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19년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NRF-2019S1A5A2A01051870)
References
- 유훈, "정책수단에 관한 고찰," 행정논총, 제30집, 제2호, pp.135-161, 1992.
- M. Howlett, What Is a Policy Instrument? Policy Tools, Policy Mixes, and Policy-Implementation Styles, In Eliadis, P. M. Hill and M. Howlett, (ed.), Designing Government: From Instruments to Governance, Montreal, Canada: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5.
- Lester M. Salamon, (ed.), The Tools of Government: A Guide to the New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 L. M. McDonnell and R. F. Elmore, Alternative Policy Instruments, Santa Monica, CA: Center for Policy Research in Education, 1987.
- 송경오, "공교육체제 발전전략으로 채택한 정책수단의 국가간 비교 연구: PISA 2003 자료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제27권, 제4호, pp.437-464, 2010.
- 정시영, 학교폭력예방정책 문제정의의 변화와 정책수단의 선택,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8.
- 변기용, "한국 고등교육 정책연구의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pp.121-145, 2010. https://doi.org/10.15753/AJE.2010.11.1.006006
- 박진형, "교육책무성의 관점에서 고등교육정책의 변화과정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제22권, 제4호, pp.87-140, 2015.
- 양혜원, "유인적 정책수단의 효과 비교분석: 문화콘텐츠제작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제45권, 제1호, pp.23-49, 2011.
- E. Vedung, Policy Instrument: Typologies and Theories, in Bemelmans_Videc, M. Ray C. Rist and Evert Vedung (ed). Carrot, Stick and Sermons: Policy Instruments and Their Evaluation, New Brunswick NJ. USA, 1998.
- 전영한, "정책도구연구의 의의와 과제," 정부학연구, 제13권, 제2호, pp.39-50, 2007.
- A. Schneider and H. Ingram, Policy Design for Democracy, Lawrence, Kansas: University Press of Kansa, 1997.
- William T. Gormley, Jr, "Institutional Policy Analysis: A Critical Review,"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Vol.6, No.2, pp.153-169, 1987. https://doi.org/10.2307/3324512
- 권혁주. "국가와 정책도구의 정치적 성격-사회정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논문집, 제21권, 제4호, pp.1301-1319, 2009.
- B. Doern and R. Phidd, Canadian Public Policy: Ideas, Structures, Processes, Toronto: Nelson Canada, 1983.
- 이석열, "이명박 정부의 고등교육 개혁정책에 대한 정치학적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제20권, 제4호, pp.213-239, 2015.
- 반상진, "새 정부 고등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교육재정경제연구, 제26권, 제2호, pp.93-118, 2017.
- 신현석, "정책 환경의 변화에 비추어본 문재인 정부고등교육정책의 혁신 방향 분석 및 과제의 탐색," 교육문제연구, 제31권, 제1호, pp.227-272, 2018.
- 김신복, 김인희, 김재춘, 서정화, 신정철, 이무근, 이종재, 천세영, 최운실, 교육정책의 역사적 변동과 전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 박거용, "이명박 정부 고등교육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향과 전망, 제77권, pp.50-75, 2009.
- K. Krippendorff, Content analysis: An introduction to its methodology, Beverly Hills, CA: Sage, 2004.
- 교육과학기술부, 2008년 주요 국정과제 실행계획, 2008.3.20.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주요업무계획, 2009.12.22.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주요 업무계획, 2010.12.17.
-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2012년 주요 업무계획, 2011.12.14.
- 교육부, 행복교육, 창의인재 양성 - 2013년 국정과제 실천계획, 대통령 업무보고, 2013.3.28.
- 교육부, 2015년 교육부 업무보고, 2014.2.13.
- 교육부, 2016년 교육부 업무계획, 2016.1.25.
- 교육부, 2018년 교육부 업무계획, 2018.1.31.
- 교육부, 2019년 교육부 업무계획, 2018.12.11.
- 교육부, 2020년 교육부 업무계획, 2020.3.2.
- 교육부, 2021년 교육부 업무계획, 2021.1.26.
- 박천오, "이명박 정부의 조직개편에 대한 공무원 인식: 통합부처 소속 공무원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49권, 제1호, pp.1-30, 2011.
- 전재성, "2008년 촛불시위와 한미관계," 한국사회과학, 통권 제33권, pp.49-73, 2011.
- 정명주, "정책수단 분석을 통해 본 한국의 다문화 정책의 특성," 사회과학연구, 제26집, 제2호, pp.275-295, 2010.
- 송경오, "교육정책 실패의 교훈으로서 정책학습에 관한 연구: 교원성과급 정책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21호, pp.221-233, 2021.
- 정석환, "제한된 합리성 하에서 다문화 정책에 대한 상대적 우선순위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317-326,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1.317
- 김도진, 이용규, "DEA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한국전문대학의 상대적 효율성 분석-대학기본역량진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2호, pp.491-507,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2.4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