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청년 농업인 육성지원제도 개선을 위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Improvement of Young Farmers Fostering Support Policy

  • 김진진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교양학부) ;
  • 이소영 (국립한국농수산대학교 농수산융합학부)
  • Kim, Jin Jin (Department of Liberal Art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 Fisheries) ;
  • Lee, So Yo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Fisheries Busines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griculture & Fisheries)
  • 투고 : 2022.07.07
  • 심사 : 2022.07.14
  • 발행 : 2022.07.18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satisfaction level for the improvement of the young farmers fostering support policy.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current policy to foster young farmers is important. Howev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roject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e importance level. In the 'Keep up the Good Work' area, which is the first quadrant, 'a project to support young succession farmers and settling in farming' and 'a project to select and support succeeding agricultural manager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highly evaluat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Young Succession Farmers Selection and Farm Settlement Support Project' and the 'Succession Farmers Selection and Support Proj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dually expand the project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강혜정. 2017. 청년 농업인.후계인력 육성 방안.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7년 하계학술대회 : 23-39.
  2. 곽승진, 정영미, 김진묵, 배경재, 임미경. 2011. ISA를 적용한 국회전자도서관 품질 평가와 개선방안 수립.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5(3) : 327-343. https://doi.org/10.4275/KSLIS.2011.45.3.327
  3. 김기흥. 2016. 충남 청년 농업인 육성을 위한 실태조사 및 정책 추진 방향, 충남연구원.
  4. 김정호, 김정희, 박해청, 금경연. 2016. 농업.농촌 분야 청년 일자리 등 창출 방안 연구.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사)환경농업연구원.
  5. 나승일, 이용환, 김진모, 강경종, 김종우, 마상진. 2004) 한국농업전문학교 졸업생의 영농 정착 실태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6(4) : 1-19.
  6. 농림축산식품부. 2021) 농식품사업시행지침서.
  7. 농림축산식품부. 2021, 청년 후계농(청년창업형 후계농) 선발 및 영농 정착지원사업. 후계농업경영인 선발 및 지원사업 시행지침.
  8. 마상진, 김강호. 2010. 신규 취농 진입장애 요인과 영농성과의 구조적 관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제33권 제4호 : 1-18.
  9. 마상진, 김남훈. 2019. 청년 창업농의 성공적 정착에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촌경제 제42권 제1호 : 27-49. https://doi.org/10.36464/JRD.2019.42.1.002
  10. 마상진, 정은미, 김경인. 2017. 고령화시대 청년 창업 농업인 육성체계 개선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807.
  11. 소순창, 이창섭, 한형서. 2019. IPA분석을 통한 지방분권정책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관한 실증분석. 지방행정 연구. 33(1) : 119-144.
  12. 이수행, 이상훈, 김정호, 박정지. 2018. 경기도 청년 농부 육성 지원방안. 정책연구 2018-28. 경기연구원.
  13. 이춘수, 강창수, 양성범. 2019. 농가와 농업계 대학생의 영농승계에 대한 인식조사. 유기농업학회지. 27(2) : 111-132.
  14. 임소영, 김정섭, 이실, 김관수, 유도일, 이병훈. 2016. 2016년 농림축산식품부 인력육성 사업군 심층 평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5. 하혜영, 김예성. 2021. 지방소멸 위기지역의 현황과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NARS 입법정책 Vol. 85.
  16. Joanna Tonge, & Susan A, Moore. 2007. Importancesatisfaction analysis for marine-park hinterlands: A Western Australian case study. Tourism Management. 28(3) : 768-776. https://doi.org/10.1016/j.tourman.2006.05.007
  17. Martilla, J.A, & James, J.C. 1977.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Journal of Marketing. 41(1) : 77-79. https://doi.org/10.2307/12504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