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이타적 성향과 사회적 신뢰가 코로나19 대응 기부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연령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Altruism and Social Trust on Giving Behavior for COVID-19: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 이래혁 (순천향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장혜림 (서울장신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투고 : 2022.02.28
  • 심사 : 2022.03.26
  • 발행 : 2022.06.28

초록

본 연구는 일반 시민의 이타적 성향과 사회적 신뢰가 코로나19 대응 기부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성별 및 연령의 차이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름다운재단에서 구축한 기빙코리아 2020년 조사 자료의 일반 시민 표본 2,006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의 핵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시민의 이타적 성향과 사회적 신뢰는 코로나19 대응 기부 행동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이타적 성향이 한 단위 증가할 때 기부 참여는 약 3.00배, 기부 의향은 약 3.60배 증가했다. 마찬가지로 사회적 신뢰가 한 단위 증가할 때 기부 참여는 2.22배, 기부 의향은 2.45배 증가했다. 둘째, 일반 시민의 이타적 성향과 사회적 신뢰가 코로나19 대응 기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 및 연령에 의해 조절되었다. 이타적 성향이 코로나19 대응 기부 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에게서 더 두드러진 반면, 이타적 성향이 코로나19 대응 기부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이 낮을수록 더 두드러졌다. 또한 사회적 신뢰가 코로나19 대응 기부 의향에 미치는 영향은 연령이 낮을수록 더 두드러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의 극복을 위한 일반 시민의 기부 행동 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altruism and social trust on giving behavior for COVID-19 among citizens and the differences by gender and age.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with a sample of 2,006 regular citizens from the Giving Korea 2020 survey constructed by the Beautiful Foundation. The main analys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itizens' altruism and social trust significantly positively influenced giving behavior for COVID-19. Specifically, when altruism increased by one level, the likelihood of giving participation increased about 3.00 times and the likelihood of giving intention increased about 3.60 times. Second, the influences of citizens' altruism and social trust on giving behavior for COVID-19 were moderated by gender and age. Whereas the influence of altruism on giving participation was more pronounced for women, the influence of altruism on giving intention was more pronounced for young citizens. Also, the influence of social trust on giving intention was more pronounced for young citize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trategies for citizens' giving behavior to overcome a disaster like COVID-19.

키워드

과제정보

본 연구는 순천향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으로 수행하였음.

참고문헌

  1. A. R. Manara, L. Mumford, C. J. Callaghan, R. Ravanan, and D. Gardiner, D. "Donation and transplantation activity in the UK during the COVID-19 lockdown," The Lancet, Vol.396, No.10249, pp.465-466, 2020. https://doi.org/10.1016/s0140-6736(20)31692-5
  2. K. Lima de Miranda and D. Snower, The societal responses to Covid-19: Evidence from the G7 countries, Munich: CESifo, 2021.
  3. 파이넨셜 뉴스, 코로나19도 서로 돕는 온정 못 막았다...비대면 기부 확산, 2021년 7월 21일.
  4. 노연희, 박미희, 노법래, 전현경, 유재윤, 강수진, 2020기부트렌드: 지나간 10년, 다가올 10년, 서울: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나눔문화연구소, 2020.
  5. A. Fridman, R. Gershon, and A. Gneezy, A. Increased generosity under COVID-19 threat. Durham, NC: Research Square, 2021.
  6. E. Brown and J. M. Ferris, "Social capital and philanthropy: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social capital on individual giving and volunteering," Nonprofit and Voluntary Sector Quarterly, Vol.36, No.1, pp.85-99, 2007. https://doi.org/10.1177/0899764006293178
  7. 강철희, 최명민, 김수연, "기부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4권, 제2호, pp.57-82, 2012. https://doi.org/10.22944/KSWA.2012.14.2.003
  8. 노연희, 정익중, "신뢰, 기부태도 및 기부행위간의 구조적 관계," 사회복지연구, 제51권, 제2호, pp.5-25, 2020. https://doi.org/10.16999/KASWS.2020.51.2.5
  9. 구지윤, "기부행동의 성별 차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37권, pp.93-122, 2013.
  10. L. Wang and E. Graddy, "Social capital, volunteering, and charitable giving," Voluntas: International Journal of Voluntary and Nonprofit Organizations, Vol.19, No.1, pp.23-42, 2008. https://doi.org/10.1007/s11266-008-9055-y
  11. M. M. Meijer, "The effects of charity reputation on charitable giving," Corporate Reputation Review, Vol.12, No.1, pp.33-42, 2009. https://doi.org/10.1057/crr.2009.5
  12. 강철희, "자선적 기부행동 및 자원봉사 참여행동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비영리연구, 제2권, 제2호, pp.161-205, 2003.
  13. E. M. Uslaner and M. Brown, "Inequality, trust and civic engagement," American Politics Research, Vol.33, No.6, pp.868-894, 2005. https://doi.org/10.1177/1532673X04271903
  14. 최상미, 한송이, "기부자의 비영리 모금단체의 촉진 활동에 대한 인식이 기부 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브랜드 인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제55권, pp.251-281, 2017.
  15. A. H. Eagly and A. M. Koenig, Social role theory of sex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mplication for prosocial behavior,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6.
  16. 김근령,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들의 후원행동과 관련된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7. P. Branas-Garza, D. Jorrat, A. Alfonso-Costillo, A. M. Espin, T. Garcia, and J. Kovarik, Exposur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generosity, Munich Personal RePEc Archive, 2020.
  18. 한송이, "베이비붐세대의 기부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현재기부참여여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사회복지연구, 제11권, 제2호, pp.73-102, 2020. https://doi.org/10.22836/KASWPR.2020.11.2.73
  19. 노연희, "코로나19 대유행시기 일반시민의 기부행동 분석," NGO연구, 제15권, 제3호, pp.1-30, 2020.
  20. 김경미, 이영민, "기부의도 및 기부장려금 신청의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기부동기 및 기부행동 관련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제20권, 제4호, pp.189-221, 2021.
  21. N. Eisenberg and P. A. Miller, "The relation of empathy to prosocial and related behavior," Psychological Bulletin, Vol.101, pp.91-119, 1987. https://doi.org/10.1037/0033-2909.101.1.91
  22. G. Veenstra, "Explicating social capital: Trust and participation in the civil space," Canadian Journal of Sociology, Vol.27, pp.547-573, 2003. https://doi.org/10.2307/3341590
  23. 강철희, 조승종, 안성호, "저소득층의 기부 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제13권, 제3호, pp.88-120, 2011.
  24. 강철희, 김미옥, "부유층의 기부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제59권, 제2호, pp.5-38, 2007.
  25. 노연희, 정익중, "신뢰, 기부태도 및 기부행위간의 구조적 관계," 사회복지연구, 제51권, 제2호, pp.5-25, 2020. https://doi.org/10.16999/KASWS.2020.51.2.5
  26. 정혜림, 조은미, 강민정, 이성근, 변경희, "이기적 vs. 이타적 동기요인이 기부의 효과성 기대와 기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제38권, 제6호, pp.109-118, 2020. https://doi.org/10.36345/KACST.2020.38.6.015
  27. E. M. Uslaner, "Social capital, television, and the 'Mean World': Trust, optimism, and civic participation," Political Psychology, Vol.19, pp.441-467, 1998. https://doi.org/10.1111/0162-895X.00113
  28. H. Hall, "Gender differences in giving: Going, going, gone?," New Directions for Philanthropic Fundraising, Vol.43, pp.71-81, 2004. https://doi.org/10.1002/pf.60
  29. 노연희, 정익중, 신현상, 송수진, 기빙코리아2020: 불확실한 시대, 확실한 행복,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20.
  30. J. Drury and C. Cocking, The mass psychology of disasters and emergency evacuations: A research report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Brighton: University of Sussex, 2007.
  31. S. Kim and I. J. Chung, "Enhanced altruistic behavior by one significant experience or learning in fire evacuation experiment," Korean Review of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Vol.16, No.7, pp.71-84, 2020.
  32. R. D. Putnam, "The prosperous community: Social capital and public life," American Prospect, Vol.13, pp.35-42, 1993.
  33. A. Sarea and S. A. Bin-Nashwan, "Guide to giving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moderating role of religious belief on donor attitude," International Journal of Ethics and Systems, Vol.31, No.1, pp.90-104, 2020.
  34. 노연희, 전현경, 코로나19 대유행시기 온라인 모금캠페인, 아름다운재단 기부문화연구소,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