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조선시대 양양(襄陽) 하조대(河趙臺)의 유래와 경관에 따른 명승의 향유 방식

The Origin of Hajodae(河趙臺) in Yangyang(襄陽) and the Way of Enjoying Scenic Sites(名勝) According to the Landscape in Joseon Dynasty

  • 김세호 (경상국립대학교 한문학과)
  • Kim, Se-Ho (Dept.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1.12.03
  • 심사 : 2022.03.23
  • 발행 : 2022.03.31

초록

이 글은 양양 하조대의 문헌자료를 바탕으로 그 유래와 경관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 문인들이 향유한 하조대의 문화사를 조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조대는 하륜(河崙)과 조준(趙浚)이 유람한 고사가 전하는 공간이다. 다만 이러한 전설이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았기에 역사에서 는 다양한 이견이 공존했다. 조위한(趙緯韓)은 양양 부로들의 의견을 인용해 조준이 아닌 조인벽(趙仁壁)일 수 있다고 하였고, 조덕린(趙德鄰)은 '멀리 보는 대'라는 의미의 '遐眺臺'로 기록했다. 문헌적 근거를 밝혀 하조대의 유래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둘째, 하조대는 조선 중기 관동 최고의 명승으로 회자되었다. 당대 문인들은 하조대를 관동 최고의 명승 가운데 하나로 거론했고 이는 곧 양양의 상징이 되었다. 이러한 하조대의 기록은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를 보인다. 이는 관동팔경이 정립되고 낙산사(洛山寺)가 명성을 얻으면서 하조대의 위상이 다소 줄어든 데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셋째, 조선의 문인들은 하조대의 다양한 경관을 통해 명승을 향유했다. 삼면이 탁 트인 지세는 바다를 조망할 수 있었고 호연지기를 기르거나 스스로를 성찰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한편, 근경에 해당하는 기암절벽은 유람객의 이목을 사로잡았고, 하조대 일대에 핀 해당화는 기이한 매력을 보이기에 충분했다. 이는 하조대가 지닌 다양한 매력을 보여주고 이와 같은 경관에 대한 관리가 필요함을 암시한다. 넷째, 하조대를 읊은 한시는 하조대가 지닌 그 공간적 의미를 보여준다. 하조대를 주제로 한 한시의 면면을 살펴보면, 경관을 바탕으로 회포를 풀어낸 경우, 자연경관에 자신의 존재를 견주거나 의식을 투영한 면모, 조선 전기 명신 하륜과 조준을 회고한 사례 등이 확인된다. 경관을 통해 자신의 소회를 표출하고 역사를 회고하는 양상으로 귀결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shed light on the cultural history of Hajodae(河趙臺) enjoyed by writers of th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origin and the contents of the landscape based on the literature materials of Hajodae in Yangyang(襄陽).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Hajodae is a space that is said to have been visited by Ha Ryun(河崙) and Jo Jun(趙浚). However, since this story has not been confirmed in the literature, various opinions coexisted in history. Jo Wi-Han(趙緯韓) quoted the opinions of aged people who lived in Yangyang, saying that it could be Jo In-Byeok(趙仁壁), not Jo Jun(趙浚), and Jo Deok-Rin(趙德鄰) recorded it as "遐眺臺", which means "a stand for a distance view." There is a need to clearly present the origin of Hajodae by revealing the literary authority. Second, Hajodae was talked about as the best scenic site in Gwandong(關東)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mid-Joseon Dynasty. The writers of the time mentioned Hajodae as one of the best scenic sites in Gwandong, which soon became a symbol of Yangyang. These records of Hajodae show a relatively decreasing trend ente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believed to be the result of the slight degrading in the status of Hajodae as the Eight Views of Gwandong were established and Naksansa Temple(洛山寺) gained fame. Third, the writers of Joseon enjoyed the scenic sites through various landscapes of Hajodae. The open terrain on three sides allowed a sea view and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a great spirit or to reflect on oneself. On the other hand, the strange rock formations and cliffs, which correspond to a close-up view, drew the attention of tourists, and the Rosa rugosa Thunb. blooming in the Hajodae area was enough to show a bizarre charm. This shows the various charms of Hajodae, suggesting that the management of such landscape is necessary. Fourth, a Chinese poem about Hajodae shows the spatial meaning of Hajodae. Looking into all sides of the Chinese poem about Hajodae, a case of unburdening one's mind on the landscape, and the aspect a person compared oneself to the natural landscape or projected one's consciousness onto it, and a case of recalling Ha Ryun and Jo Jun, illustrious retain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re confirmed. It can be seen that it results in the aspect of expressing one's impressions and looking back on history through the landscap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종덕(2003). 「기암절벽에 부는 푸른 바람의 전설: 하조대」, 밤나무 골 이야기.
  2. 조영남(2016). 「관동 해안지방 명승 향유 방식의 변화」,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국립문화재연구소(2016). 「명승 경관자원 조사연구 및 DB구축(9차): 강원도 양양 하조대 등 6개소」.
  4. https://www.heritage.go.kr/main/
  5.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하조대(河趙台)」 ; 국토지 리정보원, 「한국지명유래집(중부편)」, 「하조대(河趙臺, Hajodae). 2015.
  6. https://www.doopedia.co.kr/
  7. 노재현, 손희경(2017). 「옛 시문과 그림으로 살핀 관동팔경(關東八景)의 형상화 및 정착시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5(1).
  8. 「조선일보」 3면. 「河趙臺亭子建立 探勝道路도修繕」. 1940년 6월 27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