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고촌락 역사문화공간 보존을 위한 보호구역 설정 방안 연구 - 중국 굉촌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Preservation Area for the Preserv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n the Ancient Village - Focused on the Hongcun, China -

  • 신현실 (우석대학교 조경학과) ;
  • 대개영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건설공학과)
  • Shin, Hyun-Sil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Dai, Gai-R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Civil Engineering, Graduates School, Woosuk University)
  • 투고 : 2022.02.07
  • 심사 : 2022.03.22
  • 발행 : 2022.03.31

초록

본 논문은 굉촌 고촌락의 특성과 변화과정을 통해 변화된 굉촌 역사문화공간의 보존을 위한 보호구역의 재설정 방안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굉촌과 관련한 고문헌, 고화, 각종 보호 관련 정책자료를 분석하고 인터뷰와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굉촌 내 보존지역과 활용지역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보존지역의 재설정 문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굉촌은 유교, 불교, 도교사상의 영향을 받아 조성된 촌락으로 공간구성은 유교의 위계에 따라 조성되었다. 이로 인해 중앙정부의 보존이 존재하지 않았음에도 선조들의 유산이 계승 보존될 수 있었다. 둘째, 굉촌 고촌락은 고대부터 이어져온 문물의 개념으로 인식되어온 협의적 보존의 개념이 적용되어 왔으나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 등으로 인하여 촌락 공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후 굉촌 보호계획을 계기로 신축 및 증축 등의 규제를 통하여 고건축물, 수체계, 수림 등이 보존되었으나 지속된 개발 압력과 개혁개방으로 인한 원주민의 생활 변화로 보존지역 내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셋째, 고촌락 원주민들은 유산에 대한 가치 인식은 높았으나 생활의 개선과 수익 창출을 위한 방안 및 이를 위한 촌락의 적극적인 활용을 요구하였다. 넷째, 노거수로 이루어진 수림은 복원이 진행되고 있으나 고택 내 정원들은 활용을 위하여 원림공간이 축소되거나 변형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었다. 도로는 본래 고 촌락 진입구인 서측 지역에서 확장된 남측지역에 다리와 주차장이 신설되어 기존 진출입구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는 관광객의 진출입이 편리하도록 도로체계를 변형한 것으로 고촌락 공간변화의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존의 보존지역을 월소를 중축으로 하는 보존 루트로 재설정하여 보존을 진행하는 한편 주변 지역을 직접·간접체험공간으로 설정하여 각 공간의 위계에 따른 보존과 활용을 교차하여 보존 가운데 활용이 진행되어야 한다.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ncient villages in Hongcun and the method of resetting the preservation area for the preservation of the changed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in Hongcun through the process of change. To this end, the current status of preservation areas and utilization areas in the village was identified through ancient documents, old paintings, policy materials, and interviews related to the village, and through this, the problem of resetting the preservation area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Hongcun is a village built under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and the spatial organization was create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Confucianism.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inherit and preserve the heritage of ancestors even though the central government did not preserve it. Second, the concept of preservation in a limited sense has been applied as Hongcun has been recognized as a cultural heritage that has been passed down since ancient times, but the Great Leap Forward and the Cultural Revolution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village space. Since then, ancient buildings, water systems, and forests have been preserved through regulations on new construction and expansion of a building with the Hongchon preservation plan, but the development within the preservation area is underway due to changes in the lives of original inhabitants, which were followed by continued development pressure and reform and opening. Third, the original inhabitant of ancient villages had a high perception of the value of the heritage, but they demanded the preparation of measures to improve living conditions and create profits, and the active use of villages for this. Fourth, the forest consisting of old trees is being restored, but the gardens in the old house are showing a phenomenon that the garden space is reduced or transformed for use. The bridges and parking lots were newly built in the southern area, which was extended from the western area, the original entrance to the ancient village, resulting in changes in the existing entrance. This was found to be the primary cause of the spatial change of the ancient village, as the road system was modified to make it convenient for tourists to enter and exit. Fifth, the existing preservation area should be reset and preserved by resetting the preservation route centered on Wolso(half Moon Pool), while the surrounding area should be set as a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space, and according to the hierarchy of each space, the utilization should proceed while the preservation is carried out by crossing the preservation and the utiliz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http://whc.unesco.org/en/list/
  2. 신현실(2018). 중한 양국 세계유산 보호와 이용에 관한 비교연구. 북경대학교.
  3. 중화인민공화국 건설부(2000). 중국환남고촌락. 중화인민공화국 건설부.
  4. 왕영 외 4(2006). 고촌락형여행지 관리체계연구. 안휘사범대학. 29(3).
  5. 양선림(2016). 여행형촌전의 사회구역 관리 모식연구. 하얼빈공업대학.
  6. 양덕괄(2005). 세계유산서체. 굉촌 경영관리체제탐구. 하얼빈대학보. 22(1).
  7. 주소주(2015). 중국 자연유산보호관념과 관리체제의 구상. 생태보호와 수복. 7.
  8. 왕뢰(2013). 체재시각의 중국문화와 자연유산지 관리체제 개발현황과 방향. 풍경원림.
  9. 우호천(2021). 전통촌락 풍모보호목표 및 발전에 관한 연구 종술, 건축과 문화. 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