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ngineering Education Model for Citizen - Focusing on the Connection Program Between Colleg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Science Museums -

시민을 위한 공학교육 모델 개발에 대한 연구 - 이공계 대학과 과학관의 연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한현택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초학부) ;
  • 김승규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초학부) ;
  • 박종래 (대구경북과학기술원 기초학부)
  • Received : 2022.03.14
  • Accepted : 2022.05.23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trategy model for engineering education for citizen through the connection between colleges of science and engineering and science museums as a way to achieve citizen science. For this model, the role of universities was redefined as social contributions through engineering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knowledge triangle and university entrepreneurship. In addition, the science museum was re-examined as an engineering education platform and selected as an institution that supports the contribution of colleges to society. For practical model development, the connection types of these two institutions were analyzed as case studies and interview to collect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science museum. In this process, convergence education content development, reinforcement of college-science museum linkage, infrastructure construction, development of college resource utilization plans, and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programs diversification were derived as components for model development. Based on this, engineering education model for citizen was presented that matches educational programs according to the type of participation of colleges including key factors and consideration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 2020R1A6A1A03040516)

References

  1. 권미자.정기주(2021). 국립중앙과학관과 대덕연구개발특구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의 과학문화 프로그램 융합적 협력사례 연구.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39(2), 27-38.
  2. 김동광(2002). 과학과 대중의 관계 변화. 과학기술학연구, 2(2), 1-23.
  3. 김승규.한현택.박종래(2021). 이공계 대학생이 참여하는 청소년 교육용 과학관 전시 컨텐츠 개발. 공학교육연구, 24(3), 11-20. https://doi.org/10.18108/JEER.2021.24.3.11
  4. 김지연(2018). 한국의 시민과학이 전하는 메시지: 1982~2018. 과학기술학연구, 18(2), 43-93. https://doi.org/10.22989/JSTS.2018.18.2.002
  5. 김지예.서수경(2016).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한 국내 대학박물관 기초사례 연구.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56), 3-14.
  6. 김지현(2015). 데이터 관리와 공유에 대한 대학 연구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9(3), 413-436. https://doi.org/10.4275/KSLIS.2015.49.3.413
  7. 김형주 외(2016). 지역 기반의 지식트라이앵글에서 대학의 역할 강화 방안. 정책연구, 1-258.
  8. 김환석(2010). 과학기술 민주화의 이론과 실천. 경제와 사회, 12-39.
  9. 류재훈.유영만(2018). Heidegger 존재론에 비추어 본 교육공학 재개념화: 처방의 의미를 중심으로. 교육공학연구, 34(3), 649-678.
  10. 박문수 외(2013). 대학의 기업가적 역할 확대와 국내 연구중심대학의 경향: POSTECH 사례를 중심으로. 창조와 혁신, 6(2), 81-110. https://doi.org/10.22834/PDS.2013.6.2.81
  11. 박종래(2003). 디지털세대의 커뮤니케이션 전시. 일본전시학회, (34), 4.
  12. 박종래(2006). 과학계박물관의 전시공간계획에 관한 기초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츠쿠바대학 인간종합과학 연구과.
  13. 박진희(2018). 한국 시민과학의 현황과 과제. 과학기술학연구, 18(2), 7-41. https://doi.org/10.22989/JSTS.2018.18.2.001
  14. 신향숙.문만용(2021). 국가의 대표 과학문화기관으로서 국립중앙과학관의 이상과 현실. 과학기술학연구, 21(3), 38-65.
  15. 양시은(2014). 대학구성원으로서 박물관의 역할과 과제. 한국대학박물관협회, 84, 113-131.
  16. 이세민(2016). [제405회 과학기술정책포럼] 지역기반 지식 트라이앵글. 과학기술정책, 26(10), 34-41.
  17. 이윤준.김정호(2021). 기업가적 연구중심대학의 경쟁력 평가: 국내 대학과 해외 대학의 비교 분석. 한국혁신학회지, 16(2), 25-59.
  18. 현혜정.문형욱(2013). 성인의 과학문화 참여 확산을 위한 과학관 전시 연계 융합프로그램 방향제안.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13(1), 437.
  19. 한경희(2005). 공학소양교육의 의미와 과제. 과학기술정책(152), 106-117.
  20. 한경희(2014). 공학교육과 과학기술학(STS)의 학제적 협력 방안 탐색. 공학교육연구, 17(2), 50-58.
  21. 허상성.이민규(2019). 국립부산과학간의 기능과 역할 재정립 및 효율적 조직운영을 위한 방안 연구. 한국혁신학회지, 14(3), 269-299.
  22. 현재환.홍성욱(2012). 시민참여를 통한 과학기술 거버넌스: STS의 참여적 전환 내의 다양한 입장에 대한 역사적 인식론. 과학기술학연구, 12(2), 33-79.
  23. 홍대길(2021). 과학관의 탄생. 지식의 날개.
  24. 홍성욱 외(2002). 선진국 대학연구체계의 발전과 현황에 대한 연구. 정책연구, 1-249.
  25. Bonney, R. et al.(2009). Citizen science: a developing tool for expanding science knowledge and scientific literacy. BioScience, 59(11), 977-984. https://doi.org/10.1525/bio.2009.59.11.9
  26. Bonney, R. & Phillips, T. B.(2016). Can citizen science enha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25(1), 2-16. https://doi.org/10.1177/0963662515607406
  27. Eitzel, M. V. et al(2017). Citizen science terminology matters: exploring key terms. Citizen Science, 2(1), 1-20. https://doi.org/10.5334/cstp.96
  28. Etzkowitz, H. & Leydesdorff, L.(2000). The dynamics of innovation: from national systems and "Mode 2" to a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Research Policy, 29(2), 109-123. https://doi.org/10.1016/S0048-7333(99)00055-4
  29. Irwin, A.(2011). 시민과학 (김명진, 김병수, 김병윤 역). 당대. (1995).
  30. Latour, B.(2012). 과학인문학 편지 (이세진 역). 사월의 책. (2010).
  31. Ziman, J.(1991).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16(1), 99-105. https://doi.org/10.1177/016224399101600106
  32. 木村佐枝子(2014). 大学と社会貢献. 創元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