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Real Life Comparative Analysis of Representations for Length and Time

초등 수학 교과서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길이와 시간에 대한 표현 비교 분석

  • Received : 2022.06.27
  • Accepted : 2022.07.15
  • Published : 2022.07.31

Abstract

Measurement plays an important role in both school mathematics and real life. Among the measurement areas, length is the first to learn and is the basis for measurement. Time is measured in its own way and is characterized by being the most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nd representations in real life to examine how the length and time of learning in school mathematics differ from those represented in real life. Based on this, we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measurement education and elementary math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concept of length was used the same in real life and school mathematics. However, terms such as distance, depth, and height were not defined,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approximate value was presented in a fragmentary form. In addition, there were parts where students were likely to feel confused in school mathematics and real life, such as the same units such as 'minutes and seconds' were used in time. Therefore, considering these difference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direction of composition of math textbooks and teaching and learning so that students can connect school mathematics and real life and understand widely about measurement concepts.

측정은 학교 수학과 실생활 양측에서 중요하게 역할한다. 측정에서 다루는 여러 속성 중 길이는 가장 먼저 학습하는 것으로 측정의 기초가 되며 시간은 고유의 방법으로 측정하는 가장 추상적인 속성이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 수학 교과서와 실생활에서 나타나는 표현을 분석하여 학교 수학에서 학습하는 길이와 시간이 실생활에서 표현되는 것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수 학습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길이에 대한 개념은 실생활과 학교 수학에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으나 거리, 깊이, 높이 등의 용어가 정의되지 않은 채 혼용되고 있었으며 어림값의 표현이 단편적인 형태로 제시되었다. 또한, 시간을 측정하기 위하여 복잡한 체계를 이해해야 하고 시각과 시간을 표현할 때 '분, 초' 등의 단위가 동일하게 사용되는 등 학생들이 혼란을 느끼기 쉬운 부분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길이와 시간에 대한 표현의 차이를 인식하고 지도하여 학생들이 학교 수학과 실생활을 연결하고 측정 개념에 대하여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초등 수학 교과서 및 교수 학습 과정의 구성 방향을 고민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윤지(2022). 이중 수사(數詞) 체계 지도에 대한 논의. 초등수학교육, 25(2), 161-178.
  2. 고정화(2010). 길이 어림과 관련된 교과서 분석 및 대안 모색. 수학교육논문집, 24(3), 587-610.
  3. 교육과학기술부(2012a). 수학 2-1. 서울:두산동아.
  4. 교육과학기술부(2012b). 수학 3-1. 서울:두산동아.
  5. 교육부(2014a). 수학 2-1. 서울:천재교육.
  6. 교육부(2014b). 수학 3-1. 서울:천재교육.
  7. 교육부(2015).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8].
  8. 교육부(2020a). 수학 1-2. 서울:비상교육.
  9. 교육부(2020b). 수학 2-1. 서울:비상교육.
  10. 교육부(2020c). 수학 2-2. 서울:비상교육.
  11. 교육부(2020d). 수학 3-1. 서울:비상교육.
  12. 교육부(2021a). 수학 1-1 교사용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13. 교육부(2021b). 수학 2-2 교사용 지도서. 서울: 비상교육.
  14. 구미영, 이광호(2015). 인지적 요구 수준 및 사고수준의 발달방향에 따른 초등학교 길이 측정 단원의 수학과 제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3), 387-408.
  15. 권미선(2019). 시각과 시간에 대한 초등학교 2학년 학생들의 이해 실태 조사. 수학교육학연구, 29(4), 741-760.
  16. 길본일(2006). 시간 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7. 김숙자(1992). 유아 수놀이 경험과 교육. 서울: 양서원
  18. 남기심, 고영근(1993). 표준국어문법론. 탑출판사.
  19. 남지현, 장혜원(2016). 시각과 시간에 대한 초등학생의 수학적 이해 분석. 한국초등수학학회지, 20(3), 479-498.
  20. 박교식, 임재훈(2005).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무정의 용어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5(2), 197-213.
  21. 방정숙, 권미선, 김민정, 최인영, 선우진(2016). 길이와 시간에 관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분석: 측정의 교수.학습 요소 및 수학 교과 역량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18(2), 301-322.
  22. 이수진, 김민경(2017). 초등학생들의 다양한 어림 전략을 통한 길이 어림 분석. 초등수학교육, 20(1), 1-18.
  23. 임미인, 장혜원(2018). 초등학교 2학년의 부러진 자를 이용한 길이 측정 활동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8(1), 97-112.
  24. 조영미, 임선혜(2010). 시간 지도에 관한 초등수학교과서 비교 연구-한국, 싱가포르,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21-440.
  25. 주영희, 김성준(2009). 측정 영역 수학학습부진아의 오류 유형 및 지도 방안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3(4), 717-736. https://doi.org/10.24231/RICI.2009.13.4.717
  26. 최병훈, 방정숙, 송근영, 황현미, 구미진, 이성미(2006). 한국과 싱가포르의 초등 수학 교과서 비교 분석: 도형과 측정 영역을 중심으로. 학교수학, 8(1), 45-68.
  27. Barrett, J. E., & Clements, D. H. (2003). Quantifying Path Length: Fourth-Grade Children's Developing Abstractions for Linear Measurement. Cognition and Instruction, 21(4), 475-520. https://doi.org/10.1207/s1532690xci2104_4
  28. Guven, D., & Argun, Z. (2022). Mathematical Language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the Context of Length. Athens Journal of Education, 9(1), 79-102. https://doi.org/10.30958/aje.9-1-6
  29. Lehrer, R. (2003). Developing understanding of measurement. In J. Kilpatrick, W. G. Martin, & D. Schifter (Eds.), A research companion to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pp. 179-19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0. Long, K. & Kamii, C. (2001). The Measurement of Time: Children's Construction of Transitivity, Unit Iteration, and Conservation of Speed.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1(3), 125-131.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1.tb18015.x
  31. McGuire, L. (2007). Time after time: What is so tricky about time? Australian Primary Mathematics Classroom, 12(2), 30-32.
  32. Menon, R. (1998).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perimeter and area.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8, 361-367.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8.tb17306.x
  33. Monroe, E. E., Orme, M. P., & Erickson, L. B. (2002). Working Cotton:Toward an Understanding of Time.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8, 475-479. https://doi.org/10.5951/tcm.8.8.0475
  34. National Council of Teacher of Mathematics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35. Outhred, L., Mitchelmore, M., McPhail, D., & Gould, P. (2003). Count me into Measurement: A Program for the Early Elementary School. In D. H.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Yearbook (pp. 81-99). Reston: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36. Pace, R.D. (2004). On time with Arthur.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0(8), 416-419. https://doi.org/10.5951/tcm.10.8.0416
  37. Sarama, J., & Clements, D. H. (2009).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Learning Trajectories for Young Children. London: Routledge.
  38. Sarama, J., Clements, D. H., Barrett, J. E., Cullen, C. J., Hudyma, A., & Vanegas, Y. (2021). Length measurement in the early years: teaching and learning with learning trajectorie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24.
  39. Smith, J. P., van den Heuvel-Panhuizen, M., & Teppo, A. R. (2011). Learning, teaching, and using measurement: introduction to the issue. ZDM, 43(5), 617-620. https://doi.org/10.1007/s11858-011-0369-7
  40. Zacharos, K. (2006). Prevailing Educational Practices for Area Measurement and Students' Failure in Measuring Areas. The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5(3), 224-239. https://doi.org/10.1016/j.jmathb.2006.09.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