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rt Therapy Program Proposal for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ir Spouses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제안

  • Received : 2022.04.18
  • Accepted : 2022.06.17
  • Published : 2022.07.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rt healing program that can be used in the fiel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interaction between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ir spouses. Therefore, after considering the preceding studies, the art healing program was constructed in five stages: survey-analysis-design-plan-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theoretical discourse. In addition, by pilot application to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and their spouses using the Y Dementia Relief Center, the art healing program provides internal positive resources, strengthens mutually beneficial resources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improve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by experiencing relationships with neighbors in the local community.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an art healing support plan that supports dementia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gether before entering a super-aging society.

본 연구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선행연구를 고찰한 후 이론적 담론에 근거하여 조사-분석-설계-구안-실행 및 평가의 5단계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또한 Y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 및 배우자들에게 시범 적용하여, 예술치유 프로그램이 내적 긍정자원 마련, 부부간 상호 호혜적 자원 강화, 지역사회 이웃과의 관계 경험으로 삶의 만족도 및 행복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초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치매 환자와 가족을 함께 지원하는 예술치유지원책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Keywords

I.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세계적으로 노인 인구의 급속한 증가는 전통적 가족 구조의 해체와 규모 축소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자녀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생활하는 노년기 부부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가구 추계에 따르면 60세이상 부부가구는 2010년 140.2만에서 2019년 268.7 만 가구로 증가했고, 2047년에는 545.8만 가구로 증가할 예정이다[11[2]. 정서적지지 및 상호의존적 관계[3] 로서 배우자 간의 역할과 책임이 부각되고 있는 것이다. 노년기 부부는 신체 기능 저하와 건강 쇠약으로 불안감을 함께 경험하고, 서로 보호하는 유대적인 관계로 정서적지지, 도구적 및 돌봄 지원이 상호 호혜적으로 이루어진다[4lI5]. 이는 배우자의 존재 자체가 노년기의정신 건강과 삶의 질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 미한다[6].

고령화시대에 점차 증가하고 있는 치매는 노인 돌봄부담이 큰 질병으로[7] 진행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경증치매노인은 어느 정도 독립적인 생활은 가능하나, 기억력 감퇴, 인지기능 저하를 경험하며 생활상 불편함과 우울, 고립감등의 정신 건강적 변화를 경험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돌봄과 치유가 필요하다[8][9].

치매노인 돌봄은 대부분 재가의 형태로 배우자나 자녀가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10]. 치매환자의 70% 이상이 가정 내에서 비공식적인 부양을 받고 있으며 이 중배우자 비율은 40%에 이른다[11]. 배우자가 주 부양자일 경우 극심한 스트레스, 의사소통 및 친밀도 결여, 상실과 우울감 등을 경험한다[8]. 이는 부부간 상호 정서적 호혜관계의 불균형, 친밀감과 유대감 저하[12], 증상경중에 따라 치매노인뿐 아니라 배우자에게도 고통이 동반되어[13] 정서적 상실과 행복한 삶의 유지가 어려 우며, 서로 다른 고통을 겪는 중에 받는 스트레스로 치매노인과 부양자 모두 삶의 질이 저하됨을 의미한다 [14-17].

반면 치매환자는 자신과 가족의 삶의 질 유지'를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있음이 보고되었다[18]. 경증치매노인은 자신과 타인을 돌볼 수 있는 여력이 있으며, 도움을 제공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인정받길 바란다[19]. 치매 노인의 가족 및 사회관계 안에서 삶의 질 향상에 대한 욕구가 짐작되며, 경증치매노인은 무조건적 돌봄의 대상이 아닌 배우자와 상호호혜 관계의 가능성이 시사되는 부분이다. 이에 경증치매노인과 가족이 함께 행복한 삶의 질을 영위할 수 있는 심리지원 서비스가 요구된다 하겠다.

실제 가족 동반 심리지원 프로그램의 효과성과 필요성이 국내외 연구에서 확인된다. 가족 동반 심리사회 프로그램이 삶의 질 향상에 효과적이며[20], 초기치매환자와 부양자 동반 조기중재 프로토콜 실행이 긍정적의사소통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보고[21]와 함께 노년기의 건강수준을 고려한 상호 이해와 관계 증진 프로그램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22]. 세계적 추이도 치매예방 및 치료를 위한 가족과 사회 커뮤니티 개입에 85%이상의 비용이 집중되고 있다[23]. 치매환자와 부양자가 함께 활동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개선,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유적 개입의 필요성 제기[24]는 가족중심 치매예방 프로그램 적용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이때 미술기반 예술치유 프로그램은 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 향상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이 될 수 있다. 미술치료는 미술매체를 활용한 감각자극과 창조적 과정으로 자유로운 내면언어표출과 정서적 안정을 전달하고, 집단미술치료는 활발한 의사소통 환경 조성으로 긍정적 상호작용을 이끌어낸다[251[26]. 실제 치매 노인 및 부양자 대상 예술 기반심리치료 선행 연구에서는 긍정정서 향상과 부정정서완화의 효과성이 확인된다[27-30]. 이는 치매노인과 배우자가 미술치료를 경험할 때 삶의 질 향상을 돕는 정서 안정, 긍정적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부부, 가족, 커뮤니티에 이르기까지 예술치유의 시스템적 이점이 작용됨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예술치유 지원책을 마련하고자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이론적 담론에 근거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현장 시범 적용 후 최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부부 동반 삶의 질 향상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하며, 이는 개인과 부부, 이웃의 삶의 질을 향상시켜 건강한 지역사회 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시점에서 세계보건기구(31]에서 지향하는 치매 친화적 지역사회구축을 돕는 자료로써의 활용을 기대한다.

2. 연구의 범위

본 연구의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예술치유의 의미,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의 필요성, 국내외 예술치유 현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둘째,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제 시범 적용하여, 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 향상 및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예술치유의 의묘

예술치유는 예술을 도구로 활용해 인간의 심리·심리사회·사회적 문제 개선과 회복을 통한 전인적 성장을 이르게 하는 것이다[32]. 예술치유와 예술치료는 회복, 신체·심리·정신건강과 안녕 추구라는 공통된 목적을 지닌 동시에 출발점과 세부목적 접근에 있어 구분점을두기도 한다[32]. 그러나 예술치유는 임상 기준이 아닌 참여자 스스로의 판단하에 자기강화 과정이 가능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33]. 넓은 의미에서 예술치유는 정서·심리·정신신체의 문제와 불균형한 갈등변화의 예방과 전인적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다[341I35].

예술치유의 효과는 개인영역에서의 본질적 혜택과 사회적 영역에서의 도구적 혜택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개인의 혜택이 스필오버 효과(Spillover effect)에 의해 공적혜택으로 연결되어 사회전반에 걸친 공동체의 유기적 시스템 작동이 가능하다[34]336]. 개인적에서 공적으로 이어지는 예술치유 스필오버 시스템은 [표 1] 과 같다.

표 1. 예술치유 스필오버 시스템[34]

예술치유의 1차 단계 개인적 혜택은 예술 본질을 통한 회복(Recovery)을 의미한다. 과거에 대한 회상과 애도를 예술로 표출하는 과정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고, 부정적 감정을 건강하게 승화시켜 과거의 자신을넘어 자기 긍정의 힘을 얻게 되는 것이다[341I37]. 2차단계는 내면의 의미화를 통한 강화(Empowerment)로회복을 통해 긍정적인 수용을 경험하면 자기인식이 강화되어 외부로 확장됨을 의미한다. 이는 관계 안에서의존재감 획득, 자기개발과 확신을 통한 효능감 형성, 자기 삶에 대한 조망과 성찰 능력을 얻는 과정으로 이어진 다[38]. 3차 단계 공적 혜택은 사회적 영향에 따른 공동체 의식(Community)을 의미한다. 회복과 강화를 통해 형성된 사회적 관계에서 공동체 의식을 갖게 되는 과정으로 예술치유의 사회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다[39].

이처럼 예술치유는 개인의 일상회복, 삶에 대한 긍정적 자기강화, 타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재 연결을 통해 변화가 나타나는 특성을 지녔으며, 개인과 지역사회에 이르기까지 예술을 통한 삶의 질 향상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33][40].

2.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미술기반 예술치유의 필요성

예술에 기반 한 치매 부부 대상 프로그램은 긍정 정서 변화를 위한 방안이 될수 있다. 지역사회 지지망 기반의 집단 활동은 치매노인과 부양자 양측의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41]. 언어능력 저하와 기억상실을 지닌 경증치매노인은 구조화된 예술 활동에서 창의적 표현으로 의사소통이 촉진되며, 이는 경증치매노인의 긍정 정서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부양자 혹은 1차 치료 파트너의 소진까지도 감소시킨다[16]. 사회적 지지기반 활동은 피부양자와 부양자 가족 모두에게 스트레스 완충역할을 하여 행동장애 감소, 부양자 부담 저하, 부부 의사소통 개선으로 삶의 질이 향상된다[15].

경증치매노인도 배우자에게 외적자원의 역할로서 가능한 부분이 있다. Lyons 등의 연구[42]에서 부양자의 스트레스는 수혜자의 질병수준이나 보살핌의 양보다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느냐와 더 관련 있으며, 역할에대한 속박과 과부하, 간병의 효율성과 함께 간병 받는 배우자의 평가가 중요한 원인이라고 밝히고 있다. 상대를 긍정적으로 평가·인식하는 것이 부부관계의 중요한 자원이며, 특히 부양을 책임지는 배우자에게 정서적 지지가 충족되는 경험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돌봄제공자와 수혜자간 관계의 질과 서로에 대한 평가가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정서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12] 에서도 확인된다. 이를 통해 경증치매노인의 외적자원역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부간 서로에게 제공할 수 있는 지역사회 기반 치매예방 프로그램 확산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이처럼 부부 동반 예술치유 활동은 지역사회의 치매예방을 위한 긍정적 역할이 가능하다. 개인의 창작경험이 공동체 커뮤니티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예술치유의 개념[36]은 치매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노력과 연결되어 노인들의 사회적 접촉빈도를 높이고, 이는 인지기능저하 완화로 이어져 치매예방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23]. 특히 미술기반 예술치유는 미술매체가 지니는 고유의 성질과 촉진 속성으로 내면표출 및 자기표현이 가능[43]해 긍정정서 변화와 의사소통에 적합하다. 또 완성 작품에 심리적 변화 투영과 승화가 가능하다는 점[43]에서 창조적 작업을 통한 내적갈등 해소와전인적 성장이라는 예술치유의 예방적 차원[34][35]의 목적을 이루기에 효과적이다.

3.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 현황

경증치매노인과 부양자를 위한 예술치유 기반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면 해외사례는 치매환자와 배우자의 관계개선을 위한 대화형 모델기반 미술치료[44]에서 긍정적인 상호작용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 치매진단을 받은 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가정에서의 미술기반 예술치유 접근을 통해 일상 속 창조적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45]. 국내 사례는 생애사를 책으로 만들어 부부의 관계 증진 및 정서지원을 도모하는 연구 사업이 확인된다[8].

그러나 치매 노인 및 부양자 대상 예술 기반 심리치료 선행 연구[27-30]의 대부분은 동반이 아닌 개별로 진행되었다. 동반 진행한 치매 노인과 배우자의 창조적 작업은 가정에서의 단일 사례였으며[45], 노년기 부부가 집단미술치료에 동반 참여한 연구가 있으나 치매 진단이 없는 일반 노인 대상이었다[46]. 다른 치료영역에서 예술을 활용한 치매노인 대상 프로그램 접근은 치매노인과 배우자가 종결까지 함께 참여한 것은 확인되나 인지기능 개선, 사회성 및 신체활동 회복에 초점이 맞 추어져[47-50], 삶의 질 향상 등의 정서적 지원은 빈약한 실정이다[51]. 더불어 치매환자 부양자 및 가족 대상프로그램은 치매인식과 자기관리 교육, 자조모임 형성에 머무르고 있다[52-55].

Ⅲ. 예술치유 프로그램 제안

1. 프로그램 개발 절차

본 연구에서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 및행복감 향상을 목적으로 조사-분석-설계-구안-실행 및평가'의 단계로 예술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진행하였다.

먼저,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대상으로 하는 치유 실태파악을 위해 국내외 웹기반 데이터베이스 검색후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이후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대상 예술치유의 목적및 개입의 맥락을 삶의 질 향상과 긍정적 상호작용으로 설정하였다.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집단에게 적합한 예술치유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조사·분석-설제-개발-실사·총괄평가의 과학적 절차로 진행하는 박인우[56]의 모형을바탕으로 한 신규리 외[57]의 조사-분석-설계-구안의기본 절차를 활용하였다. 프로그램 지침서 개발이나 형성평가 등 교육공학적 특성을 제외하고, 예술치유 전문가 검토를 통한 프로그램 수정이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여기에 만족도 등 평가 절차를 보완하고[58], 평가 측면에서 참여자 만족도 결과는 프로그램 수혜대상 집단 파악으로 조정 및 개선[59]에 효과적이기에 마지막 단계에 배치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조사-분석-설계-구안-실행 및 평가의 5단계로 프로그램 개발절차가 이루어졌다. 현장 상황에 따라 수정·보완이 순환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며 프로그램 개발 단계별 내용은[그림 1]과 같다.

그림 1. 프로그램 개발 절차와 내용

① 조사단계에서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대상 예술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문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② 분석단계에서는 예술치유 스필오버 과정과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정서적 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목표 설정 및 구성을 확인하였다.

③ 설계단계에서는 프로그램 목표에 따라 전반적인 전략과 단계별 방법을 설정하였다.

④ 구안단계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시행한 프로그램 중목표에 적합한 활동을 선정해 구성한 후, 연구자를 포함한 평정자 2인이 평가기준에 따라 검토하였다. 또한, 노인 대상 예술치유 경험이 풍부한 현장전문가 1인과 미술치료 전공 교수인 슈퍼바이저의 평가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였다.

⑤ 실행 및 평가단계에서 예비 프로그램을 현장 적용하였으며, 종료 후 예술치료사 등 프로그램 실행인력성찰보고를 토대로 프로그램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참여 대상자에게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최종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 프로그램 구안

2.1 조사단계 선행연구분석

조사단계에서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예술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론배경을 확인하고 선행연구들의 문헌을 고찰하였다. 예술치유의 스필오버 효과로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 향상이 가족, 지역사회로 확장되는 과정을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가족 상호작용 및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피부양 노인과 부양자를 위해 개발된 Legacy Project[60]의 기억의 공유 과정과 활동 요소, 노인성 치매 환자 부부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회고 요법[8]은 본 프로그램 구성의 전체 맥락으로서 확인하였다. 세부적으로는 대상 집단 욕구 파악을 위해 치매노인 대상 예술치료 연구 [27][28][30], 치매 노인을 부양하는 배우자 대상 예술치료 연구[61], 노년기 부부 미술치료 연구[46]를 통해 현황을 확인하였다.

2.2 분석단계 : 프로그램 목표설정

분석단계에서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향상과 긍정적 상호작용이 지역사회 치매예방으로 연결되는 스필오버 효과의 흐름으로 예술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더불어 전체 맥락 안에서각 대상의 특수성을 고려한 발달적 욕구, 주요 문제점예술치유 현황, Legacy Project' 활동요소가 반영되도록 검토한 후, 본 프로그램의 구안을 통한 프로그램 목표를 기술하였다. 또한, Legacy Project'와 예술치유스필오버'의 맥락에 따른 구성요소를 문헌연구,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의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분석한 후,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를 설정하였다.

2.2.1 프로그램 목표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목표는 예술창작활동을 통해 개인의 회복이 부부의 삶의 긍정적 자원 형성으로 이어지고, 가족, 친구, 이웃 모두가 공유할 수 있는 긍정적인 상호작용 경험으로 확장되어 주관적 만족감 즉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2.2.2 프로그램 구성요소

본 프로그램은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가 예술치유프로그램을 통하여 삶의 질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향상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프로그램의 내용은 'Legacy Project'의 의미 있는 활동에서 회상을 통한 감사함의 자원 확인과 상호작용, '예술치유'의 개인 회복이 사회적 혜택으로 이어지는 회복-강화-공동체의 스필오버 맥락에 따라 설정하였다. 개인회복 단계에서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예술을 통한 회상요법 중심으로 구성하고, 내면 강화단계에서는 노년기 부부의 상호 호혜적 자원을 재인식하고 강화하여 부부 맞춤의 상호작용을 할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공동체 단계에서는 지역사회로 확장된 긍정적 관계를 경험하여 삶의 만족감이 향상하도록 하였다.

'회복'은 회상을 통한 긍정자원 확인으로 예술 활동에서 창작몰입 경험으로 부정정서를 환기시키고 과거를 수용하며 개인의 내부 긍정자원 확인을 목적으로 한다. 인지·정서적 요소를 고려한 회상요법은 긍정경험을 회상하고 과거의 미해결된 갈등과 감정을 안전하게 표출 후 극복하도록 도와 개인의 정서를 긍정적으로 재조직한다[62]. 이는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모두에게 생활의 활력과 우울감 극복의 자원이 되고 심리 적응에 도움을 준다[63].

'강화'는 상호 호혜적 긍정자원 강화로 서로의 강점과 감사함을 재확인하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부부의 내부자원 확인을 목적으로 한다. 부부가 함께하는 삶 안에서 서로의 존재감을 재인식하고, 이를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와 신뢰를 재구축하는 것이다. 긍정적인 심리상태는 비부양자 노인과 가족 부양자 모두에게 스트레스 대처 자원이 된다[64]. 강점 접근(strength-based approach)은 부부만의 경험과 지식을 통해 함께 살아온 생활을 회고하며[8], 그들만의 자원과 정서를 형성하기에 상호 호혜적 긍정자원을 강화하기에 효과적일 것 2020.

'공동체'는 긍정적 관계 경험 확장으로 삶의 만족감 향상을 이루는 것이다. 가족과 친구, 이웃으로 확장된 긍정적 관계 경험이 지역사회 안에서 소속감과 존재가치를 확인하며 삶의 만족감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노인들은 사회적 활동을 통해 역할 상실의 부작용을 줄이고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유지할 수 있다[65]. 새로운 경험에서 삶의 의미를 확인하고 긍정적 생활도 할 수 있게 된다[66]. 부부 모두의 사회적 활동 참여로 형성된 자아존증감은 결국 부부관계의 친밀감으로 연결되는인과관계에 있다. 이는 곧 개인의 심리적 만족이 부부공동의 삶과 정서적 만족감 향상[65]으로 귀결됨을 짐작할 수 있다.

2.2.3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는 'Legacy Project'와 '예술치유 스필오버'의 맥락을 바탕으로 구성하였으며 목표별 내용은 [표 2]와 같다.

표 2. 프로그램 회기별 목

이때 총 12회기, 회기별 소요시간은 총 150분으로 하되 활동 중간 쉬는 시간(60-20-70분)을 두어 단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노인 및 치매대상 미술치료 연구[67][68]에서 일반노인(16~20회기, 90~100분)과 의학적 진단 노인(11~15회기, 60분 이상)에게 가장 효과적인 접근이 다르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경증치매노인을 기준으로 하되 배우자의 활동 만족도를 함께 높일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2.3 설계단계: 프로그램 구안 방향 및 제시전략마련

설계단계에서는 본 프로그램의 목표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구안방향을 제안하였고 제시전략과 회기별 활동단계를 설정하였다.

2.3.1 프로그램 구안 방향

참여자의 회상을 통해 일상생활 속 자원 확인, 새로운 예술경험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동질감을 느끼는 부 집단과의 소통으로 구성하였다. 이 과정을 개인, 부부, 집단의 형태로 공유하며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예술을 통한 즐거움이 삶의 만족감으로 연결되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2.3.2 프로그램 제시 전략 및 회기별 활동단계

본 프로그램은 12회기에 걸친 개인-부부-공동체로이어지는 개별 및 집단 활동의 과정을 통하여 긍정적상호작용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회기별 활동단계는 도입-활동-나누기의 3단계로 구성하였다. 매 회기 초반에 실시하는 도입단계는 인사 및 간단한 몸풀기 운동을 시작으로 이전 회기에 작업한작품사진을 활동책자에 붙이고 이야기를 나누며 회상을 돕도록 하였다. 이때 작품 사진과 함께 Legacy Project'의 활동 팁과 개입 요소를 반영하여 가족·친구가 전달한 메시지 함께 적기, 부부끼리 책자를 교환후자필메시지 주고받기로 상호작용을 독려한다. 이후음 악, 동영상, 이미지로 구성된 자료를 감상하며 회기 주제와 목적, 기대효과를 쉽게 이해하고 흥미를 높이고자 하였다. 활동단계는 참여자마다 다른 숙련도 및 이해 정도를 고려하여 미술 매체활용 방법과 제작과정을 난이도별로 시연 후 본 작업을 진행하였다. 나누기 단계는 완성된 작품을 집단원이 함께 공유하고 이야기 나누며 활동 내에서 긍정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후 작품 사진을 찍어 가족이나 친구에게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반복적인 스마트폰 활용 방법 안내, 뉴미디어를 통한 메시지 피드백으로 외부자원 지원을 독려하였다.

2.4 구안단계: 프로그램 구안 및 타당성 검토

구안단계에서는 설계한 프로그램의 타당성, 적합성을 평가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2.4.1 프로그램 평가

회기별 목표에 따라 적합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미술치료 석사 졸업 후 현장에서 활동 중인 연구자 포함 2인이 수집한 프로그램을 평정하였다. 목표에 가장 부합하도록 매체, 주제를 고려하여 선정한 후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술치유 경험이 있는 예술가에게 매체특성에 따른 기법 및 표현방법, 비용효율 측면을 검토하였다. 회기별로 최종 2개의 재구성프로그램을 목표부합, 대상적합, 비용효율 3가지 선택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평가·검토는 [표 3]의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표 3. 프로그램 회기별 목표

2.4.2 프로그램 적합성 검수

예비 구성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이론적 타당도와 현장에서의 구현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실무이론과 현장 감독 경험이 풍부한 미술치료 전공 슈퍼바이저 1인과 예술치유·교육 현장에서 노인 대상 경험이 많은 교수자 1인에게 자문을 요청하였다.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와 논리의 맥락성, 전체 목표 달성을 위한 회기별 목표 적절성을 확인하였으며, 자문 결과에 따른 수정·보완 사항은 [표 4]와 같다.

표4. 프로그램 전문가 주요 자문결과 및 수정·보완 사항

2.4.3 최종 프로그램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관련 예술치유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프로그램 목표 설정 및 점검, 프로그램 구안및 전략 마련, 프로그램 타당성 평가로 이어지는 과정을 통해 고안된 최종 프로그램은 표 5와 같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삶의 질과 긍정적 상호작용을 향상하는데 있다. 개인의 긍정적 예술 경험이 부부, 이웃으로 확장되는 예술치유의 스필오버 효과로 건강한 지역사회 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목적에 따라 예술치유 프로그램은 총 12회기로 구성하였으며, 1~2회기는 신뢰구축(즐겁고 편안한 예술 환경), 3~5회기는 회복(회상을 통한 긍정자원 확인), 6~9회기는 강화(상호 호혜 긍정자원 강화), 10~12회기는 공동체(긍정적 관계경험 확장으로 삶의 만족감 향상)로 최종 확정하였고내용은 [표 5]와 같다.

표 5.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를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1~2회기 오리엔테이션은 프로그램 이해와 동기부여 를돕고, 부부 집단 간의 자기소개를 통해 친밀감을 형성한다. 온도감과 쉬운 기법 적용으로 흥미유발과 긴장 이완, 예술에 대한 심리적 장벽을 낮추고자 하였다. 3~5회기에서는 개인의 관점에서 어린 시절, 부부, 가족에 대한 회상을 통해 긍정자원 확인을 돕는다. 6~9회기는 부부 상호 감사 표현, 강점을 재확인하며 심리·정서 상호 호혜적 관계의 가능성을 통해 긍정자원을 강화하도록 한다. 10~12회기는 부부 집단이 협동으로 하나의 작품 만들기, 서로에 대한 지지로 외부자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긍정적 관계경험이 확장되어 삶의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

2.5 실행 및 평가단계: 프로그램 현장적용 및 평가

실행 및 평가 단계에서는 예비 프로그램을 현장 적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설계한 연구자가 예술치료사로 미술치유 경험이 있는 예술가, 미술치료전공 학부생 2 인이 실행인력으로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Y치매 안심센터 담당자에게 프로그램 목적과 방법을 설명 후 협조를 통해 의도적 표집으로 선정하였다. 종료 후 참여자의 만족도 및 사후 검사 실시, 예술치료사 등 실행인력의 성찰보고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확인 하였다.

2.5.1 프로그램 현장 적용 및 정성적 평가

총 12회기 4단계(신뢰구축- 회복-강화-공동체)로 구성된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 및 행복감 향상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을 Y치매안심센터를 이용하는 부부 2쌍(4명)에게 모의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현장적용 후 예술치료사 및 실행인력의 성찰과정을 통해 예술치유의 의미 맥락에서 결과를 살펴보았다. 1단계 신뢰구축'은 미술에 대한 부담과 경직을 보이거나 큰흥미가 없었던 참여자들이 2회기 따뜻한 물에 손수건을 적셔 물감이 번지는 활동으로 긴장이 완화되고 예술활동 적응에 효과적인 라포가 형성되었다. 전문가 검토과정에서 요구되었던 매체, 구성요소 재점검을 위해 회기시작 한주 전 예비단계를 실행하였으며. 따뜻한 물 교체 시간 확인, 한지와 면 손수건 동시 준비 등 참여자들이 예술 활동에 편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수정·보완 하였다. 2단계 회복'은 과거의 힘든 기억, 가족이 함께한 추억을 회상하며 유연성이 높은 여러 색감의 매체를 활용하여 개인의 창작활동 몰입을 통한 자기표현과 즐거움이 가능하였다. 개인 작업으로 진행된 1, 2단계는 치매노인의 창작 과정에 간섭이 많았던 배우자들의 태도가 공유로 전환되었으며, 몰입 경험이 내면탐색을 도와 긍정자원 형성 과정이 확인되었다. 3단계 '강화'는 부부가 함께 하는 작업으로 감사의 말 전하기, 온기를 나눈 스킨십 등을 통해 잊고 지냈던 애정과 내·외적 자원 강화로 행복감을 형성해 나갔다. 이를 통해 부부관계 안에서의 존재감을 재확인하고 소통 및 신뢰가 이어지는 모습이 확인되었다. 4단계 공동체"에서는 부부 협동-집단 협동 작업을 경험하며 서로에게 격려의 말을 적극적으로 건네었다. 또 상황인지가 부족했던 경증치매 참여자들도 배우자와 다른 부부에게 먼저 칭찬하기, 인사, 주변 챙기기 등이 나타났다. 예술치유 경험은 가정에서도 재현되어 가족까지 확장되었으며, 집단 안에서 소통하며 사회 접촉의지를 확인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현장 모의실행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사례 작품과상호작용을 돕는 활동책자는 [그림 2-6]과 같다.

그림 2. 마음에 스미다, 신뢰구축 단계

그림3. 긍정자원 형성과정의 나무 연작, 회복-강화 단계

그림 4. 당신과 내가 맞잡은 손, 상호호혜 강화 단계

그림 5. 협동 회전 만다라, 공동체 단계

그림 6. 매회기 도입에서 실시한 활동책자 작업

2.5.2 프로그램 만족도 조사

프로그램 종결 후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에게 따로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프로그램 만족(매우 만족 100%), 도입 영상매체 만족(매우 만족 75%, 만족 25%), 프로그램 참여 후 가족커뮤니케이션 만족(매우 만족 50%, 만족 50%)으로 나타났다. 예시작을 모사하는 것보다 상상 실현 과정이 좋았으며, 예술 활동 경험에서 느낀 즐거움, COVID- 19로 소통의 기회가 적은 시기에 다양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어서 좋았음을 전했다. 기억에 남는 프로그램은 부부가 함께 석고손 본뜨기를 했던 당신과 내가 맞잡은 손'을 선택했으며, '60여 년 동안 함께 살면서 손을 맞잡고 크림을 발라준 적이 처음이며, 모든 과정이 기억에 많이 남는다고 하였다. 모든 참여자들이 예술치유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감을 보였으며, 기회가 있다면 또 다시 해보고싶다, 이웃에게 추천해 함께 하고 싶다 등의 의견을 주었다. 한편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배우자는 활동은 만족하나 경증에서 중증으로 진행 중인 부인의 치매 예방 측면에서 효과가 아쉽다는 의견을 전하였다.

I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예술치유 프로그램이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의 삶의 질 향상과 긍정적 상호작용에 효과적인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토대로, 실제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예술치유 프로그램 제안하였다. 또한 Y치매 안심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 및 배우자들에게 시범 적용하여 내적 긍정자원 마련, 부부간 상호 호혜적 자원 강화, 지역사회 이웃과의 관계 경험으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행복감 증진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은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에게 창작을 통한 몰입의 즐거움을 제공 하고, 동반자로서 서로에게 표현하지 못한 감사와 존중을 전하며 부부 모두에게 효과적인 상호 호혜적 자원을 형성하였다. 추억을 함께 회상하는 주제를 제공해 가족 부부, 이웃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으로 긍정적인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나아가 개인의 예술을 통한 치유적 경험은 지역사회 안에서의 소속감, 이웃과 나누고 싶은 욕구로 이어져 예술치유의 스필오버 과정이 실제 효과로 재현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예술치유 프로그램이 치매증상을 지닌 부부단위 대상에게 긍정적 상호작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예방적 개입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현장실행 가능성과 대상 만족도 향상을 위해 미술 매체 및 치유적 환경 조성 등 예비 점검이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는 점은 예술치유 프로그램이 다른 분야와 차별되는 주요한 시사점이다. 이때 현장 실행에서 예술치유활동을 이끈 연구자는 미술 매체기반의 창조적 체험을 통해 예술성이 강조되도록 하였다. 또 집단 참여자 모두의 창조적 경험을 공유하는 가운데 개인의 심리적 문제를 극복하도록 긍정자원을 형성하는 예방적 차원에 중점을 두었다.

한편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모두에게 치유적인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정서적 측면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경증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완화에는 한계점이 있었다. 감각적인 미술매체와 미술활동으로 구체적 표현을하며, 프로그램 개입 시에도 개인-부부-집단의 단계별 접근을 통해 개인적-공적 혜택의 스필오버 시스템의 예술치유 효과를 단계적으로 경험하도록 하여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모두의 치매예방차원의 인지 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였다. 그러나 경증치매노인의 자기긍정을 통한 승화와 인지기능 향상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는 프로그램 초반 구성이 예술치유의 개인적 혜택 중 예술을 통한 자기표현과 즐거움에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이에 추후에는 일상 주제를 적용하여 부부 공동 작업을 통한 치유효과 후속 연구 및 인지측면의 보완이 가능한 매체 적용이 필요하겠다. 이는 일상 추억의 공유로 긍정적 무형의 유산을 남기는 Legacy Project'의 목적[60]과 공동의 미술작품이 의사소통 도구로서 활용되어 긍정 자원이 되는 창의적 작업의 효과[94]와 맥이 닿는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예술치유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통해 서로 다른 수준의 고통을 지닌 경증치매노인과 배우자 모두에게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심리·정서의 예방적 치유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시사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예술치유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연구를 통한 타당성과 신뢰성 확인이 필요하며, 치매노인 증상정도에 따른 예술치유 개입 프로토콜의 구분, 미술과 함께 다른 예술 치유영역과 전문적 협업을 통한 확장된 치매노인 부부대상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0~2035, 통계청, 2012.
  2.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2017~2047, 통계청, 2019.
  3. 김대숙, 노년기 부부의 관계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7.
  4. 강유진, "부부 단독가구 노인의 가사분담, 평등감, 의사소통이 부부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6권, 제2호, pp.361-374, 2015. https://doi.org/10.7856/kjcls.2015.26.2.361
  5. 이윤경, 김세진, 황남희, 임정미, 주보혜, 남궁은하, 이선희, 정경희, 강은하, 김경래, 2020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6. 염지혜, 전미애, "한국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변화가 자녀로부터의 지원 제공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제36권, 제1호, pp.151-172, 2016.
  7. https://www.nia.nih.gov/health/what-dementia-symptoms-types-and-diagnosis.
  8.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인성 치매 환자 부부의 삶의 질 증진과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부부 중심 생애사회고 요법[연구보고 HI13C1652], 보건복지부, 2013.
  9. 장혜영, 한송이, "재가 치매노인 배우자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예측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30권, 제4호, pp.518-527, 2019. https://doi.org/10.12799/jkachn.2019.30.4.518
  10. M. I. Andreakou, A. A. Papadopoulos, D. B. Panagiotakos, and D. Niakas,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for caregivers of Alzheimer's diseas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2016.
  1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502241733747712
  12. K. S. Lyons, S. H. Zarit, A. G. Sayer, and C. J. Whitlatch, "Caregiving as a Dyadic Process: Perspectives From Caregiver and Receiver,"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Vol.57, No.3, pp.195-204, 2002.
  13. Q. Y. Wang and D. M. Li, "Advances in art therapy for patients with dementia," Chinese Nursing Research, Vol.3, No.3, pp.105-108, 2016. https://doi.org/10.1016/j.cnre.2016.06.011
  14. H. Brodaty and M. Donkin, "Family caregivers of people with dementia," Dialogues in clinical neuroscience, Vol.11, No.2, pp.217-228, 2022.
  15. P. Gellert, A Hausler, R. Suhr, M. Gholami, M. Rapp, A. Kuhlmey, and J. Nordheim, "Testing the stress-buffering hypothesis of social support in couples coping with early-stage dementia," PloS one, Vol.13, No.1, p.e0189849, 2018.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189849
  16. K. Levenberg, D. R. George, and E. Lokon, "Opening Minds through Art: A preliminary study evaluating the effects of a creative-expression program on persons living with dementia and their primary care partners," Dementia, Vol.20, No.7, pp.2412-2423, 2021. https://doi.org/10.1177/1471301221997290
  17. X. Li, J. Keady, and R. Ward, "Transforming lived places into the connected neighbour hood: a longitudinal narrative study of five couples where one partner has an early diagnosis of dementia," Ageing & Society, Vol.41, No.3, pp.605-627, 2021. https://doi.org/10.1017/S0144686X1900117X
  18. Y. Maki, W. Ohashi, H. Hattori, and T. Suzuki, "Discrepancies in persons with dementia, family members, and physician perspectives of dementia treatment: a descriptive study," Psychogeriatrics, Vol.21, No.4, pp.596-604, 2021. https://doi.org/10.1111/psyg.12710
  19. R. V. Herron and M. W. Rosenberg, "Not there yet: examining community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heir partners in care," Social Science & Medicine, Vol.173, pp.81-87, 2017.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16.11.041
  20. Institute of Medicine, Committee on the Future Health Care Workforce for Older Americans, Retooling for an Aging America: Building the Health Care Workforce, National Academies Press, p.89, 2008.
  21. C. J. Whitlatch, K. Judge, S. H. Zarit, and E. Femia, "Dyadic intervention for family caregivers and care receivers in early-stage dementia," The Gerontologist, Vol.46, No.5, pp.688-694, 2006. https://doi.org/10.1093/geront/46.5.688
  22. 이은지, 전혜정, "일생생활수행 의존도가 중.고령자 우울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부부관계 만족도의 조절효과," 가족과 문화, 제27권, 제1호, pp.48-68, 2015.
  23. G. Livingston, A. Sommerlad, V. Orgeta, S. G. Costafreda, J. Huntley, D. Ames, and N. Mukadam, "Dementia prevention, intervention, and care," The Lancet, Vol.390, No.10113, pp.2673-2734, 2017. https://doi.org/10.1016/S0140-6736(17)31363-6
  24. https://bmjopen.bmj.com/content/7/7/e016740.abstract
  25. 김준수, 공마리아, "집단미술치유가 경도 신경인지장애 노인의 의사소통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술치료연구, 제25권, 제1호, pp.21-39, 2018. https://doi.org/10.35594/KATA.2018.25.1.002
  26. 박주연, 김선희, "사이코사이버네틱 모델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 경증치매노인의 불안, 자아존중감,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5권, 제1호, pp.21-45, 2019.
  27. 김민진, 오미영, "회상중심 집단예술치유가 요양시설거주 치매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삶의 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4권, 제1호, pp.249-271, 2018.
  28. 전지영, 한경아,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질적 사례연구," 문화예술교육연구, 제14권, 제1호, pp.25-54, 2019.
  29. 정성훈, 박은아, 김동현, "마음챙김 인지치유기반 행복증진프로그램이 치매노인 가족수발자의 부양부담감, 우울 및 행복에 미치는 효과," 재활심리연구, 제28권, 제1호, pp.53-72, 2021. https://doi.org/10.35734/KARP.2021.28.1.003
  30. https://www.cochranelibrary.com/cdsr/doi/10.1002/14651858.CD011073.pub2/full
  31. World Health Organization, Global Action Plan on Dementia on the Public Health Response to Dementia 2017-202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7.
  32. 문화체육관광부, 2015 예술치유 프로그램 지원사업성과 및 발전 방안 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016.
  33. 김인설, "사회적 트라우마와 예술치유," 2016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봄 정기학술대회, pp.51-71, 2016.
  34. 서울문화재단, 2013 성북예술창작센터 예술치유 모델/평가체계 개발 및 발전방향 연구-성북예술창작센터 힐링아트랩사업을 중심으로, 서울문화재단, 2013.
  35. 정여주, "예술치유 패러다임을 위한 지원정책의 역할과 전망 - 미술치유 중심으로," 한국예술연구, 제14권, pp.5-31, 2016.
  36. S. Iyengar, Grantham, E. Heeman, R. Ivanchenko, B. Nichols, T. Shingler, and J. Woronkowicz, How art works: 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five-year research agenda, with a system map and measurement model, Washington, DC: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2012.
  37. 노환홍, "예술 교육의 개방성과 치료," 독어교육, 제38권, pp.383-409, 2012. https://doi.org/10.22969/KZFD.2007.38.38.383
  38. 김준, 문화예술 관람이 우울증,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39. J. Onyx and P. Bullen, "Measuring social capital in five communitie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36, No.1, pp.23-42, 2000. https://doi.org/10.1177/0021886300361002
  40. S. Broderick, Interpreting Arts and Health: What (Else) Can an Arts Practice Do?, Technological University Dublin, Doctoral Thesis, 2015.
  41. 김수영, "치매노인 가족부양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가족부양자를 위한 정책대안의 모색," 사회복지정책, No.17, pp.74-102, 2003.
  42. K. S. Lyons, S. H. Zarit, A. G. Sayer, and C. J. Whitlatch, "Caregiving as a dyadic process: Perspectives from caregiver and receiver,"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Vol.57, No.3, pp.195-204, 2002.
  43. 최혜원, 길은영, "루이즈 부르주아(Louise Bourgeois) 작품변화과정과 내면적 치유과정의 연관성 - 미술치료의 매체, 주제, 크기 중심으로 -,"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2호, pp.423-451, 2012. https://doi.org/10.35594/KATA.2012.19.2.012
  44. N. K. Freeman, Art therapy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and spouses with Alzheimer's disease,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Degree of Master, 2012.
  45. J. M. Jeong, "The affective creativity of a couple in dementia care," Culture, Medicine, and Psychiatry, Vol.44, No.3, pp.360-381, 2020. https://doi.org/10.1007/s11013-019-09662-5
  46. 오경희, 최민희, 김택호, "감사표현 집단미술치료가 노년기 부부의 친밀감과 외로움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7권, 제2호, pp.357-379, 2020. https://doi.org/10.35594/KATA.2020.27.2.008
  47. 김환, 김선용, 김예순, 남영희, "과제 지향적 활동프로그램이 치매환자의 자기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12권, 제1호, pp.21-33, 2018.
  48. 이효은, 노인을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1.
  49. 주가영, 치매노인의 기억력 및 지남력 유지를 위한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50. 홍혜전, "노인의 치매행동 관련 홀니스 프로그램 개발과 완충효과 검증," 한국체육학회지, 제57권, 제1호, pp.405-419, 2018.
  51. 서울문화재단, 2015 서울예술교육포럼: 노년의 삶과 문화예술교육, 서울문화재단, 2015.
  52. 김정순, 이수일, 김기태, 박남희, "치매노인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한 자조집단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6권, 제3호, pp.260-269, 2005.
  53. 김소윤, 정성희, "치매노인 가족 지지프로그램이 치매가족의 임파워먼트와치매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03-114, 2019. https://doi.org/10.5977/JKASNE.2019.25.1.103
  54. 연병길, 윤선경, 윤혜진, "치매환자가족의 지지프로그램효과 평가," 장기요양연구, 제7권, 제2호, pp.46-63, 2019.
  55. 홍달아기, "치매노인 부양자를 위한 치료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가정과학회지, 제7권, 제4호, pp.41-54, 2004.
  56. 박인우, "효율적집단상담프로그램개발을위한체계적모형," 계명대학교 학생생활연구, 제20권, pp.19-40, 1996.
  57. 신규리, 김영순, 이미정,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 및 여가인지력 개선을 위한 여가교육 프로그램개발," 여가학연구, 제10권, 제3호, pp.1-22, 2013. https://doi.org/10.22879/SLOS.2013.10.3.1
  58. 김의일, 통합의식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 영성, 관계적 자기, 자기-자비를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59. 이숙영. "국내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의 현황 및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 관련요인," 상담학연구, 제4권, 제1호, pp.53-67.
  60. R. S. Allen, "The Legacy Project intervention to enhance meaningful family interactions: Case examples," Clinical Gerontologist, Vol.32, No.2, pp.164-176, 2009. https://doi.org/10.1080/07317110802677005
  61. 윤영옥, 이근매, "치매노인 부양자의 부양부담스트레스감소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미술치료연구, 제12권, 제1호, pp.307-332, 2005.
  62. 김현민, 전순영, "회상을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5호, pp.1289-1312, 2012. https://doi.org/10.35594/KATA.2012.19.5.016
  63. 김윤정, "회상을 통한 우리나라 여자노인들의 일생과 자아통합감," 노인복지연구, 제18권, pp.207-231, 2002.
  64. S. Folkman, "Positive psychological states and coping with severe stres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45, No.8, pp.1207-1221, 1997. https://doi.org/10.1016/S0277-9536(97)00040-3
  65. 김동배, 이은진, 이경원, "노년기의 사회적 활동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인복지학회, 제62권, pp.203-229, 2013.
  66. 이윤화, "노인의 사회활동 참여가 임파워먼트 수준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지역사회 복지학, 제13권, pp.111-129, 2003.
  67. 송은경, 원희랑, "한국 노인미술치료 연구동향 분석일반노인과 의학적 진단노인을 기준으로," 임상미술심리연구, 제8권, 제2호, pp.87-110, 2018. https://doi.org/10.34167/cliart.8.2.201808.87
  68. 한경아, 문리학, "치매노인 대상 미술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5권, 제3호, pp.285-311, 2019.
  69. 정진숙, 이근매,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콜라주 미술치료가 요양시설 치매 노인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7권, 제1호, pp.131-148, 2010. https://doi.org/10.35594/KATA.2010.17.1.007
  70. 채윤희, 문정민,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 연구, 제25권, 제6호, pp.851-872, 2018.
  71. 김안젤라, "회상을 주제로 한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제24권, pp.153-179, 2004.
  72. 박현철, "오방색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노인의 긍정적 정동과 부정적 정동,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1권, 제2호, pp.25-44, 2011.
  73. 김선명,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2권, 제2호, pp.603-634, 2015. https://doi.org/10.35594/KATA.2015.22.2.016
  74. 이현심, 김승용, "치매노인의 집단미술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제28권, 제4호, pp. 1279-1295, 2008.
  75. 조순천, 공마리아, 최은영,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2권, 제6호, pp.1829-1853, 2015. https://doi.org/10.35594/KATA.2015.22.6.013
  76. 진성희, "집단미술치료가 경증치매노인의 삶의 질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9권, 제1호, pp.153-172, 2009.
  77. 김영숙, 도복늠, "회상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2권, 제2호, pp.483-500, 2005.
  78. http://ihyosung.org/html/board/moim00.asp?board_id=a_board1&group_name=board&idx_num=894&page=36&category=&search=&b_cat=0&order_c=idx_num&order_da=desc
  79. 김선영, 이모영, "공예활동중심 집단미술치료가 독거노인의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예술과 인간, 제2권, 제2호, pp.25-43, 2016.
  80. 박영애,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3권, 제1호, pp.207-230, 2007.
  81. 박한나, 현대미술의 표현매체로서의 세라믹 타일연구,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6.
  82. http://www.dbsc.or.kr/bbs/board.php?bo_table=06 04&wr_id=838
  83. https://youtu.be/o1dvPUL1GyY
  84. 김영신, 전순영,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1권, 제5호, pp.1081-1101, 2014. https://doi.org/10.35594/KATA.2014.21.5.012
  85. 홍희영, 최은영, "긍정심리기반 집단미술치료가 우울노인의 긍정 정서와 건강 지각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3권, 제4호, pp.359-377, 2017.
  86. http://www.cb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61304
  87. 하혜미, 최은영, 전종국,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 미술치료가 시설 거주 경증 치매 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9권, 제2호, pp.405-421, 2012. https://doi.org/10.35594/KATA.2012.19.2.011
  88. 양원영, 전순영,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의사소통과 정서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18권, 제6호, pp.1303-1323, 2011. https://doi.org/10.35594/KATA.2011.18.6.007
  89. 김용숙, 전순영, "종이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소근육 운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제26권, 제5호, pp.901-923, 2019. https://doi.org/10.35594/KATA.2019.26.5.006
  90. 강석영, "집단미술치료가 농촌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및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pp.109-134, 2014.
  91. 김희정, "집단미술치료가 시설거주여성노인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55-275, 2014.
  92. 이지혜, 박수정, "오감자극 집단미술치료가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제15권, 제3호, pp.123-150, 2019.
  93. http://oldster.co.kr/board_gallery/board_content.asp?board_idx=282&tname=board_gallery
  94. I. Jansen and C. Holzle, Ressourcenorientierte Biografiearbeit: Grundlagen-Zielgruppen-kreative Methoden, Springer-Verlag, pp.254-270,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