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istorical Values of the Changes of Forest and the Major Old Big Trees in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경복궁 후원 수림의 변화과정 및 주요 노거수군의 역사적 가치규명

  • Received : 2022.06.07
  • Accepted : 2022.06.20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Gyeongbokgung Palace's back garden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and drawings such as Joseon Ilgi(Diaries of Joseon Dynasty), Joseon Wangjo Sillok(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Doseongdaejido(the Great Map of Seoul), Bukgwoldohyeong(Drawing Plan of the Northern Palace), the Bukgung Palace Restoration Plan, Restoration Planning of Gyeongbokgung Palace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was famous for its great location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that it was named Namkyeong at that time and was a place where a shrine was built, and that castles and palaces were already built during the Goryeo Dynasty under the influence of Fengshui-Docham(風水圖讖) and Zhouli·Kaogongji(周禮考工記). Although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tayed out of the limelight as a back garden for the palace, it has a place value as a living space for the head of the state from King Gojong to the present. Second, in order to clearly identify the boundaries of back garden, through literature such as map of Doseongdo (Map of the Capital), La Coree, Gyeongmudae Area, Japanese Geography Custom Compendium, Korean Photo Album, JoseonGeonchukdoJip(The Illustration Book of Joseon Construction), Urban Planning Survey of Gyeongseong, it was confirmed that the current Blue House area outside Sinmumun Gate was built outside the precincts of Gyeongbokgung Palace. It was found that the area devastat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was used as a space where public corporations were combined through the process of reconstruction during the King Gojong period.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ce value as a back garden of the primary palace was damaged, as the palace buildings of the back garden was relocated or destroyed, but after liberation, it was used as the presidential residence and restored the place value of the ruler. Third, in the back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spatial changes proceeded through the Japanese Invasion and Japanese colonial era. The place with the greatest geographical change was Gyeongnongjae area, where the residenc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was built, and there were frequent changes in the use of the land.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Gyeongmudae area, the forests next to the small garden, and the forests of Baekak were preserved in the form of traditional forests. To clarify this, 1:1200 floor plan of inner Gyeongmudae residence and satellite images were overlapped based on Sinmumun Gate,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water path originating from Baekak still exists today and the forest area did not change. Fourth, in the areas where the traditional forest landscape was inherited, the functional changes in the topography were little, and major old-age colonies are maintained. The old trees identified in this area were indicator tree species with historical value. Representatively,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located in Nokjiwon Garden, is presumed to have been preserved as one of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planted next to Yongmundang, and has a historicality that has been used as a photo zone at dinners for heads of state and important guests. Lastly, in order to continuously preserve and manage the value of Gyeongbokgung Palace in Blue House, it is urgent to clarify the space value through excavation of historical materials in Japanese colonial era and establish a hierarchy of garden archaeology by era. In addition, the basis for preserving the historical landscape from the Joseon Dynasty to the modern era from Gyeongbokgung Palace should not damage the area of the old giant trees, which has been perpetuated since the past, and a follow-up study is needed to investigate all the forests in Blue House.

본고는 최근 74년만의 개방으로 수많은 관람객이 방문하고 있는 청와대 경복궁 후원 공간의 변화과정을 통하여 후원 경관의 역사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조선일기와 조선왕조실록, 도성대지도, 북궐도형, 경복궁 복원기본계획 등의 사료와 도면 등을 근거로 경복궁 후원의 시원과 발달과정을 고찰하였고 이를 통하여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조선시대 경복궁 후원은 고려시대부터 명당으로 이름난 지역이었고 당시 남경으로 명명되며 신궁이 조성된 지역이었고 고려시대 이미 풍수도참사상과 주국의 고공기의 영향을 받아 궁성과 궁궐이 조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조선시대 전기 경복궁 후원은 궁궐의 후원으로 각광받지 못하였으나 고종 시기부터 현재까지 국가 통치권자의 생활공간으로서의 장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둘째, 후원의 경계는 도성지도, La Coree, 경무대일원, 일본지리풍속대계, 한국사진첩, 조선건축도집, 경성부 도시계획 조사서 등의 문헌을 통해 신무문 밖 현재의 청와대 권역이 경복궁의 경외에 조성된 후원임을 규명하였다.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황폐화된 지역을 고종시기 중건과정을 거쳐 공사(公私)가 결합된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에는 후원의 전각들이 이건되거나 훼철되며 법궁의 후원으로서의 장소성이 훼손되었으나 광복 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며 다시금 통치자의 장소라는 가치를 회복하게 되었다. 셋째, 경복궁 후원은 왜란과 일제강점기를 통해 공간의 변화가 크게 일어났다. 지형적 변화가 가장 큰 곳은 조선총독부관저가 건립되었던 경농재 일원으로 토지의 용도변화가 빈번하였다. 반면 현 경무대지역과 소정원 옆 수림과 백악의 수림은 전통적 수림의 형태를 계승하며 보존되었다. 이를 명확하게 규명하기 위하여 1:1200의 경무대관저경내부지배치도와 위성사진을 신무문 기준으로 중첩하였고 그 결과 백악에서 발원한 물길이 현재에도 여전히 유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물길을 따라 오늘날까지도 수림지역이 변화하지 않고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전통적 수림경관이 계승된 지역들은 지형의 기능적 변화가 미비하였고 더불어 주요 노거수군이 존치되고 있다. 이 지역에서 확인되는 노거수는 역사적 가치를 가지는 지표수종들이었다. 대표적으로 녹지원에 자리한 반송은 융문당 옆 식재된 반송 중 일부가 보존되어 온 것으로 추정되며 국가원수와 중요 귀빈들의 만찬 시 포토존으로 활용되어온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와대 내 경복궁 후원의 가치를 지속적으로 보존관리하기 위해서는 일제강점기 사료들에 대한 발굴을 통해 공간의 가치를 명확히 규명하고 시대별 정원고고학적 층위의 위계를 설정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또한 경복궁으로부터 청와대로 이어지는 조선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역사경관을 보존하기 위한 근거는 과거부터 영속되어온 청와대 경복군 후원 노거수군의 영역대를 훼손하지 않아야하며 청와대 내 수림을 전수 조사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은경(1999). 풍류. p76.
  2. 대통령경호처(2019). 청와대 주변 역사.문화유산.
  3. 김성도(2018). 고종조 중창된 경복궁 후원 영역 및 건축 규모 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34(8).
  4. LEE(2020). 경복궁 녹산의 성립과 경관적의의. 전통조경학회. 38(4).
  5. 석시탁(임진왜란 시기). 조선일기.
  6. 변계량 외 2인(조선). 태종실록 1권 북쪽.
  7. 개인소장(1962). 서울지도.
  8. 홍영의(2011). 고려시대 남경 경영의 배경과 공간영역. 한국중세사학회. 68(0): 215.
  9. 고려사(935). 권2. 태조6월; 夏六月 甄萱與季男能乂, 女哀福, 嬖妾姑比等奔羅州.... 賜楊州爲食邑,兼賜金帛.奴婢各四十口.廐馬十匹, 以先降人信康爲衙官.
  10. 고려사 권11. 숙종 4년 9월; 九月 令宰臣日官等, 議建南京于楊州. (남경 건립을 논의하다).
  11. 고려사 권7. 문종 10년 2월; 癸卯 始創興王寺于德水縣.
  12. 홍영의(2022). 고려시대 남경 경영의 배경과 공간영역. 한국중세사학회. 68(0): 225.
  13. <세조실록 권16>. 세조 5년 4월 22일 기사.
  14. 김상헌(1654). <청음집>.
  15. 고종실록 권2. 고종2년 4월 2일 기사. 初二日. 大王大妃敎曰: "景福宮, 卽我朝定鼎初首建之正衙也. 規模之正大, 位置之整肅, 仰見聖人心法, 而政令施爲, 無一不出於正, 八域蒼生, 咸蒙福佑, 自此宮始焉。 不幸兵燹之後, 迄未重建, 久爲志士之嗟歎. 今因政府之重修, 每憶國朝盛時, 民物之殷盛, 明良之登庸, 益切欽誦羨慕之心. 仍念翼廟代理之年, 屢幸舊闕, 周審基址, 慨然有重營之志, 而未卒焉. 憲廟屢欲繼述志事, 而又未及擧. 嗚呼! 若有待於今日矣. 今我主上, 自在潛邸, 亦嘗遊覽. 而近日每歎祖宗御此宮時太平氣像, 何爲而今不如古乎? 此不但肯堂肯構之聖意也, 有以見度量之弘大. 是惟生靈之福, 而無疆之基, 實基於此. 予心不勝慶幸, 重建此宮以恢中興大業. 不可不與諸大臣謀之, 時原任大臣, 明日賜饌後留待."
  16. 청와대경호처(2019). 청와대 주변 역사문화유산. p62.
  17. 고종 5년(1868). 9월 10일 승정원일기. "營建都監, 隆文堂定礎, 九月十三日申時, 立柱, 同月二十八日寅時, 上樑, 十月十二日卯時, 隆武堂定礎, 九月十七日午時, 立柱, 同月二十六日卯時, 上樑, 同月二十九日申時."
  18. 도성삼군문분계지도(175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복제본.
  19. 도성대지도(1754~1760). 서울역사박물관.
  20. 북궐도형(904년 이후 제작). 경복궁 중건 이후 전각구성의 변화. p 9. 문화재청.
  21. 경복궁 공진회 확장지도(1915년). LH토지주택 박물관.
  22. 도성지도(1770년경). 서울대규장각.
  23. 1904년 경무대 일원. La Coree(Viletard de Laguerie, 1904).
  24. 경복궁 전경(1930). 일본지리풍속대계 조선편: 일본 신광사.
  25. 조선총독부 가스설비공사설계도(1930년경). 국가기록원.
  26. 사진으로 보는 경복궁(2006). 문화재청.
  27. 동아일보 1935년 5월 4일 보도사진. 경무대 비원진 공간으로 존재.
  28. 경무대관저경내부지배치도(1938). 국가기록원.
  29. 대경성부대관(1936) 일본제작. 서울역사발물관.
  30. 총독부령 측량도면<總督府鈴木上田氏案>(1915년). LH 토지주택박물관.
  31. 경복궁 주변 항공사진(1954). 서울역사박물관.
  32. 녹지원 반송 항공사지. 2022년 문화재청 제공.
  33. 청와대 나무이야기(1963). 청와대 경호처.
  34. 박정희 전 대통령과 모범용사 기념사진(1971).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35. 김영삼 전 대통령 어린이날 행사(1994).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
  36. 문재인 전 대통령과 트럼프 전 대통령 정상회담(2019). 뉴시스(국사편찬위원회).
  37. 제0884호 조선총독부 관보(1915). 국사편찬위원회.
  38. 제0988호 조선총독부 관보(1915). 국사편찬위원회.
  39. 1928년 9월 20일 신한민보 융무융문철거기사. 국사편찬위원회.
  40. 岡田貢. 융무당 융문당 반송. 국사편찬위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