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eacher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and policy implications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 다문화교육 담당교사의 경험과 정책시사점

  • Received : 2022.03.13
  • Accepted : 2022.04.22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research aimed to explore the nature of teachers'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imary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is study, the researchers interviewed 15 primary school teacher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in mine different schools.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in charge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schools with ethnic diversity in two rural coun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analysis of the empirical data suggests that teachers stationed in ethnic diversity have not been trained for the diverse population n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general. In addition, they were struggling with the lack of teaching resources including textbook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upport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need of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ccurate data of those students etc. These teacher policy implications are suggested while discussing the findings; such as the importance of practical in-service training opportunities, quality teaching resources, Korean as Second Language(KSL) experts, and accurate data of students with ethnic diversity.

본 연구는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정책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농촌지역 2개 군에 위치한 9개 학교의 교원 15명을 심층면담하였다. 연구결과 이주배경 학생 밀집초등학교에서 다문화교육 업무를 담당하는 교사조차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웠고, 가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소통에 긴박한 지원 필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자료확보의 어려움도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예비 및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학교 한국어교육 자료 개선 및 통합교육 자료 보급, 일반교과 내용의 수정과 개선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 한국어교육 전담인력의 육성과 배치를 통해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학생 및 학부모와의 체계적인 소통지원 방안 마련, 이주배경 학생에 대한 정확한 실태파악 대책 등의 다문화교육정책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교육인적자원부)(2006).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교육부.
  2. 교육부(교육과학기술부)(2012). 2012년 다문화학생 교육 선진화 방안. 교육부.
  3. 교육부(2017). 2017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4. 교육부(2018). 2018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
  5. 교육부(2019). 2019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6. 교육부(2020).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0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7. 교육부(2021a). 출발선 평등을 위한 2021년 다문화교육 지원계획. 교육부.
  8. 교육부(2021b). 현장성과 미래 대응력 제고를 위한 초 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 방안. 교육부.
  9. 교육통계서비스 홈페이지 https://kess.kedi.re.kr/stats/school?menuCd=0101&cd=4115&survSeq=2019&itemCode=01&menuId=m_010104&uppCd1=010104&uppCd2=010104&flag=B (검색일: 2022. 1. 30)
  10. 구하라.차윤경.모경환(2018).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전문성 계발활동 참여요인 분석. 다문화교육연구, 11(2), 105-127.
  11. 김병찬(2010). 교육행정학 연구의 질적 연구방법. 교육연구, 18(2), 131-184.
  12. 김혜진.박효원.박희진.이동엽.이승호.최인희.길혜지.김정현.이호준(2020). 교원 및 교직환경 국제비교 연구: TALIS 2018 결과를 중심으로(II). 연구보고 RR 2020-04. 충북: 한국교육개발원.
  13. 남부현.장숙경(2016). 초등학교 다문화 특별학급 담임교사의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2(1), 145-172. https://doi.org/10.24159/JOEC.2016.22.1.145
  14. 류방란.김경애(2014). 중등학교 교사의 다문화 교육 인식. 다문화교육연구, 7(3), 87-111.
  15. 모경환.부향숙.구하라.황혜원(2018).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분석과 발전 방안. 다문화교육연구, 11(3), 287-308.
  16. 모경환.이혜진.임정수(2010). 다문화 교사 교육과정의 실태와 개선방안. 다문화교육연구, 1(1), 21-35.
  17. 박철희.박주형.김왕준(2016).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교육현실과 과제: 서울 서남부 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9(2), 173-201.
  18. 박희진(2020). 교육격차 원인과 대응방안: 이주배경 자녀의 교육경험 개선을 중심으로, 김태완 (책임) 한국사회 격차문제와 포용성장전략(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과제)(제7장 pp. 165-192). 세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 세계일보(2017.11.1.). "다문화 아이 많아 싫어요" … 자녀학교 옮기는 부모들. https://m.segye.com/view/20171101005397 (검색일: 2022.2.23.)
  20. 송효준.양경은(2018). 이주민 밀집지역 내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연계 효과. 학교 사회복지, 9(4), 81-99.
  21. 신혜숙.박주형(2020).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5), 255-274.
  22. 양경은(2019). 이주민 밀집지역 학교의 면학 분위기는 정말 나쁜가? 비이주배경 학생이 인식하는 학습저해 분위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0(3), 565-580.
  23. 양계민.김성식.김재우(2017). 다문화교육 종합발전방안연구. 교육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오성배.강충서(2014). 다문화교육 교원연수 참여에 따른 교사의 교육지원 행위 차이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7(2), 1-25.
  25. 오성배.박휘훈(2018).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사례 탐색. 한국교육문제연구, 36(1), 71-92.
  26. 우룡(2007). 도시와 농어촌지역 다문화청소년의 사회적응 실태분석. 청소년보호지도연구, 11, 25-54.
  27. 이은지.함승환(2018). 이주배경 학생 밀집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 학교장의 문화감응적 교수리더십의 조절효과.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127-152. https://doi.org/10.24211/TJKTE.2018.35.3.127
  28. 이은희(2016). 예비교사의 다문화교육역량으로서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55(1), 120-133. https://doi.org/10.15812/TER.55.1.201603.120
  29. 이재창.김현수(2020).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따른 지원방안 논의. 교과교육학연구, 24(4), 387-398. https://doi.org/10.24231/RICI.2020.24.4.387
  30. 이재창.김현수(2021).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연수 이수 경험이 다문화교육과정 실행수준에 미치는 효과 연구: 관심기반 실행모형을 기반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10(1), 27-58.
  31. 이창식.박지영.임인택(2012). 농촌다문화 초등학교 학생의 사회적지지 및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농촌지도와 개발, 19(4), 881-904.
  32. 이현주(2014). 초, 중등 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의 이론과 실천, 19(2), 75-95.
  33. 장원순(2009). 한국사회에 적합한 다문화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교육, 48(1), 57-79.
  34. 장유연.정광순(2012).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행능력 간의 관계. 초등교육연구, 19)1), 91-110.
  35. 장인실.이은혜(2019).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변화에 관한 연구: 학교 혁신의 관점에서. 다문화교육연구, 12(4), 79-101.
  36. 장인실.박영진(2018). 다문화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다문화밀집지역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연구, 11(4), 1-24.
  37. 장인실.전경자(2013).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에 관한 사례 연구. 다문화교육연구, 6(1), 73-103.
  38. 조영달.박선운.박윤경.김재근(2010). 다문화가정 학생 다수 학교에 대한 비교 사례 연구: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44(2), 163-197. https://doi.org/10.35557/TRCE.44.2.201206.006
  39. 조인제.김다영.홍명기(2020).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부진과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외국인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9(4), 165-184.
  40. 조현희(2018). 정의지향적 다문화교사교육과정의 내용체계 탐구. 다문화교육연구, 11(1), 29-59.
  41. 조현희.장인실(2020). 다문화가정 밀집 지역 중학교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IB 교육과정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8(1), 59-85.
  42. 조현희.최진영.이정열(2015).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과정 실행 유형 탐색. 교원교육, 31(3), 121-141.
  43. 현길자, 염미경(2014).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교사교육연구, 53(1), 304-320. https://doi.org/10.15812/TER.53.2.201406.304
  44. Park, H. J. (2011). Foreign mothers' cultural and social capital and maternal involvement in their children's education: Case study of a community in South Kore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