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clusion Structure of Thesis in th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초등과학교육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 Received : 2022.01.12
  • Accepted : 2022.02.07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lusions" section of a thesi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presents a conclusion model that can be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journal published by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ssociation, the conclusion section was analyzed on the four-year academic papers published. First, the title of the concluding chapter and the number of conclusions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ere identified. Results showed that most commonly used title for the conclusion section was "Conclusion and Suggestion," and the length of the section was 85.4 lines or 2.1 pages.. Th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clusions of elementary science journals in sentence units, we found stages as a kind of semantic unit frequent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 we obtained that these stages are often used in connection with specific stages. Finally, a conclusion template for papers commonly used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was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drafting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apers. Furthermore, specific thesis regarding education plans and educational materials might be prepared for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graduate students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본 연구는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결론' 부분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결론 모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해 초등 과학 교육 학회에서 발간되는 '초등과학교육' 학술지에 게재된 4개년간의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결론 부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과 결론의 분량을 파악하였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결론 장의 제목은 '결론 및 제언' 이였다. 결론 분량의 경우 평균 85.4줄로 분석되었으며 이를 '쪽' 단위로 분석하였을 경우 평균 2.1쪽의 분량으로 집계되었다. 둘째, 초등과학교육 학술지논문 결론의 내용을 문장단위로 분석한 결과 초등 과학 교육 분야 논문에서 자주 사용되는 일종의 의미 구성단위로서의 단계들을 발견하였고 이러한 단계들이 특정 단계와 연결되어 구조를 이루며 사용되는 경우가 빈번함을 발견하였다. 셋째,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에서 통용될 수 있는 논문의 결론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 과학 교육 논문 작성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과자료를 바탕으로 초등 과학 교육 분야 교육 대학원생을 위한 구체적인 논문 작성 교육 방안과 교육자료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민경(2015). 학위논문 초록의 MOVE 관련 연구. 언어 과학, 22(1), 23-48.
  2. 김갑선(2018). 문헌정보학 학술지 논문의 결론 구조 분석.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9(3), 111-132. https://doi.org/10.16981/KLISS.49.3.201809.111
  3. 김영규, 이은하(2008).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연구 논문 서론의 장르분석연구. 이중언어학, 36, 43-67.
  4. 민정호(2020). 대학원 유학생 학위논문 결론의 담화구조 분석과 교육적 함의. 인문사회 21, 11(3), 1-12.
  5. 박은선(2006). 한국어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적 연구. 한국어 교육, 17(1), 191-210.
  6. 박지희(2016). 학문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경영학 학위논문의 장르분석: 결론 부분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혜수, 공영태(2016). 초등과학교육학회지의 과학교육 및 stea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73, 103-103.
  8. 유민애(2015).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학위논문 초록쓰기 교육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8), 639-661.
  9. 윤여옥(2011).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연구방법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이슬(2016).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학위논문 서론의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이아람, 홍영식(2013). 한국초등과학교육의 최근 연구 동향 분석. 초등과학교육, 32(3), 260-268.
  12. 이주희(2012).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논문 쓰기 교육을 위한 학위논문 결론 부분의 장르 분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한준상, 이정균, 한진상(2009). 교육대학원생들의 학업과 졸업의 실패 요인들에 관한 질적 연구. 평생교육.HRD연구, 5(3), 155-174.
  14. Belcher, W. L. (2009). Reflections on ten years of teaching writing for publication to graduate students and junior faculty. Journal of Scholarly Publishing, 40(2), 184-200 https://doi.org/10.3138/jsp.40.2.184
  15. Bitchener, J. (2010). Writing and applied linguistics thesis or dissertation: A guide to presenting empirical research. New York: Palgrave Macmillan.
  16. Bruce, I. (2008). Results sections in sociology and organic chemistry articles: A Genre Analysi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8(2), 105-124. https://doi.org/10.1016/j.esp.2008.12.005
  17. Bunton, D. (2005). The structure of PhD conclusion chapters.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4(3), 207-224. https://doi.org/10.1016/j.jeap.2005.03.004
  18. Darabad, A. M. (2016). Move anal ysis of research articl e Abstracts: A cross-di sciplinary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Linguistics, 8(2), 125-140. https://doi.org/10.5296/ijl.v8i2.9379
  19. Kim, E. (2015). Remnants of culture in journal article titles: A comparis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Korea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345-372. https://doi.org/10.16981/kliss.46.201503.345
  20. Lindeberg, A. C. (1994). An exploratory study of knowledge claims in article introductions in three disciplines: Finance, management, and marketing. HELSINKI SCHOOL OF ECONOMICS PUBLICATIONS SERIES D, 211, 132-145.
  21. Lores, R. (2004). On RA abstracts: From rhetorical structure to thematic organizatio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3(3), 280-302. https://doi.org/10.1016/j.esp.2003.06.001
  22. Morales, R. C. (2012). Conclusions in research articles: A filipino-Japanese contrastive rhetorical study. Philippine ESL Journal,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Rodrigo-Morales-9/publication/274812443_Conclusions_in_Research_Articles_A_Filipino-Japanese_Contrastive_Rhetoric_Study/links/552a15260cf2e089a3a7ee03/Conclusions-in-Research-Articles-A-Filipino-Japanese-Contrastive-Rhetoric-Study.pdf.
  23. Soler, M. C. (2015). A move-step analysis of the concluding chapters in computer science PhD theses. Asociacion Europea de Lenguas para Fines Especificos, Retrieved July 11, 2021. from https://www.redalyc.org/journal/2870/287048507006/html/.
  24. Swales, J. M. (1990). Genre analysis: English in academic and research setting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Tseng, F. (2011). Analyses of move structure and verb tense of research article abstracts in applied lingu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English Linguistics, 1(2). 27-39. https://doi.org/10.5539/ijel.v1n2p27
  26. Yang, H., & Allison, D. (2003). Research articles in applied linguistics: moving from results to conclusions.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 22(4), 365-385. https://doi.org/10.1016/S0889-4906(02)000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