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Student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Tenden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박천만 (계명대학교 공중보건학과)
  • Received : 2022.05.11
  • Accepted : 2022.05.20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depression in foreign students in Korea.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43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Daegu and Gyeongbuk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questionnaire survey using the internet.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3.0 and PROCESS macro Model No 4.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tress of foreign students increased the level of depressio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Second, academic stress significantly reduced the self-esteem of foreign students. Third, the self-esteem of foreign student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depression (p<0.05).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academic stress lowered self-esteem, and that the lowered self-esteem had an effect on the increase in depress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to reduce academic stress is needed as a countermeasure for the alleviation and prevention of depression in foreign students, and that strategies for improving self-esteem should be considered as important.

Keywords

References

  1. 김령, 임선아. (2021). 중국인 유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외로움, 언어능력, 자기효능감과 학업중단의 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5), 705-717.
  2. 김미례. (2007). 기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조절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2(4), 761-777.
  3. 김미영, 이유아, 송연주. (2018). 베트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적응 어려움과 극복과정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4(1), 481-503. https://doi.org/10.24159/JOEC.2018.24.1.481
  4. 김성범, 김진숙. (2011). 사관후보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상담학연구. 12(6), 1915-1933. https://doi.org/10.15703/KJC.12.6.201112.1915
  5. 김창기, 이진성. (2014).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12), 230-242.
  6. 김후조, 손은정. (2011). 중국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낙관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시설환경, 9(3), 3-12.
  7. 남궁은정, 한주리, 허경호. (2008). 대학생의 갈등효능감, 자아존중감 및 완벽주의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대화 만족도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15(1), 357-380.
  8. 박병기, 박선미. (2012). 학업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6(2), 563-585.
  9. 배은숙, 강혜승, 이소영. (2020). 국내 베트남 어학연수생의 생활만족도, 진로정체감과 우울의 관계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31(1), 76-85. https://doi.org/10.12799/jkachn.2020.31.1.76
  10. 신대근, 박은영. (2021).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활부적응과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자료분석학회, 23(6), 2751-2770.
  11. 양효선, 김영혜. (2011). 청소년의 수줍음과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효과검증. 한국청소년학회, 18(10), 187-206.
  12. 유승희. (2020).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디아스포라연구. 14(1), 155-192. https://doi.org/10.22735/JODS.2020.14.1.155
  13. 유약람. (2021). 재한 중국유학생 성인애착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전북: 우석대학교 대학원.
  14. 유정선. (201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전공만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7(2), 3-27. https://doi.org/10.30529/AMSOK.2019.17.2.001
  15. 이순희. (2012).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유학생의 문화적 스트레스, 우울증 및 음주 문제. 대한지역 사회보건간호학회, 23(4), 366-375.
  16. 이승미, 박소라, 최보영. (2021). 남아시아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교육치료연구, 13(1), 21-39.
  17. 이안나, 강영신. (2022).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5(1), 65-86.
  18. 이안나, 박경아. (2019). 국내 외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이중문화 역량의 조절효과. 다문화교육연구, 12(1), 1-19.
  19. 이현정. (2015). 건강생활실천 행위가 성인의 우울 여부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 이홍직. (2012).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인구사회학적 특성, 한국어 능력,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웰니스학회지, 7(3), 129-143.
  21. 이희승, 양웨이웨이, 곽춘려. (2018). 유학생의스트레스가 대학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관광경영연구, 22(4), 655-690.
  22. 임상란, 이지안. (2017). 중국인 유학생의 생활스트레스 및 문화적응스트레스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8(12), 189-199. https://doi.org/10.5762/KAIS.2017.18.12.189
  23. 장혜림, 이래혁. (2021).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을 통한 가족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한국아동복지학. 70(1). 1-29.
  24. 정익중, 김세원. (2011). 아동.청소년 발달의 위험요인 및 보호요인 잠재적 유형 간 관계. 한국청소년연구, 22(3), 197-230.
  25. 정혜선. (2015).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우울 영향요인.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5(1), 107-120.
  26. 정혜선. (2016). 중국인 유학생의 우울 영향요인. 한국콘텐츠학회, 16(7), 63-72. https://doi.org/10.5392/JKCA.2016.16.07.063
  27. 조맹제, 김계희.(1993). 주요 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 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 381-399.
  28. 조용비, 이동혁. (2018).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아방어기제의 조절역할. 상담학연구, 19(3), 141-158. https://doi.org/10.15703/KJC.19.3.201806.141
  29. 진민진, 배성만, 현명호. (2011). 중국인 유학생의 지각된 차별감, 대처양식,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4), 783-797.
  30. 최미례, 이인혜. (2003).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2(2), 363-383.
  31. 한국복지패널. (2016). 한국복지패널 설문지. [2020년 06월 18일 인용]. https://www.koweps.re.kr:442/data/data/list.do
  32. Abel MH. (1996). Self-esteem: Moderator-mediator between perceived stress and expectancy of success? Psychological Reports, 79, 635-641. https://doi.org/10.2466/pr0.1996.79.2.635
  33. Abramson LY, Metalsky GI, Alloy LB. (1988). Hopeless depression: A theory-based subtype of depression. Psychological Review, 96, 358-372. https://doi.org/10.1037/0033-295X.96.2.358
  34. Baron RM,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35. Costa FM, Jessor R, Turbin MS. (2007). College Student involvement in cigarette smoking: The role of psychososial and behavioral protection and risk. Nicotine & Tobacco Research, 9(2), 213-224. https://doi.org/10.1080/14622200601078558
  36. Eisenberg D, Hunt J, Speer N. (2013). Mental Health in American colleges and universitie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1(1), 60-67.
  37. Hayes, AF. (2018). Partial, conditional, and moderated mediation: Quantification, inference, and interpretation. Communication Monographs, 85(1), 4-40. https://doi.org/10.1080/03637751.2017.1352100
  38. Jon BJ.(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lity. Yonseinonchong. 11(1), 107-130.
  39. Putwain D, Sander P, Larkin D. (2013). Academic self-efficacy in study-related skills and behaviours: Relations with learning-related emotions and academic succes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4), 633-650. https://doi.org/10.1111/j.2044-8279.2012.02084.x
  40. Schieman S, Gundy KTV, Taylor J. (2002).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and depressive symptoms: a test of competing explanatory and suppression influence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14(2), 260-285. https://doi.org/10.1177/089826430201400205
  41. Tennen H, Herzberger S. (1987). Depression, self-esteem, and the absence of self-protective attributional bias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72-80. https://doi.org/10.1037/0022-3514.52.1.72
  42. Tram JM, Cole DA. (2000).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ce: Mediator or moderato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4), 753-760. https://doi.org/10.1037//0021-843X.109.4.7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