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ase Managers in COVID-19 Situations

코로나-19 상황 속 일 지역사회 사례관리자의 경험 연구

  • 백형의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김지원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성소영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최예솔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 홍수빈 (을지대학교 중독재활복지학과)
  • Received : 2022.03.30
  • Accepted : 2022.05.02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mmunity case managers in COVID-19 situations. For this study,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carried out for six social workers who are in charge of case-management in social welfare agencies. From results of research, the three themes were derived, such as 'a field of crises and opportunities'. Anxiety and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 caused by the introduction of new and unfamiliar methods' and 'responding to the clients' situations changes'. Case managers have endeavored to indirectly provide services with new, but unaccustomed ways even in the situations with keeping non-contact and being given limited resources and actively explored the ways to utilize public services to respond to the clients' need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conditions.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was concluded to be 'A breathtaking battle to the continuous challenge'. Based on the results of research, the competences equipped by case managers and the direction of their practices were suggested to improve the community welfare currently in the middle of dealing with With-Corona-Era.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상황 속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일 지역사회의 다양한 사회복지기관에서 사례관리 업무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6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위기와 기회의 장', '낯설고 새로운 방식 도입으로 인한 불안과 해소 노력', '클라이언트의 상황 변화에 대응함'이라는 세 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사례관리자는 비대면이라는 제한적인 상황 속에서도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방법을 통하여 간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노력하였고, 환경에 맞추어 변화하는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해 공적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의미는 '계속되는 도전에 대한 숨찬 응전 '으로 파악되었다. 앞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위드 코로나'가 시행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지역사회의 복지 증진을 위해 사례관리자가 갖춰야 하는 역량과 실천 방향을 제시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정수, 최주희, 이상옥, 김유리, 김성수, "코로나19 재난 상황에서 공감이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위험지각과 간접외상을 통하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1호, pp.609-625,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1.609
  2. 이은환, "코로나 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이슈 & 진단, No.2, pp.1-25, 2020.
  3. 전근성, "장애인의 여가사회활동, 생활만족도, 행복의 관계 : COVID-19 전후 시점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2권, 제3호, pp.560-566, 2022. https://doi.org/10.5392/JKCA.2022.22.03.560
  4. 김윤정, 문선영, 이윤화, "코로나19 감염병 재난 속 사회복지사의 경험과 과제," 한국웰니스학회논문지, 제16권, 제1호, pp.10-18, 2021.
  5. J. A. Patel, F. Nielsen, A. A. Badiani, S. Assi, V. A. Unadkat, B. Patel, R. Ravindrane, and H. Wardle, "Poverty, inequality and COVID-19: the forgotten vulnerable. Public health," Vol.183, pp.110-111, 2020. https://doi.org/10.1016/j.puhe.2020.05.006,
  6. 송진미, "제 7회 국민 삶의 질, 측정포럼," 통계청, 2021. http://www.kostatforum.kr/
  7. 유동희, "코로나19로 인한 피해계층은 취약계층 노동자이다," 월간 한국노총, Vol.569, p.3, 2021.
  8. United nations research institute for social development, protecting and supporting vulnerable groups through the Covid-19 crisis, www.unrisd.org/covid-19-vulnerable-groups-report, 2020.
  9. 김홍중, "코로나19와 사회이론: 바이러스, 사회적 거리두기, 비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제54권, 제3호, pp.163-187, 2020.
  10. P. O'Leary and M. Tsui, "Staying resilient, compassionate and ethical: Social work at the front line of the pandemic,"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63, No.5, pp.567-568, 2020. https://doi.org/10.1177/0020872820950644
  11. 김도희, "'사회적 거리두기'와 '잠시 멈춤'이 비껴간 공간들," 월간복지동향, 제258권, pp.47-50, 2020.
  12. 태화샘솟는집, "온택트 사회복지 COVID-19 사회복지실천 사례," 2020.
  13. 윤민화, "코로나 19 상황에서의 사회복지실천경험: 대구지역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실천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15, No.1, pp.41-68, 2021. https://doi.org/10.22867/KAQSW.2021.15.1.41
  14. https://www.saswc.org/welfare
  15. 최병근,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향후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21.
  16. 김고은, 김정인, "코로나19 대유행 상황에서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발달장애인 대상 서비스 지원경험," 미래사회복연구, 제12권, 제1호, pp.161-195, 2021.
  17. 정익중, 이수진, 강희주,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일상 변화와 정서 상태," 한국아동복지학, 제69권, pp.59-90, 2020.
  18. A. Nisanci, R. Kahraman, and Y. Alcelik, "Working with refugees during COVID-19: Social worker voices from Turkey,"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63, No.5, pp.685-690, 2020. https://doi.org/10.1177/0020872820940032
  19. K. J. Farkas and J. R. Romaniuk, "Social work, ethics and vulnerable groups in the time of coronavirus and COVID-19," society register, Vol.4, No.2, pp.67-82, 2020. https://doi.org/10.14746/sr.2020.4.2.05
  20.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NASW standards and guidelines for social work case management for the functionally imparied. Silver Spring, MD: NASW, 1984.
  21. 하경희, 배은미,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정신재활서비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 주간재활시설 종사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정신건강과 사회복지, Vol.49, pp.55-85, 2021.
  22. W. Cre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조흥식.정선욱.김진숙.권지성 역,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013.
  23. 김인숙, 사회복지연구에서 질적방법과 분석, 경기:집문당, 2016
  24. 최아라, "코로나19, 아동돌봄 쟁점과 과제," 인문사회 21, 제11권, 제4호, pp.1379-1389, 2020.
  25. 최성숙,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하는 사회복지실천사례," 사회복지법제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p.67-94, 2020.
  26. 김지민, 신상준, "코로나19 시기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심리적.직업적.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제48권, 제2호, pp.5-36, 2021. https://doi.org/10.15855/SWP.2021.4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