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Legal regulations on telemedicine and their problems

원격의료에 대한 법적 규제와 그 문제점

  • Received : 2022.03.04
  • Accepted : 2022.03.18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In relation to telemedicine in Korea's medical law, there are Articles 17, 17-2, and 34 of the Medical Act. Since 'direct examination' in Articles 17 and 17-2 of the Medical Act can be interpreted as 'self-examination' rather than 'face-to-face examination', it is difficult to see the above regulation as a regulation prohibiting telemedicine. Prohibiting telemedicine only with the concept of medical examination or the 'principle of face-to-face treatmen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nulla poena sine lege"(the principle of legality). However, in order to qualify as 'examination', it must be faithful enough to replace face-to-face examination, so issuing a medical certificate or prescription after a poor examination over the phone is considered a violation of the Medical Act. In that respect, the above regulation can be said to be a regulation that indirectly limits telemedicine. On the other hand, most lawyers interpret that telemedicine between medical personnel and patients is completely prohibited based on Article 34, and the Supreme Court recently ruled that such telemedicine is not permitted even if there is a patient's request. However, this interpretation is not only far from the legislative intention at the time when telemedicine regulations were introduced into the Medical Act of 2002, but also does not match the needs of reality or the legislative trend of foreign countries. The reason is that telemedicine regulations are erroneously legislated. The premise of the legislation is wrong, and there are considerable problems in the form and content of the legislation. As a result, contrary to the original legislative intent, telemedicine was completely banned. In foreign countries, it is difficult to find cases where telemedicine is completely banned and criminal punishment is imposed for it. In order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telemedicine, Article 34 of the Medical Act needs to be deleted.

원격의료와 관련해서, 우리나라 의료법은 제17조 및 제17조의2와 제34조 규정을 두고 있다. 의료법 제17조 및 제17조의2의 '직접 진찰'은 '대면 진찰'이 아니라 '스스로 진찰'로 해석될 수 있으므로, 위 규정은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규정으로 보기는 어렵다. 진찰의 개념이나 '대면진료의 원칙'만으로 원격의료를 금지하는 것은 죄형법정주의 원칙에 위반될 수 있다. 다만, '진찰'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대면진찰을 대체할 정도의 충실성이 담보되어야 하므로, 전화를 통한 부실한 진찰 후 진단서나 처방전 등을 발급하는 행위는 의료법에 위반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점에서 보면, 위 규정이 원격의료를 간접적으로 제한하는 규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 통설은 제34조를 근거로 의료인과 환자 간 원격의료는 전면 금지된다고 해석하고 있으며, 최근 대법원은 환자의 요청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원격의료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해석은 2002년 의료법에 원격의료 규정이 도입될 당시의 입법의도와 상당한 거리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의 요구나 외국의 입법추세와도 맞지 않는다. 상황이 이렇게 된 이유는, 원격의료 규정이 잘못 입법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입법의 전제가 잘못되었고, 입법의 기술이나 체계, 그 내용에도 상당한 문제가 있다. 그 결과 당초 입법의도와는 달리 원격의료가 전면 금지되는 결과가 초래되고 말았다. 외국에서도 원격의료를 전면금지하고 이에 대해서 형사처벌하는 사례는 찾아보기 어렵다. 원격의료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의료법 제34조를 삭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의성.최종권, "현행법상 원격의료의 허용범위에 관한 법적 고찰", 「중앙법학」 제17집 4호, 2015.
  2. 김기영, "원격협진과 관련한 원격의료의 개념과 법적 과제-독일의 논의를 중심으로-", 「의생명과학과 법」 제18권, 2017.
  3. 김병일, "유비쿼터스 시대를 위한 의료법의 개선방안-원격의료를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제27집 2호, 2007.
  4. 김수정, "독일 원격의료 합법화와 법개정 논의", 「의료법학」 제21권 2호, 2020.
  5. 김장한, "의사 환자 간 원격의료의 의료법상 적법성에 관하여-원격환자에 대한 처방 중심으로", 「의료법학」 제22권 1호, 2021.
  6. 류화신, "원격의료에 관한 의료법 개정방안", 「법제연구」 제28집, 한국법제연구원, 2005.
  7. 문종윤.유병인.박관준.장원기.박윤형, "환자-의사 간 원격의료 제도 도입에 대한 법적 사회적 적합성 고찰",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1권 2호, 2013.
  8. 백경희.장연화, "대면진료와 원격의료의 관계에 관한 법적 고찰", 「서울법학」 제21권 3호, 2014.
  9. 이원복, "원격진료 실시에 수반되는 법적 쟁점들에 대한 고찰", 「의료법학」 제22 권 제1호, 2021.
  10. 이종구 "미국 원격의료에 관한 최근 동향과 의료법 개정안의 검토",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논총」, 제40권 4호, 2016.
  11. 이준상.이기영, "원격의료의 법적문제", 「한국의료법학회지」 제9권 2호, 2001.
  12. 이한주, "원격의료제도 현실화 문제와 개선방안", 「한국의료법학회지」 제26권 2호, 2018.
  13. 장욱.이승환.김춘배.김기경, "우리나라 원격의료제도의 개선을 위한 비교법적 연구", 「한국의료법학회지」 제18권 1호, 2010.
  14. 정순형.박종열, "원격의료의 현행법상 법적 문제점과 개선점",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제20권 2호, 2012.
  15. 최용전, "원격의료에 관한 의료법의 개정방안 연구", 「공법연구」 제44집 1호, 2015.
  16. 현두륜, "원격의료의 허용여부와 그 한계", 「의료법학」 제21권 3호, 2020.
  17. 정규원, "원격의료의 허용범위", 「법률신문」, 2018. 1. 11.
  18. 백경희, "전화를 활용한 진료의 허용 가능성에 관한 고찰", 「법률신문」, 2021. 8. 9.
  19. 현두륜, "'원격의료' 규정은 원격의료를 금지하는가", 「법률신문」, 2022. 2. 28.
  20.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 「의료법중 개정법률안 검토보고서」, 2001. 11.
  21.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제225회 제11차 회의록, 2001. 11. 22.
  22.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료법 중 개정법률안 심사보고서」, 2002. 2.
  23.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 「의료법 전부개정 법률안 검토보고서」, 2007. 2.
  24. 17대 국회 제265회 제2차 보건복지위원회 회의록, 2007. 2. 22.
  25. 국회 보건복지부위원회 수석전문위원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2016. 10.
  26.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수석전문위원 「의료법 일부개정법률안 검토보고」, 202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