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ge of Editing Style in YouTube Short-From Content

Youtube 숏폼 콘텐츠의 편집스타일 변화에 대한 연구

  • Kim, Mimi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of Film, TV & Multimedia) ;
  • Byun, Daniel H. (Sungkyunkwan University Dept. of Film, TV & Multimedia)
  • 김미미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 변혁 (성균관대학교 영상학과)
  • Received : 2022.06.20
  • Accepted : 2022.07.25
  • Published : 2022.07.28

Abstract

Short-form content, which means "short video content within 10 minutes," is rapidly emerging as a recent trend among MZ generations based on the fact that it can be viewed whenever there is a short running time, and they are physically short, colorful, and deliver a lot of information in a compressed time, showing differences in both long-form content and format. In addition, entertainment videos such as information delivery videos, eating shows, web entertainment, and dance challenges are mainly produced and distributed, so there is no need to take expertise as a creative work of video experts, and consumers often become producers by directly participating in production using low-end equipment such as smartphones. For these reasons, shortform content creates new image styles rather than general existing image forms such as long-form contents, and this study focuses on changes in editing styles. This study summarized the following five characteristic changes by analyzing the editing style of short form content that has changed compared to long form content according to the 'visual' aspect. The use of frames, memes, screen division, blue screen, and subtitles are included, and by organizing each characteristic, we identified the editing style of shortform content that has emerged as a recent trend and learned about the changes.

'10분 이내의 짧은 동영상 콘텐츠'를 뜻하는 숏폼 콘텐츠(short-form contents)는 그 콘텐츠의 특성상 짧은 러닝타임으로 틈날 때마다 시청할 수 있다는 장점을 기반으로 MZ세대들 사이에서 최근의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은 물리적으로 짧고, 다채로우며, 그 압축된 시간 내에 많은 정보를 순식간에 전달하기 때문에 롱폼 콘텐츠와 내용과 형식에서 모두 상이점을 보인다. 또한 정보전달성 영상이나, 먹방, 웹예능, 댄스 챌린지 등 오락성을 띤 영상들이 주로 제작되고 유통되기 때문에 이전처럼 영상전문가의 창작물로서의 전문성을 띠지 않아도 되며 스마트폰과 같은 보급형 장비를 이용하여 제작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소비자가 곧 생산자가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숏폼 콘텐츠는 롱폼 콘텐츠(long-form contents)와 같은 일반적인 기존의 영상 형태가 아닌 새로운 영상 스타일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본 연구는 그중 편집 스타일의 변화에 집중하여 연구한다. 본 연구는 롱폼 콘텐츠에 대비하여 달라진 숏폼 콘텐츠의 편집 스타일을 '시각적' 측면에 따라 분석하여 다음 다섯 가지의 특징적 변화를 정리하였다. 프레임의 사용, 밈의 활용, 화면분할, 블루 스크린 그리고 자막의 활용이 그것인데 각각의 특징을 정리함으로써, 최근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는 숏폼 콘텐츠의 편집 스타일에 대해 파악하고, 그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용수, 「영화에서의 몽타주 이론」, 열화당, 1996
  2. 김정호, 「(영화제작을 위한) 영화편집의 이해」, 소도, 2006
  3. Dancyger Kan, 「영화 편집 : 기술, 역사, 이론, 미학」, 오명훈, 커뮤니케이션북스, 2011
  4. 편장완, 한승룡, 「편집을 알면 영화가 보인다 : 현대 할리우드 영화의 편집분석」, 위드커뮤니케이션즈, 2002
  5. 김현숙, 「스낵 영상의 영상 문법 : 미니멀리즘과 시각 편의성을 기반으로」 ,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9, 118p
  6. 이윤성, 「텔레비전 방송환경 변화에 따른 영상뉴스 분석 : 구성요소와 서사구조를 중심으로」 ,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170p,
  7. 김정은, 신현군, 「틱톡, 숏폼 문화 속 춤의 초미학 현상 : Virilio, Baudrillard의 속도의 예술을 중심으로」 ,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제6권」, 제2호, 2022, 223-230p
  8. 김정환, 「디지털 영상편집과 합성 및 특수효과의 현재와 미래」 , 「영화연구」, 제16호, 2001, 131-157p https://doi.org/10.17947/KFA..63.201503.005005
  9. 김종국, 「영화편집의 역사, 비판적 검토」 , 「정보디자인학연구」, 제 22권, 2014, 21-30p
  10. 김지원, 「예능프로그램 자막의 시각적 구성과 표현양식에 관한 연구 -MBC <무한도전> 중심으로-」 , 「기초조형학연구 제 14권」, 제2호, 2013, 103-111p
  11. 김현숙, 문재철, 「스낵 영상 콘텐츠의 표현 방식」 , 「애니메이션연구 제14권」, 제3호, 2018, 234-249p
  12. 김현지, 오세림, 조수빈, 「숏폼 콘텐츠 트렌드」 , 「마케팅2020 제54권」, 제7호, 2020, 60-69p
  13. 문대혁, 「영화 편집의 접근법과 변화에 대한 연구」 , 「남서울대학교논문집」, 제25권, 2019, 47-61p
  14. 양기문, 정선형, 이상우, 「영상클립의 인기요인에 대한 실증 연구: 네이버 TV를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2018, 706-718p https://doi.org/10.5392/JKCA.2018.18.06.706
  15. 윤시향, 「에이젠슈타인의 충돌과 비약의 몽타주 - 「전함 포템킨」을 중심으로」 , 「브레히트와 현대연극」, 제7호, 1999, 246-272p
  16. 이진, 「숏폼 동영상 콘텐츠의 유형 연구」 , 「인문콘텐츠」, 제 58호, 2020, 121-139p
  17. 이충직, 「영화의 편집 스타일에 관한 연구」 , 「영화연구」, 제10호, 1995, 140-163p
  18. 정승은, 「스낵컬처 영상에 관한 연구, 72초 대표 웹드라마를 중심으로」 , 「씨네포럼」, 제24호, 2016, 75-99p
  19. 정종원, 「영상편집 시스템의 발전과 향후 전망」 , 「동서언론」, 제9집, 2005, 75-107p
  20. 최승원, 「시대 변화에 따른 영화영상의 페이스에 대한 고찰 : 영상편집을 중심으로」 , 「애니메이션연구 제15권」, 제2호, 2019, 104-121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