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Sou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Its Impact on National Park - Mudeungsan National Park -

국립공원 내 소리 분포 특성 분석 연구 - 무등산국립공원 -

  • Yoo, Ji-su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 Ryu, Hun-jae (Dept. of Urban Big Data Convergence, University of Seoul) ;
  • Moon, Sung-joon ;
  • Chang, Seo-Il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University of Seoul) ;
  • Ki, Kyong-Seok (Dept. of Green Plants_Horticulture & Landscape Architecture major, Sangji University)
  • 유지수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환경공학과) ;
  • 류훈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빅데이터융합학과) ;
  • 문성준 (도화엔지니어링 환경부) ;
  • 장서일 (서울시립대학교 환경공학부) ;
  • 기경석 (상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21.10.13
  • Accepted : 2022.05.11
  • Published : 2022.06.30

Abstract

A national park is a place to conserve natural resources and visitors to experience nature, and thu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noise distribution characteristic in the national park and preserve and restore the soundscape. However, most national parks in Korea are exposed to noise, leading to negative perceptions of the national park's soundscape and affecting the ecosystem. Many national parks in other countries have investigated the ecosystem impacts caused by noise and have performed various management to reduce the noise. However, in Korea, there is still a lack of awareness of the effect on the ecosystem, overlooking the need for soundscape manag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oise map of Mudeungsan National Park to investigate the quantitative impact of noise on visitors and the ecosystem. Also, we measured the trail's soundscape to describe a sound grade classification, and the soundscape of main spots in the park was recorded for a year and then analyzed. Finally, the sound resource distribution map was described, which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termine the national park's sou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manage the soundscape.

본 연구에서는 국립공원에서 자연의 소리는 생태계의 구성요소임과 동시에 탐방객들이 공원을 체험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국립공원 내 소음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자연의 음환경(Soundscape) 보존 및 복원을 위한 노력은 국립공원 관리 차원에서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다. 그러나 여전히 국내 국립공원에서는 소음 관리 및 음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미약한 것이 사실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은 호남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자연보호지역 중 하나로 계절별 동물이 우는 소리, 물소리, 바람 소리 등 탐방객들에게 자연의 소리를 제공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이지만 대도시에 인접해 있고 공원 내부로 도로 및 대규모 시설지가 인접해있는 등 소음이 발생하여 공원 내 음환경에 위협이 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소음지도, 탐방로 소리등급도, 주요 지점의 음환경 녹음 데이터, 소리자원 분포도 등의 분석을 통해 무등산국립공원 내 소리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광범위한 소음의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음환경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는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반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인력과 장비의 한계로 인하여 소음지도, 탐방로 소리등급도, 소리자원 분포도의 속성 데이터 수집 기간이 상이한 점이 한계점으로 남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탐방 만족도 및 자연의 음환경 보존 등을 목표로 향후 지속적인 음환경 보존 및 관리를 위해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국립공원공단에서 지원하는 연구비, 한국연구재단의 연구비(NRF-2020R1I1A207189111)에 의하여 연구되었음.

References

  1. Barber, J.R., K.R. Crooks and K.M. Fristrup(2009) The costs of chronic noise exposure for terrestrial organism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5: 180-189.
  2. Dawson, C.P. and P. Newman(1997) Cognitive dimensions of recreational user experiences in wilderness: An exploratory study in Adirondack wilderness areas. General Technical Report, pp.257-260.
  3.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2017)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8993
  4. Haas, G.E. and T.J. Wakefield(1998) National parks and the American public: A national public opinion survey of the national park system. National Park and Conservation Association and Colorado State University, Fort Collins, Colorado.
  5. Korea National Park Service(1987), http://www.knps.or.kr/front/portal/visit/visitCourseSubMain.do?parkId=122000&parkNavGb=park&menuNo=7020090
  6. Lynch, E., D. Joyce and K. Fristrup(2011) An assessment of noise audibility and sound levels in U.S. National Parks. Landscape Ecology 26: 1297-1309. https://doi.org/10.1007/s10980-011-9643-x
  7. National Park Service(2000) DIRECTOR'S ORDER #47: Soundscape Preservation and Noise Management. http://www.nps.gov/policy/mp/policies.html. Approved on 12-1-2007
  8. National Park Service(2006) Management Policies 2006. Departm ent of the Interior. http://www.nps.gov/policy/mp/policies.html
  9. Yoo, J., S.I. Chang and K.S. Ki(2020) Sound Grade Classification of Bukhansan National Park Trails.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30(4): 380-3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https://doi.org/10.5050/ksnve.2020.30.4.3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