쟁 이전에 존재했던 예비전력에 관한 연구가 좀 더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박명수, "1946년 미군정의 여론조사에 나타난 한국인의 사회인식", 한국정치외교사논총, 제40집, 제1호, p. 46, 2018. 
  2. 노영기, "국방경비대.육군의 세력 분포와 숙군", 수선사학회, 제33권, p. 278, 2009. 
  3. 노영기, "여순사건 이후 한국군의 변화와 정치화",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제100권, p. 36, 2020. 
  4. 조관행, "카터 행정부의 주한미군철수에 대한 미의회의 입장 변화에 관한 연구", 군사, 제100호, p. 322, 2016. 
  5. 노경호, "주한미군철수와 방위태세", 부산공업대학교 논문집, 제19권, p. 5, 1978. 
  6. 법률 제9호, 「국군조직법」, 1948. 11. 30 제정. 
  7. 대통령령 제52호, 「병역임시조치령」, 1949. 1. 20 제정. 
  8. 호국군사관학교총동창회, "호국군사", pp. 26-53, 2001. 
  9. 海野幸德, "我國傷病兵扶助の指導原理として綜合組織の創設(下)", 朝鮮社會事業協會, Vol.19 No.3 pp. 31-32, 1941. 
  10. 早田伊三, "漢江未會有の水災に對する各團體の活動", 朝鮮社會事業協會, Vol.3 No.8 p. 31, 1923. 
  11. 이나미, "국가형성기(1945-1960) 한국 시민사회 제도사: 사회영역을 중심으로" 시민사회와 NGO, 제14권 제1호, p. 18, 2016. 
  12. 한성일보, "호국군모집요강", 1948. 01. 18 기사. 
  13. 윤시원, "제1공화국기(1948-1960) 육군 예비전력 동원체제의 형성, 군사, 제111호, p. 8, 2020. 
  14. 육군종합학교전우회, "실록, 六二五韓國戰爭과 陸軍綜合學校", p. 32, 1995. 
  15. 국회회의록, "제1회-102호, 3. 시국대책에 관한 의결안", p. 3, 1949. 11. 20. 
  16. 임송자, "여순사건과 시국수습대책위원회를 통해 본 정부와 국회의 갈등.대립", 실록사학, 제35집, p. 304,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