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한국의 창업생태계 트렌드 변화 분석

Analysis on Dynamics of Korea Startup Ecosystems Based on Topic Modeling

  • Heeyoung Son (KISED, Korea Institute of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
  • Myungjong Lee (KISED, Korea Institute of Entrepreneurship Development) ;
  • Youngjo Byun (Hanbat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22.10.28
  • 심사 : 2022.12.05
  • 발행 : 2022.12.31

초록

1986년, 한국은 국가발전의 주축인 중소기업 창업지원을 위한 법 제도를 마련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난 30여년간 창업정책의 수립 및 발전을 거듭하여 매년 100만 개가 넘는 신규 창업기업이 설립되는 역동적인 창업생태계를 구축하였다. 국가의 정책 방향과 사회, 경제, 문화 등의 외부환경 영향, 그리고 창업지원의 역사를 주요 이슈별로 분석하여 도출된 핵심문장 또는 키워드는 시대별 지원의 특징과 국가지원의 중심내용 등을 확인하는 데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창업생태계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1991년부터 2020년 12월까지 30년간의 언론기사에서 '창업', '벤처', '스타트업' 키워드가 포함된 118만여 건을 추출하고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창업생태계 트렌드는 기업 및 산업육성, 확산 그리고 규제 완화, 활황 등, 정부 중심으로 스타트업 생태계의 변화와 발전이 이루어졌음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다빈도 키워드 분석결과, 생태계 구성요인 간의 연계 활동을 통하여 기업가적인 생산성이 창출되었다. 생산성 창출의 주요 요인으로 한국은 대기업의 휴대폰 산업 발전과 이와 관련된 콘텐츠 스타트업의 성장, 인터넷과 쇼핑몰 중심의 플랫폼 기업의 발전, 그리고 청년창업과 글로벌 진출, 모바일과 인터넷 인프라 중심의 창업기업육성 노력 등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30년간의 언론기사를 텍스트마이닝과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트렌드를 도출하였다. 이는 선행연구가 기존 정부와 정책의 변경 시기를 기준으로 트렌드 변화를 분석한 것과 달리, 언론기사의 키워드와 토픽 변화를 기준으로 창업생태계의 트렌드 변화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뿐만 아니라, 30년 간의 창업생태계 변화 및 주요이슈를 조명해 봄으로써 향후 창업지원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1986, Korea established legal systems to support small and medium-sized start-ups, which becomes the main pillars of national development. The legal systems have stimulated start-up ecosystems to have more than 1 million new start-up companies founded every year during the past 30 years. To analyze the trend of Korea's start-up ecosystem, in this study, we collected 1.18 million news articles from 1991 to 2020. Then, we extracted news articles that have the keywords "start-up", "venture", and "start-up". We employed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o analyze collected news articles. Our analysis can contribute to analyzing the government policy direction shown in the history of start-up support policy. Specifically, our analysis identifies the dynamic characteristics of government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e.g., society, economy, and culture). The results of our analysis suggest that the start-up ecosystems in Korea have changed and developed mainly by the government policies for corporation governance, industrial development planning, deregulation, and economic prosperity plan. Our frequency keyword analysis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entrepreneurial productivity attributed to activities among the networked components in industrial ecosystems. Our analyses and results provide practitioners and researchers with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that can help to establish dedicated support policies through forecast tasks of the economic environment surrounding the start-ups. Korean entrepreneurial productivity has been empowered by growing numbers of large companies in the mobile phone industry. The spectrum of large companies incorporates content startups, platform providers, online shopping malls, and youth-oriented start-ups. In addition, economic situational factors contribute to the growth of Korean entrepreneurial productivity the economic, which are related to the global expansions of the mobile industry, and government efforts to foster start-ups. Our research is methodologically implicative. We employ natural language processes for 30 years of media articles, which enables more rigorous analysis compared to the existing studies which only observe changes in government and policy based on a qualitative manner.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만수, 강재원 (2021). 정책 패러다임 관점에서 살펴본 창업정책 변화. 벤처창업연구, 16(3), 43-58.  https://doi.org/10.16972/APJBVE.16.3.202106.43
  2. 박명석, 권영진, 이상용 (2018). 댓글이 음원 판매량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텍스트마이닝 분석. 지식경영연구, 19(2), 91-108.  https://doi.org/10.15813/KMR.2018.19.2.005
  3. 박종도 (2019). 토픽 모델리을 활용한 다문화 연구의 이슈 추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53(3), 279-289. 
  4. 변영조, 이상한, 김재영 (2020). 대학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역연계 창업혁신 활동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20(3), 33-47. 
  5. 서리빈, 최경철, 변영조 (2020). 「중소기업연구」 40년 동안의 창업생태계 연구 동향 고찰 및 측정모형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중소기업연구, 42(4), 69-102. 
  6. 손희영, 이명종 (2021). '91~'20년 언론에 비친 창업.벤처의 모습. 조사연구-2021, 세종: 창업진흥원. 
  7. 이금실, 이인주, 이영경 (2018).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기반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관광분야의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연구동향 분석. 2018년도 제50차 한국관광레저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425-432. 
  8. 이소현, 손새아, 김희웅 (2019).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미용 성형 주요 요인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20(1), 45-75.  https://doi.org/10.15813/KMR.2019.20.1.003
  9. 이우진, 오혜미 (2019). 2013~2016년 한국 벤처창업정책의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창업학회지, 14(1), 129-159.  https://doi.org/10.24878/TKES.2019.14.1.129
  10. 주재홍, 송지훈 (2021).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지식 은폐 연구동향 분석. 지식경영연구, 22(1), 217-242.  https://doi.org/10.15813/KMR.2021.22.1.011
  11. 중소벤처기업부 보도자료 (2022). 실질 창업 증가 속, 기술창업 역대 최대 23만개 달성. 제142009호. 
  12. 하규수, 홍길표, 이춘우 (2016). 2002-2012년의 한국 벤처창업정책의 특징 연구. 벤처창업연구, 12(1), 15-24.  https://doi.org/10.16972/APJBVE.12.1.201702.15
  13. 현기순 (2022). 지속가능성에 대한 지리학의 연구 동향 분석-토픽 모델링과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7(1), 1-17.  https://doi.org/10.22776/KGS.2021.57.1.1
  14. 황보윤, 김재형 (2016). 창업기업 성과에 미치는 창업보육지원 서비스 연구. 벤처창업연구, 11(5), 57-66. https://doi.org/10.16972/APJBVE.11.5.201610.57
  15. Cavallo, A., Ghezzi, A., & Balocco, R. (2018). Entrepreneurial ecosystem research: Pres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3(2), 1-31. 
  16. De Battisti, F., Ferrara, A., & Salini, S. (2015). A decade of research in statistics: A topic model approach. Scientometrics, 103, 413-433.  https://doi.org/10.1007/s11192-015-1554-1
  17. DePaolo, C. A., & Wilkinson, K. (2014). Get your head into the clouds: Using word clouds for analyzing qualitative assessment data. Tech Trends, 58, 38-44.  https://doi.org/10.1007/s11528-014-0750-9
  18. Feld, B. (2012). Startup communities: Building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your city. New York, NY: Wiley. 
  19. GERA. (2019-2021).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global report. 
  20. Hayton, J. C., George, G., & Zahra, S. A. (2002). National culture and entrepreneurship: A review of behavioral research.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26(4), 33-52.  https://doi.org/10.1177/104225870202600403
  21. Hearst, M. A., Pedersen, E., Patil, L., Lee, E. Laskowski, P., & Franconeri, S. (2020). An evaluation of semantically grouped word cloud designs. IEEE Transactions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26(9), 2748-2761.  https://doi.org/10.1109/TVCG.2019.2904683
  22. Isenberg, D. (2010). How to start an entrepreneurial revolution. Harvard Business Review, 88(6), 40-50. 
  23. Mason, C., & Brown, R. (2014).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growth oriented entrepreneurship. Paris: OECD. 
  24. Qaiser, S., & Ali, R. (2018). Text mining: Use of TF-IDF to examine the relevance of words to docu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Applications, 181(1), 25-29.  https://doi.org/10.5120/ijca2018917395
  25. Shwetzer, C., Maritz, A., & Nguyen, Q. (2019). Entrepreneurial ecosystems: A holistic and dynamic approach. Journal of Industry-University Collaboration, 1(2). 79-95.  https://doi.org/10.1108/JIUC-03-2019-0007
  26. Spigel, B. (2017). The relational organization of entrepreneurial ecosystem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41(1), 49-72.  https://doi.org/10.1111/etap.12167
  27. Stam, E. (2015). Entrepreneurial ecosystems and regional policy: A sympathetic critique. European Planning Studies, 23(9), 1759-1769.  https://doi.org/10.1080/09654313.2015.1061484
  28. Stam, E., & Van de Ven, A. (2021). Entrepreneurial ecosystem elements. Small Business Economics, 56, 809-832. https://doi.org/10.1007/s11187-019-002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