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 중 민족음악 요소 연구 『목마의 노래』와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A Study of Ethnomusicological Elements in Modern Chinese Clarinet focus on 『the Shepherd Horse』 and 『the Voice of the Pamir』

  • 증광 (강원대학교 공연예술학과) ;
  • 안성희 (강원대학교 음악학과)
  • 투고 : 2022.04.27
  • 심사 : 2022.05.23
  • 발행 : 2022.06.28

초록

중국의 오랜 역사 과정에서 풍부하고 소중한 소수민족의 전통음악은 형성되었다. 각 민족은 발전 과정에서 독특한 자연환경과 특수한 생활과 생산 방식에 따라 자기만의 세계관과 음악 문화를 만들어 냈다. 클라리넷은 서양 악기로서, 중국에 전래되는 과정에서 중국 소수민족 문화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받아왔다. 따라서 음악가들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 중의 여러 요소를 표현하는 데에 서양 악기를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본 논문은 중국 소수민족 음악의 요소를 사용하여 창작된 현대 클라리넷 작품 작곡가 왕염의 『목마의 노래』와 작곡가 호벽정의 『파미이지음』을 중심으로 작품의 형성 유래, 작품에 나타난 예술적인 표현 특징 등 두 측면에서 클라리넷에서 표현되는 민족적인 요소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민족음악의 모드 음계, 박자, 리듬과 선율의 표현기법, 그리고 소수민족 전통 악기를 모방한 소리의 특징 등 다섯 가지 내용으로 구성된다. 또한 지역, 생산, 생활, 민족 정서 등과 접목하여 작품에 사용된 타지크족과 몽골족 음악에 나타난 민족문화의 특징을 분석한다. 본 연구는 중국 현대 클라리넷 작품의 음악 스타일을 습득하고자 하는 창작자와 연주자에게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 서양 악기로 중국 전통 음악을 연주할 더 좋은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During the China's long history, many ethnic groups have developed their own traditions of local music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precious cultures. Meanwhile, each ethnic group developed its own worldview and music culture according to its unique living environment, special lifestyle and mode of production. The clarinet is a Western instrument, and has been influenced to some extent by Chinese minority culture while being introduced to China. Therefore, musicians tried to find ways of using Western musical instruments to express various elements of Chinese minority music. Focusing on two clarinet works 'The Song of Grazing Horses' by Wang Yan and 'The Sound of Pamir Clarinet Concerto' by Hu Bijing,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minority groups expressed by the clarinet in two aspects: the formation of the music styl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conveyed through the works. Specifically, it consists of five parts: ethnic mode and tonality, rhythm, time signature, melody making, and imitation of animals. It also analyzes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ajik and Mongolian music reflected in the two works in combination with living environment, mode of production, life style, and ethnic emotion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composers and performers who want to understand and acquire the musical style of modern Chinese clarinet works. It also helps to find a better way to play traditional Chinese music with Western instrum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邸晓嫣, 单簧管中国作品演奏技法, 山西人民出版社, 2015.
  2. 权美兰, 徐慧颖, 论中国民族音乐教育的传承与创新, 黑龙江民族丛刊, 2013.
  3. 田联韬, 中国少数民族传统音乐, 中央民族大学出版社, 2001.
  4. 杜亚雄, 中国少数民族音乐概论, 上海音乐出版社, 2002.
  5. 潮鲁, 蒙古族长调牧歌研究, 福建师范大学, 博士论文, 2003.
  6. 刘明, 米扬, "帕米尔高原塔吉克民歌传承与保护 研究," 甘肃社会科学, No.3, pp.242-247, 2012. https://doi.org/10.3969/j.issn.1003-3637.2012.03.059
  7. 周菁葆, "塔吉克族音乐舞蹈," 新疆师范大学学报, No.6, pp.139-144, 2007.
  8. 王红梅, 李乃平, 散板音乐研究, 中国音乐, 1995.
  9. 李世相, "蒙古族短调民歌旋律中的 "马步节奏" 内涵," 内蒙古大学艺术学院学报, Vol.7, No.4, pp.76-82, 2010.
  10. 李昱霖, "当代新疆歌曲的创作手段与新疆音乐 元素的 "外溢"," 音乐创作, No.4, pp.156-159, 2021.
  11. 中国艺术研究院音乐研究所, 中国音乐词典, 人民音乐出版社,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