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fficient Digital Evidence Processing in Case Transfer : Focused on Military and Police Case Studies and Expert Interviews

사건 이송 시 효율적인 디지털 증거 처리 절차에 관한 고찰 : 군·경 사례연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김영준 (아주대학교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 김완주 (아주대학교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 임재성 (아주대학교 국방디지털융합학과)
  • Received : 2022.05.09
  • Accepted : 2022.06.14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Recently, as soldiers are allowed to use mobile phones, cases are frequently transferred from the police to the military due to criminal acts, and digital evidence is collected separately from the reliability of previous investigations, such as overlapping seizure and search procedures. In this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practitioners in charge of digital evidence in the military, police, and courts, problems related to digital evidence handling, such as infringement of evidence ability due to overlapping human factors and procedures, are derived and analyzed. The presented procedur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dure through case analysi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guarantee of the evidence capacity of digital evidence and the efficiency of handling cases.

최근 병사의 휴대전화 사용이 허용되면서 범죄 행위와 연루되어 경찰에서 군대로 사건 이송 소요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사건 이송 시 디지털 증거의 인수가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경찰에서 진행하였던 압수·수색 절차를 중복하는 등 이전 수사의 신뢰성과 별개로 디지털 증거를 재수집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군대·경찰·법원에서 디지털 증거를 담당하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및 포커스그룹인터뷰(FGI)를 통해 사건 이송 시 인적 요소와 절차 중복으로 인한 증거능력 침해가 발생하는 등의 디지털 증거 취급에 관한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사건 이송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는 준비-수집-추출-정리-결과의 5단계로 구성된 디지털 증거 처리 절차를 제시한다. 제시한 절차는 사례 분석을 통해 절차의 실효성을 검증하였고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보장과 사건 처리 효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방부, 2020 국방백서, 2020.
  2. 한경정치, "병사들 휴대전화 사용 허용 2년 반...군대에서 벌어진 일", 2021년 10월, 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21101599797.
  3. 경찰청훈령 제914호 "사건의 관할 및 관할사건수사에 관한 규칙", 2019.
  4. 경찰청, 2021 경찰백서, 2021.
  5. 전승수, "디지털 증거 압수절차의 적정성 문제 - 피압수자 참여 범위 및 영장 무관 정보의 압수를 중심으로 -", 형사판례연구, 제24권, pp.613-643, 2016. https://doi.org/10.23102/KACCS.2016.24..019
  6. 김주석, 손지영,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판단에 관한 연구", 서울 : 사법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
  7. 이광열, 최윤성, 최해랑, 김승주, 원동호, "현행 증거법에 적합한 디지털 포렌식 절차", 정보보호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81-91, 2008.
  8. 서주연, "압수된 디지털 증거의 검증에 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 제27권 제2호, pp.229-258, 2013. https://doi.org/10.35147/KNPSI.2013.27.2.229
  9. 조규태. "위법수집증거의 증거능력에 관한 소고", 법학논총, 제16권, pp.259-286, 2006.
  10. 신양균,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상 위법수집 증거배제법칙", 형사법연구, 제26권 제2호, pp.447-477, 2014. https://doi.org/10.21795/KCLA.2014.26.2.447
  11. 김윤섭, 박상용, "형사증거법상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형사정책연구, 제26권, 제2호, pp.165-214. 2015.
  12. 강미영,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외법논집, 제43권, 제3호, pp.149-167, 2019. https://doi.org/10.17257/HUFSLR.2019.43.3.149
  13. 김준한, 정두원, 이경호, "신뢰 가능한 디지털 증거의 무결성 보장 절차에 대한 연구",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0권, 제5호, pp.527-538, 2013.
  14. 대법원, "2013도2511 판결", 2013.
  15. 김남훈, "군 환경에서의 디지털 포렌식 기반 증거수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4.
  16. 국방부훈령 제2503호 "군사경찰 범죄수사규칙", 2020.
  17. 김영준, 김완주, 임재성, "AHP기법을 적용한 디지털 증거의 증거능력 수준 평가방법 연구", 제14권, 제4호, PP.350-367, 2020.
  18.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디지털 증거 수집 보존 가이드라인", 2017.
  19. 의정부지방법원, "2018노3609 판결", 2019.
  20. 대법원, "2019도17142 판결", 2020.
  21. Michael Quinn Patton, "Qualitative Research & Evaluation Method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Thousand Oaks, CA : Sage, 2014.
  22. 김성은, "유전자 가위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법제도 운영 방안에 대한 고찰 : 빅데이터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를 중심으로",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23. Juliet corbin and Anselm Strauss,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CA: Sage, 1990.
  24. 대법원, "2015도137261",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