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Self-Efficacy on the Science Learning Flow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학습동기,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과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01.17
  • Accepted : 2022.02.23
  • Published : 2022.02.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self-efficacy on the science learning flow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study recruited 77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uring their sophomore year from the B university of education.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science self-efficacy exer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cience learning flow. Satisfaction was the main influential subelemen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For science self-efficacy, the main influential subelements were emotional stability and language encouragement. Moreover, it was deduced that self-efficacy exerted a greater effect on science learning flow tha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적 자기효능감이 과학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상관관계와 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활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 자기효능감은 과학 학습몰입과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보면, 과학 학습동기를 구성하는 네 요소가 모두 과학 학습몰입과 유의하게 상관이 있었고 그 중에서 만족감의 요소가 가장 높은 상관을 보였다. 과학 자기효능감의 경우에도 네 요소가 모두 과학 학습몰입과 유의하게 상관이 있었고 그 중에서 긍정적인 언어적 격려 요소, 정서적 안정의 요소와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 자기효능감은 모두 과학 학습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습동기의 네 요소 중에서는 만족감의 요소가 과학 학습몰입에 가장 큰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자기효능감의 네 요소 중에서는 언어적 격려 요소와 정서적 안정의 요소가 과학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큰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과학 학습동기와 과학 자기효능감의 과학 학습몰입에의 상대적인 영향도를 살펴 본 결과 과학 자기효능감이 과학 학습동기보다 더 큰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부산교육대학교 교내 연구과제로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2. 김기흥, 이경희(2020). 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관계 분석. 열린교육연구, 28(4), 117-143.
  3. 김순식(2021). 초등예비교사의 성별 및 지구과학 이수여부가 '계절변화' 개념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36-247.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3.236
  4. 김아영(2003). 한국 교육심리학계의 동기연구와 과제. 교육심리연구, 18(1), 5-21.
  5. 김원표(2017). (다시 쓰는 통계분석) 기본통계분석. 서울: 와이즈인컴퍼니.
  6. 김종운, 김효은(2012).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스트레스와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 교육연구, 12(1), 97-118.
  7. 김진아(2014). 학습몰입경험, 학습지속력, 학업성취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구조모형 검증. 청소년학 연구, 21(12), 127-152.
  8. 김진호(2008). 학습자 중심 수업과 학생들의 수업에의 몰입에 관한 소고. 수학교육논문집. 22(1), 41-52.
  9. 김희정(2012). 교사 학생관계 및 학습동기와 학습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류관열, 엄우용, 최성열(2010). 중.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타인기대와 학업성취도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전략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661-685.
  11. 박수경(1998). ARCS전략을 적용한 구성주의적 수업이 과학개념 획득과 동기유발에 미치는 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박정호(2008). 초등학생 프로그래밍 학습을 위한 스토리텔링기반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배종찬(2011). 자기주도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진나(2011). 과학영재의 과학학습동기,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병행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석임복, 강이철(2007).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한 학습 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공학연구, 23(1), 119-152
  16. 송윤희(2014). 대학 이러닝 학습자의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몰입, 학업성취도 및 만족도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10(2), 105-123.
  17. 성태제(2013).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기술통계에서 구조방정식 모형까지. 서울: 학지사.
  18. 신세인, 이준기, 이고은, 하민수(2017).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41(3), 281-296. https://doi.org/10.21796/JSE.2017.41.3.281
  19. 신승희, 문공주, 김성원(2019). 자연계열 고등학생의 과학 자기효능감 향상 과정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321-335.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3.321
  20. 안범희(2007). 학습이론 및 심리. 서울: 도서출판 하우.
  21. 오정임, 이형철(2005). ARCS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5학년 전기회로 꾸미기 단원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24(5), 539-545.
  22. 이명숙, 양애경, 박형근(2014). 감성지능과 귀인성향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논총, 30(2), 201-213.
  23. 이명제(2016). 초등예비교사들의 계절 변화 원인에 대한 설명과 확신 수준. 교육논총, 53(3), 1-13.
  24. 이미란, 이수범(2021). 학습동기가 학습몰입, 학업성취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ARCS 학습동기 이론을 적용한 NCS기반 바리스타 학습자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35(1), 161-173.
  25. 이미선(2014). 초등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과학학습 동기와 학습몰입의 관계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숙정(2011). 대학생의 학습몰입과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5(2), 235-253.
  27.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들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 효능감 및 과학 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 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341-351.
  28. 이은주(2001).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5(3), 199-216.
  29. 이정아(2015). 교사의 변혁적 지도행동이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습 몰입에 미치는 영향.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이지혜(2009). 대학생의 학습동기적 요인과 학습몰입과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 36(3), 5-26.
  31. 임영재, 이경희(2021).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동기, 학습몰입, 학습만족,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8), 479-497.
  32. 임지향, 안윤지, 신지현(2015). 몰입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고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4(3), 427-448.
  33. 임희준(2017).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자기효능감, 자기효능감의 원천, 창의적 성향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차이. 과학교육연구, 41(3), 351-364. https://doi.org/10.21796/jse.2017.41.3.351
  34. 정미나(2011). 중학생의 과학적 자기효능감의 원천과 과학 탐구 능력의 상관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주영주, 정애경, 임유진(2012). 사이버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몰입, 학업스트레스, 정신적 소모에 따른 과목 만족도 예측. 컴퓨터학회논문지, 15(3), 61-69.
  36. 채동현, 변원섭, 손연아(2003). 초등 예비교사들의 계절 변화 원인에 대한 질적 연구. 초등과학교육, 22(1), 109-120.
  37. 최규환, 여호근, 정호균(2014).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습몰입, 학업성취도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6(8), 451-469.
  38. 최원석, 허주, 이동엽, 김갑성, 김민규(2019). 초등교사의 생애 단계별 전문적 자본 차이 분석. 교사교육연구, 58(3), 325-340. https://doi.org/10.15812/TER.58.3.201909.325
  39. 하민수, 신세인, 이준기(2016). 계열과 다른 대학 전공으로 진학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의 과학학습동기의 특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2), 317-324. https://doi.org/10.14697/JKASE.2016.36.2.0317
  40. 한예지(2017). 초등학생이 지각하는 타인기대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황혜순(2005). 진로탐색 집단상담이 고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학업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43.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The experience of play in work and games. Sam Francisco: Jossey-Bass.
  44. Csikszentmihalyi, M. (1990).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New York: Harper & Row.
  45.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780
  46. Novak, T. P., Hoffman, D. J., & Yung, Y. F. (2000). Measuring the customer experience in online environment: A structural modeling approach. Marketing Science, 19(1), 22-44. https://doi.org/10.1287/mksc.19.1.22.15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