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 대한 돌봄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만족도의 매개 효과

The Effect of Caregiver' Social Support on Happiness of Children with Community Child Center: Mediating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 조영주 (전주비전대학교 사회복지경영과)
  • 투고 : 2022.04.01
  • 심사 : 2022.04.22
  • 발행 : 2022.06.28

초록

이 연구는 돌봄서비스에서 사회적 지지와 서비스 만족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단선적 영향을 넘어 아동권리실현의 연속적 과정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 대한 돌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서비스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185개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교 4, 5,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 1,241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Win 23 Version과 Amos 23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주요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행복감 간 서비스 만족도의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행복감 증진을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noted that the social support and service satisfaction in care services consist of a continuous process of realizing children's rights beyond a single-line effect on children's happiness.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regiver' social support on happiness among children using Community Child Center and mediating the effects of service satisfaction. For thi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made on targeting 4, 5, 6th grade students using 185 Community Child Centers located Jeonbuk. To this end, survey data were collected 1,241 data, SPSS 23 and Amos 23 were carried out description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aregiver's social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happiness. Second, servic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happiness.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the policy and practical implication to promote the children' happiness.

키워드

참고문헌

  1. E. Diener,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Vol.95, No.3, pp.542-575, 1984. https://doi.org/10.1037/0033-2909.95.3.542
  2. 이보람, 김현정, 김태종, 김부열, 박혜준, "지역아동센터 종사자가 인식하는 이용 아동의 발달특성과 운영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한국아동복지학, 제62호, pp.165-205, 2018.
  3. P. E. Jose, N. Ryan, and J. Pryor, "Does social connectedness promote a greater sense of wellbeing in adolescence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Vol.22, No.2, pp.235-251, 2012. https://doi.org/10.1111/j.1532-7795.2012.00783.x
  4. R. Saha, E. S. Huebner, S. M. Suldo, and R. F. Valois, "A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life satisfaction and parenting," Child Indicators Research, Vol.3, No.2, pp.149-165, 2010. https://doi.org/10.1007/s12187-009-9050-x
  5. N. Park and C. Peterson,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 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7, No.3, pp.323-341, 2006. https://doi.org/10.1007/s10902-005-3648-6
  6. 김현숙, 서윤,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의 도움 정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자아 탄력성의 매개 효과 및 한 부모와 양부모 자녀의 다집단분석," 청소년복지연구, 제19권, 제4호, pp.1-24, 2017.
  7. 이종하, 김윤화, "신규 빈곤 진입 과정에서의 정신건강변화,"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4호, pp.41-70, 2019. https://doi.org/10.15709/HSWR.2019.39.4.41
  8. 김양선, 김경희, "사회적 지지와 참여가 아동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 청주시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71호, pp.155-181, 2019.
  9. 김운정, 최유석,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 만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2호, pp.257-269,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2.257
  10. http://www.mohw.go.kr/react/index.jsp
  11. 신인순, "빈곤 아동의 정서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가정학회지, 제60권, 제4호, pp.115-125, 2012.
  12. 정익중, 김혜란, 홍순혜, 박은미, 허남순, 오정수, "사회복지 서비스 이용이 빈곤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3호, pp.105-131, 2005.
  13. 박영미, 김정이, 조은주, 이지현, 우경미,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 제28권, 제1호, pp.34-43, 2017. https://doi.org/10.12799/jkachn.2017.28.1.34
  14. 조은정, "아동.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저소득층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7호, pp.103-126, 2014.
  15. E. Dine, E. M. Suh, R. E. Lucas, and H. L. Smith,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rogress," Psychol Bulle, Vol.125, pp.276-302, 1999. DOI : 10.1037/pb.1999.125.276
  16. 지선례, "저소득가정 아동의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 친구지지, 교사지지와 아동의 행복감간에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제29권, 제2호, pp.207-219, 2018. DOI : 10.7856.kjcls.2018.29.2.207 https://doi.org/10.7856.kjcls.2018.29.2.207
  17. 김유현, 강옥려,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행복을 에측하는 개인, 가족, 학교, 지역아동센터 요인탐색," 한국초등교육, 제30권, 제1호, pp.191-204, 2019. DOI: 10.20972/Kjee.30.201903.191
  18. 한미현, 유안진, "아동의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지 지각의 행동문제," 아동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73-188, 1996.
  19. 양심영, "지역아동센터 청소년의 서비스 이용 경험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학교적응의 매개 효과," 문화기술의 융합, 제4권, 제4호, pp.241-247, 2018. https://doi.org/10.17703/JCCT.2018.4.4.241
  20. 김유경, "또래 애착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역아동센터 이용 경험의 매개 효과," 문화기술의 융합, 제5권, 제4호, pp.1-9, 2019. https://doi.org/10.17703/jcct.2019.5.4.1
  21. 최윤석,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복지와 문화 다양성 연구, 제9호, pp.7-35, 2014.
  22. 김연서, 노병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서비스 만족도와 심리적 복지감 사이의 관계," 예술인문사회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제9권, 제8호, pp.577-586, 2019.
  23. 이경림, 빈곤 가족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역량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가족 유형별 차이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24. 박신혜, 김경화,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 인문사회 21, 제10권, 제6호, pp.1063-1078, 2019.
  25. 현채송, 정서조절과 행복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와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6. 신효식, 이선정, "청소년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 변인과 자기 이해 변인에 관한 연구: 성차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4호, pp.105-133, 2012.
  27. 우정자, "지역아동센터 저소득층 아동의 차별피해 영향요인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573-584,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573
  28. 이혜경, 조은정,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차별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2호, pp280-289,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2.280
  29. 김민성, 박신희, "지역아동센터 아동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자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 교사지지의 상대적 영향력과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제16호, pp.55-82, 2015.
  30. 송현미, 초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학교행복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31. 박운주,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읮 업무 역량이 아동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호, pp.590-602, 2020.
  32. 임춘희, 이선형, 이경림, "아동이 지각하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만족도가 아동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 고학년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지, 제15권, 제1호, pp.71-98, 2010.
  33. 조유진, 한지숙, "저소득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행복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제14권, 제4호, pp.541-562, 2010.
  34. 정선욱, 김진숙,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센터이용 경험: 지속과 중단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제39호, pp.115-141, 2014.
  35. 이래혁, 장혜림, "지역아동센터의 서비스 도움 정도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 질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제50호, pp.25-51, 2020.
  36. 강지선, 류호창, "지역아동센터의 공간적 기능과 환경심리 요소의 연관성-서울 강북지역 초등학생 대상의 아동시설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포럼, 제37호, pp.377-388, 2012.
  37. 정성진, 김진숙, "지역아동센터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9권, 제8호, pp.77-102, 2012.
  38. 구은미, "지역아동센터 프로그램 질과 전문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아동교육, 제10권, 제2호, pp.5-15, 2010.
  39. 최세나, 박지선, 류한수, "직무욕구-자원모형을 적용한 지역아동센터 종사자 업무환경, 직무열의, 직무소진 간 관련성,"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11호, pp.237-248, 2020. https://doi.org/10.5392/JKCA.2020.20.11.237
  40. 심경순, 박영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서비스 욕구 및 문제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제33호, pp.165-191, 2010.
  41. 김지은, 정혜란, 박혜준, 이순형, "지역아동센터 지지와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 관계에서 문제해결 능력과 또래 관계의 매개 효과 검증," 제38권, 제5호, pp.19-32, 2017. https://doi.org/10.5723/kjcs.2017.38.5.19
  42. S. Cohen and T. A. Wills,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98, No.2, pp.310-357, 1985. https://doi.org/10.1037//0033-2909.98.2.310
  43. 박현철, 김성봉, "아동이 지각한 가족 기능과 사회적 지지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제16권, 제3호, pp.167-193, 2011.
  44. 박성혜, "중학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보건과 복지, 제23권, 제2호, pp.121-142, 2021.
  45. 정다운,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임파워먼트를 통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46. 김양이, 박미란,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제4권, 제3호, pp.61-89, 2007.
  47. 윤신기, "초, 중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대처방법 간의 관계," 아동교육, 제13권, 제2호, pp.239-251, 2004.
  48. 이경림, 정익중, "지역아동센터 야간 보호 프로그램의 운영성과와 이용 아동의 심리 사회적 적응,"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4호, pp.183-206, 2010.
  49. 박혜성, 서비스 이용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50. 서원경,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프로그램 만족도 및 또래 관계가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부모교육연구, 제11호, pp.5-34, 2014.
  51. 정익중, 권은선, 박현선, "아동의 학업성취 발달궤적의 예측요인과 발달 산물," 한국아동복지학, 제34호, pp.63-93, 2011.
  52. 이주영,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53. 표갑수. 성낙현, "농촌 지역 빈곤 아동의 학교 스트레스가 학교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와 지역아동센터 이용만족도의 조절 효과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 제10권, 제2호, pp.41-63, 2012.
  54. 정이나,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5. 박혜성, 서비스 이용만족도와 사회적 지지가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56. 박현선, 정익중, 이정은, 2010년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 서비스만족도 조사, 지역아동정보센터.세종대학교 산학협력단, 2010.
  57. 정익중, "코로나19로 인한 아동돌봄 문제에 대한 해외대응과 그 시사점," 국제사회보장리뷰 2020, 제13권, pp.47-59, 2020.
  58. 강희주, 구슬이, 윤은영, 정익중, "아동과 부모의 경험을 통해 본 코로나19 이후 아동 일상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32권, 제3호, pp.95-120,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