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mpowerment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 Using Focus Group Interview f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엔카운터 집단상담에 참여한 장애인들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관한 연구 - 지체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 중심 포커스 그룹 인터뷰

  • 주은선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 김희정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22.02.11
  • Accepted : 2022.04.28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practical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can empower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in which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empowered through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cusing on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who account for 50% of all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did people with disabilities get empowerment experiences through an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Second, what kind of empowerment experiences did people with disabilities begin to have through the program? In this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to qualitatively evaluate the empowerment experiences from the Encounter group program. The participants were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brain lesions experiencing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s at the self-reliance center in Seoul from 2015 to 20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7 components, and 17 sub-components were derived, which were grouped into three themes: 1) restoring self relationship 2) forming new relationship with others, and 3) realizing a sense of solidarity with society. Th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considering the impact of the Encounter program on personal, interpersonal, and social empowermen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finally,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presented.

본 연구에서는 전체 장애인의 50%를 차지하고 있는 지체장애인, 뇌병변 장애인을 중심으로 장애인들이 엔카운터 집단상담 을 통해 임파워먼트 된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다수의 장애인들이 임파워 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입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첫째, 장애인들은 엔카운터 집단 상담을 통해 임파워먼트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장애인들은 엔카운터 집단상담을 통해 어떠한 임파워먼트를 경험하였는가? 이다. 또한 엔카운터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경험을 질적으로 평가하고자 프로그램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위치하는 장애인 자립센터에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엔카운터 집단상담을 받았던 지체장애와 뇌병변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7개의 범주,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 되었으며 1) 자기와의 관계 회복 2) 타인과 새로운 관계 형성 3) 사화와의 연대감 실현의 세주제로 묶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엔카운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장애인의 개인적, 대인 관계적, 정치사회적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두어 연구결과를 논의 하였고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은, "장애인 연구 동향 분석: 국내 상담 및 심리치료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33, No.1, pp.581-606, 2021. https://doi.org/10.23844/KJCP.2021.02.33.1.581
  2. https://bobbydodd.org/wp-content/uploads/2019/11/People-First-Language-Documents-Combined.pdf,
  3. 이정은, 최보라, 조미형, 이인선,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 당사자가 대인관계에서 경험하는 태도,"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2호, pp.151-192, 2020. https://doi.org/10.15709/HSWR.2020.40.2.151
  4. http://www.mohw.go.kr/react/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2901&CONT_SEQ=345972,
  5. 곽지영, 여성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지체 및 뇌병변 여성장애인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6. E. B. Pinderhughes, "Empowerment for our clients and for ourselves," Social Case work. Vol.64, pp.331-339, 1983.
  7. 김미옥, 김희성, 이민영, "장애인의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 성인기 이전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7권, 제1호, pp.31-60, 2005.
  8. 조현재, 조현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의 효과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지, 제14권, 제2호, pp.323-337, 2002.
  9. 김미옥, 여성장애인과 이중차별, 이대출판부, 2002.
  10. H. E. Fry, A. A. Norwood, B. N. Phillips, A. R. Fleming, G. Smith, and F. Lozano III. "Predicting vocational self-efficacy of unemployed adul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53, No.1, pp.105-117, 2020. https://doi.org/10.3233/jvr-201089
  11. http://www.welvoter.co.kr/33033,
  12. 최말옥, 정신장애인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자기옹호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13. 엄미선, 자기옹호 집단프로그램을 통한 도시빈민의 임파워먼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4. B. Bolton and J. Brookings, "Development of a Measure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Rehabilitation Psychology, Vol.43, No.2, 1998.
  15. M. A. Zimmerman, "Psychological empower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23, 1995
  16. R. J. Parsons, "Empowerment Purpose and Practice and Principle in Social work," Social work with Groups, Vol.14, No.2, pp.7-21. 1991. https://doi.org/10.1300/J009v14n02_02
  17. J. A. B. Lee, The Empowerment Approach to Social Work Practice,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18. C. H. Gibson, "The process of empowerment in mo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21, pp.1201-1210, 1995. https://doi.org/10.1046/j.1365-2648.1995.21061201.x
  19. L. C. Chang, I. C. Li, and C. H. Liu, "A study of the empowerment process for cancer patients using Freire's Dialogical Interviewing,"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12, No.1, 2004.
  20. 김효빈, 혈액투석 환자의 임파워먼트 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접근, 부산대학교 간호대학과, 박사학위논문, 2001.
  21. 최명민, "정신장애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임파워먼트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89-112, 2004.
  22. 김미옥, 장애인복지실천론, 나남, 2003.
  23. R. Renz-Beaulaurier, Empower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Role of Choice in Empowerment in Social Work Practice, Cole Publishing Company, 1988
  24. 이용표,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의 효과: 역량강화와 증상에 관한 훈련효과를 중심으로,"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제15권, pp.7-105, 2003
  25. 최명민, "정신장애인 자원봉사 프로그램의 임파워먼트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56권, 제3호, pp.89-112, 2003
  26. 김미옥, 김연수, 김희성, "산재장애인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사회복지학, 제61권, 제4호, pp.307-332, 2009 https://doi.org/10.20970/KASW.2009.61.4.013
  27. B. B. Solomon, Empowerment: Social Work in Oppressed Communities,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6.
  28. 조현재, 조현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상담의 효과와 지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지, 제14권, 제2호, pp.323-337, 2002.
  29. C. R. Rogers. On encounter groups, New York, NY, 1970
  30. C. Brison, E. Zech, M. Jaeken, J. M. Priels, L. Verhofstadt, N. Broeck, and M. Mikolajczak, "Encounter groups: do they foster psychology students' psychological development and therapeutic attitudes?," Person-Centered & Experiential Psychotherapies, Vol.14, pp.83-99, 2015. https://doi.org/10.1080/14779757.2014.991937
  31. H. D. Lee, S. H. Kim, K. M. Seol. C. D. Kim, and J. H. Kim, Group Counseling, Central Aptitude Books, 2010.
  32. M. T. Park, The Effect of Encounter Group Counseling on the Self-Concepts of Juvenile Delinquents, Keimyung University (Master's thesis), Daegu, Korea, 1992.
  33. 주은선, 김희진, 안호원, "자기성찰을 위한 학부생들의 대집단 엔카운터 경험에 관한 탐색적 연구,"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제10권, 제1호, pp.245-268, 2020. https://doi.org/10.34226/GCL.2020.10.1.245
  34. M. A. Mann, "Immigrant Parents and their Emigrant Adolescents : The Tension of Inner and outer Worlds," American Journal of Psychoanalysis, Vol.64, pp.143-153, 2004. https://doi.org/10.1023/B:TAJP.0000027269.37516.16
  35. B. E. Shertzer and S. C. Stone, Fundamentals of counseling, Houghton Mifflin Harcourt (HMH), 1980.
  36. I. D. Yalom and M. Leszcz,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therapy, Basic books, 2005.
  37. D. I. Morgan, The focus group guidebook: Focus group kit 1. SAGE Publication: CA.1998.
  38. D. I. Morgan and A. U. Scannell, Planning Focus Groups (Fous Group Kit), Thousand Oaks, CA: Sage. 1988.
  39. 김후자, 김정남, "질적연구로서의 포커스그룹 연구방법(Focus group method)에 대한 고찰," 계명간호과학, 제5권, 제1호, pp.1-21, 2001.
  40. R. Trotter II, "Ethnographic Research Methods for Applied Medical- 183 - Anthropology," Training Manual in Applied Medical Anthropology, No.27, 1991.
  41. M. Sandelowski, "Whatever happened to qualitative description?," Research in Nursing &Health, Vol,23, No.4, pp.334-340, 2000. https://doi.org/10.1002/1098-240X(200008)23:4<334::AID-NUR9>3.0.CO;2-G
  42. 신경림, 장연집, 김영경, 이금재, 최명민, 김혜영, 김옥현, 김영혜, 질적연구방법론: 포커스 그룹, 서울: 현문사, 2004.
  43.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2004.
  44. M. Hawtin, G. Hughes, and J. Percy-Smith, Community Profiling: Auditing Social Needs,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1994.
  45. D. A. De Vaus, Surveys in Social Research, North Sydney: Allen & Unwin, 1995.
  46. R. A. Krueger and M. A. Casey. Focus groups (3rd edition),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000
  47. 황명희송, "음악중재 청소년 금연교실 파일럿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31-139, 2010.
  48. 박민정, 인간중심 집단상담에 참여한 집단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일치성, 무조건적 긍정적 존중, 공감적 이해 경험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6-12, 2014
  49. 윤순희, 참만남집단 가족미술 치료프로그램이 결혼 이민자 가정 모-자녀 관계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50. 권금주, 청소년의 자아개념향상을 위한 참만남집단경험의 효과에 관한 기초연구: 소지역여중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0.
  51. 주은선, 이성미, "인간중심 상담과 여성장애인 동료상담의 적용가능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9권, 제7호 pp.22-35,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7.022
  52. 박민정, 인간중심 집단 상담에 참여한 집단원의 경험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53. S. William, "The Gray Work Tradition and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ork with Groups, Vol.28, No.3, pp. 69-89, 2005. https://doi.org/10.1300/J009v28n03_06
  54. A. Janice, "Group Work's Place in Social Work: A Historical Analysis," Journal of Sociology & Social Welfare, Vol.28, No.4, pp.45-65, 2001.
  55. 김미정, 이경희,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환자를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제45권, 제6호, pp.834-845, 2015. https://doi.org/10.4040/jkan.2015.45.6.834
  56. 박경민, 손경태, "당뇨병 자가관리 임파뭐먼트 프로그램이 당뇨지식, 임파워먼트, 자가 간호행위 및 당화혈색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데이터정보과 학회지, 제32권, 제5호, 2021.
  57. 김광순, "정신건강지킴이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의 권리의식, 임파웜턴트, 회복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엔터 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14권, 제8호, pp.203-211, 2020.
  58. 공희경, 이해정,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재 활동기, 우울,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송인 간호학회지, 제20권, 제3호, 2008.
  59. A. K. Chang and S. R. Sok, "Predictors of sedentary behavior in elderly Koreans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23, No.4, pp.262-270, 2015. https://doi.org/10.1097/JNR.0000000000000094
  60. 양숙미, 정신지체 성인 자녀의 부모를 위한 역량강화집단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61. 곽미정, 서선호, 김종법, "학교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자기 효능감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표지,"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제28권, 제2호, pp.113-142, 2016.
  62. 하준선, 배경의, "정신장애인가족의 임파워먼트와 자기옹호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 자너견강학회지, 제11권, 제1호, 2008.
  63. 조윤주, 최연실, "쉼터거주 결혼이주여성의 임파워먼트 증진을 위한 해결중심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한국가족치료학회가족과 가족치료가족과 가족치료, 제24권, 제2호, pp.187-206, 201
  64. 이정민, 김수지, 천성문, "영상매체를 활용한 통합예술치료프로그램이 뇌병변장애인의 자아존중감, 임파워먼트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한국상담학회, 제18권, 제3호, pp.333-349, 2017.
  65. 어용숙, 임파워먼트 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 어 머니의 부담감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66. Zahra Royani, Masoud Rayyani, Naser Behnampour, Mansour Arab, and Javad Goleij, "The effect of empowerment program on empowerment level and self-care self-efficacy of patients on hemodialysis treatment," Iran J Nurs Midwifery Res., Vol.18, No.1, pp.84-87, 2013.
  67. Chen, R. H. Wang, K. C. Lin, H. Y. Hsu, and S. W. Chen, "Efficacy of an empowerment program for Taiwan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21권 제8호, pp.366-373, 2015.
  68. Maren Schmidt, Rahel Eckardt, Kathrin Scholtz, Bruno Neuner, Vera von Dossow-Hanfstingl Jalid Sehouli, Christian G Stief, Klaus-Dieter Wernecke, and Claudia D Spies, "Patient empowerment improved perioperative quality of care in cancer patients aged≥65 years-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Vol.10, No.9, 2015.
  69. Timothy J Cleary, Brittany Velardi, and Bracha Schnaidman, "Effects of the Self-Regulation Empowerment Program (SREP) on middle school students' strategic skills, self-efficacy, and mathematics achievement,"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Vol.9, pp.28-42, 2017.
  70. Bourke-Taylor, Helen M Jane, and M. Fiona, "Mothers' Experiences of a Women's Health and Empowerment Program for Mothers of a Child with a Disability,"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New York, Vol.48, No.6, pp.2174-2186, 2018. https://doi.org/10.1007/s10803-018-3486-0
  71. Maria M. Galano, Sara F. Stein, Andrew C. Grogan-Kaylor, Hannah M. Clark, Graham-Bermann, and A. Sandra,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Moms' Empowerment Program on 8-year traumatic stress symptom trajectories in women with histories of IPV," American Journal of Orthopsychiatry, Vol.91, No.6, pp.776-788, 2021. https://doi.org/10.1037/ort0000577
  72. Karen Austrian, Erica Soler-Hampejsek, Jere R. Behrman, Jean Digitale, Natalie Jackson Hachonda, Maximillian Bweupe, and Paul C. Hewett, "The impact of the Adolescent Girls Empowerment Program (AGEP) on short and long term social, economic, education and fertility outcomes: a cluster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Zambia," BMC Public Health, Vol.20, No.349, 2020.
  73. J. N. Munro and T. R. Back. "Effect of time-limited counseling on client chan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2, pp.395-398, 1975. https://doi.org/10.1037//0022-0167.22.5.395
  74. J. M. Macguire, D. R. Taylor. D. H. Broome, B. I. Blau and D. W. Abbott, "Group structuring techniques and their influence on process involvement in a group counseling training group,"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33, pp.270-275, 1986, https://doi.org/10.1037/0022-0167.33.3.270
  75. D. Meadow, "Preparation of individual for participation in a tretment group: Deveopment and empirical testing of a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hy, Vol.38, No.3, pp.367-385, 1988. https://doi.org/10.1080/00207284.1988.1149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