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Theories of Life Posited by 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유학과 대순사상의 생명론 비교 고찰

  • An Yoo-kyoung (Youngnam Culture Institute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안유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 Received : 2022.04.12
  • Accepted : 2022.09.14
  • Published : 2022.09.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newly investigate the meaning of life in this era when various discussions on life and ethical living are commonly raised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theories of life proposed by 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Both 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explain the creation of all things as having been based on the principles of life in heaven and earth. Specifically, there is the will to live (生意 saengeui) and also divine beings (神明 sinmyeong). For this reason, everything in heaven and earth is created by obtaining the same principle of life such that it is an equal being with the same intrinsic value. Here the consciousness of being one body amid all things as one living thing is established. The consciousness of being one body forms an organic worldview in which all things are one. As a result, all things in heaven and earth exist within a mutual organic relationship, and that makes oneself and others precious life partners that coexist rather than separate beings. Nevertheless, both 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define humans as outstanding beings, set aside for a higher purpose than other beings. The excellence of humans is that by constantly engaging in self reflection and completing tasks through independent efforts, they thereby achieve the great moral doctrine of coexistence and symbiosis. In this process, cultivation of character (修養 suyang) and cultivation of the Dao (修道 sudo) are presented as means to realize one's nature and establish the right human image. By realizing nature or humanity through the cultivation of character and cultivation of the Dao, humans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missions by independently participating in being nourished by Heaven and Earth (天地化育 cheonjihwayuk) or the Reordering Works of Heaven and Earth (天地公事 cheonjigongsa), both being based in the concept of the three generative forces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天·地·人 cheon·ji·in). In the end, the theories of life posited by 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are based on a consciousness of being one body. Both emphasize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humans who are distinguished from other beings and phenomena. At this time, human characteristics and roles are revealed as the reasons for which humans have a responsibility and mission take care of all things. From this point of view, it can be seen that the theoretical structure of Neo-Confucianism and Daesoon Thought, in regards to their theories of life, is rather similar.

본 논문은 유학과 대순사상의 생명론을 비교 고찰함으로써 생명과 생명 윤리에 대한 여러 논의들이 제기되는 이 시대에 생명의 의미를 새롭게 규명해보려는 것이다. 유학과 대순사상은 모두 천지의 생명원리, 즉 생명의지(生意)와 신명에 근거하여 만물의 생성을 설명한다. 이 때문에 천지 속의 만물은 동일한 생명원리를 얻어서 생겨난 것이므로, 동일한 내재적 가치를 지닌 존재이다. 여기에서 만물이 하나의 생명체라는 동체(同體)의식이 성립하니, 이러한 동체의식은 만물이 모두 하나(전체의 일부)라는 유기체적 세계관을 형성한다. 이로써 천지 속의 만물은 모두 상호 유기적인 관계 속에 존재하니, 나와 남이 별개의 존재가 아니라 함께 해야 할 소중한 삶의 동반자가 된다. 그럼에도 유학과 대순사상은 모두 만물과 달리 인간을 빼어난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의 우수성은 그대로 주체적 노력을 통하여 끊임없이 성찰·반성하여 자신을 완성시키고 만물을 완성시킴으로써 공존·공생의 대도(大道)를 이루게 한다. 이 과정에서 자기의 본성을 실현하고 올바른 인간상을 확립하는 수양과 수도의 공부가 제시된다. 이러한 수양과 수도를 통해 본성 또는 인간상을 실현함으로써 천지화육 또는 천지공사에 주체적으로 참여함에 따라 사람으로서의 책임과 사명을 다하게 되니, 이것이 바로 천·지·인 삼재(三才)사상의 내용이다. 결국 유학과 대순사상의 생명론은 만물이 모두 하나라는 동체의식에 근거하면서도 만물과 구분되는 인간의 특징과 역할을 강조하며, 이때 인간의 특징과 역할은 그대로 만물을 이끼고 보살피는 책임과 사명으로 드러난다. 이렇게 볼 때, 유학과 대순사상의 생명론은 그 이론구조가 매우 유사함을 알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童蒙先習」
  3. 「朱子語類」
  4. 「中庸章句」
  5. 「朱熹集」
  6. 「周易」
  7. 「中庸」
  8. 이희승 편저, 「국어대사전」, 서울: 민중서림, 1982.
  9. 김도훈, 「생명의 온전성의 회복: 나눔과 섬김, 그 아름다움에 대하여」, 「오늘의 생명신학」 1, 2013.
  10. 김병환, 「유가의 생명관: 생생(生生), 만물일체와 살림의 생명론」, 「유교사상문화연구」 22, 2005. https://doi.org/10.23012/tsctc..22.200502.307
  11. 김세정, 「왕양명 생명철학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12. 김영주, 「생명윤리와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45, 2014. http://uci.or.kr/G704-000911.2014.45..002
  13. 박경혜, 「대순사상의 생명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1.
  14. 박은정, 「생명: 과학과 윤리 사이」, 「생명윤리」 16, 2015. http://uci.or.kr/G704-SER000010152.2015.16.2.002 10152.2015.16.2.002
  15. 윤재근, 「한국 신종교의 도교문화와 생명관: 대순사상의 인간이해를 중심으로」, 「종교교육학연구」, 2010. http://uci.or.kr/G704-000911.2010.33..002 https://doi.org/10.33..002
  16. 장회익, 「삶과 온생명」, 서울: 솔, 1999.
  17. 정병석, 「유가의 생명관」, 「동아시아 문화와 사상」 4, 2000.
  18. 최경석, 「생명윤리와 철학: 철학적 대립과 새로운 생명윤리학을 위한 철학의 과제」, 「생명윤리」 14, 2013. http://uci.or.kr/G704-SER000010152.2013.14.2.001 10152.2013.14.2.001
  19. 최치봉, 「대순사상의 생명관과 인생관」, 「대순사상논총」 33, 201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319
  20. 허남결, 「불교와 생명윤리」, 「불교학연구」 12, 2005. http://uci.or.kr/G704-001018.2005..12.002 1018.2005..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