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Bully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 Kim, Hyung Hee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
  • Kim, Yong Seob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Chosun University)
  • Received : 2022.03.31
  • Accepted : 2022.05.10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ces of group bullying victimization damage and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this en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panel data for the 6th year of multicultural youth (2016)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lete mediating effect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6차 년도(2016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I. Introduction

국제결혼과 외국인 노동자 및 북한 이탈주민 등의 유입 으로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통 계청자료(2019)에 따르면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혼인이 차 지하는 혼인비율은 9.2%에 이르렀으며[1], 다문화가정 비 율의 계속된 증가추세는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급속한 증 가로 이어져,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현재 재학 중인 다문화 청소년의 비율은 전체학생 대비 2.75%(147,378명) 에 이르고 있다[2]. 다문화청소년의 양적증가로 한국사회 에서는 이들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 는 환경조성이 중요과제가 되었다. 다문화청소년은 외모나 문화적 차이와 더불어 사춘기 시절 정체성의 혼란 등으로 놀림과 차별의 대상이 되기 쉽고[3], 실제 다문화청소년의 집단따돌림 경험은 2018년 8.2%로 2015년 5% 대비 3.2% 증가하였다[4]. 이런 결과는 교육부(2018)에서 실시한 학 교폭력실태조사에서 나타난 학교폭력피해 응답률이 1.26%이었던 것과 비교할 때 약 7배에 이르는 것으로 다 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 피해수준이 매우 심각함을 나 타낸다[5].

청소년기의 발달과업 완수와 미래의 건강한 발달에 관 한 예측변인으로 삶의 만족도가 부각되고 있으나[6], 한국 사회의 청소년 삶의 만족도 수준은 OECD 국가 중 최하위 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다문화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전반적인 사회분위기인 한국사회에서의 다문화청소년은 국적이나 인종 및 문화에 따른 차이를 존중받지 못하고 편 견과 차별대우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 이와 같은 요 인들이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낮게 한다고 보고되 고 있다[8]. 삶의 만족도는 삶에 대한 만족도를 인지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자신의 경험에 대한 주관적 해석과 평가 의 의미를 갖는다. 특히,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는 생활사건 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고, 성인기의 삶의 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9]. 그러나, 다문화청소년을 둘러싼 배타적인 환경으로 인 해 이들이 지각하는 삶의 만족도 수준은 낮고 특히,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은 청소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지속적인 괴롭힘 경험은 우울이나 불안장애, 자살 생각 등 의 심리적 불안정 상태를 이끌어[10],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낮게 만든다. 청소년기에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학교가 집단 괴롭힘의 주 발생장소가 되어 학교에 대한 거부감이나 폭력비행 등의 외현화된 문제행동으로 이 어지기도 하고[11], 이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이 성인기까지 이어지고 있다[12]. 따라서 다문화청소년이 한국사회의 건 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낮추는 요인인 집단 괴롭힘 피해에 관한 연 구는 매우 중요하다. 또한,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만으로 모 든 청소년이 심리적 문제나 사회적 관계형성에 있어 문제 가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이들의 내·외적인 자원이나 조건 에 따라 부정적인 경험이 더해졌을 때 삶의 만족도가 달라 지기도 하여, 집단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의 영향관계에 있 어 보호요인의 확인과 강화시키는 전략으로 성인기로 이어 지는 부정적인 연결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청소년 에 비해 다문화청소년의 경우에는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보 편적인 발달적 특성에다 다문화로 인한 차별이 가해져 집 단 괴롭힘 문제에 노출 가능성이 더 높아지고 이들의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청소 년을 대상으로 괴롭힘 피해 경험과 삶의 만족도 간의 영향 을 규명한 연구는 많이 있으나[13],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 간 영향을 규명한 연구는 부족한 실 정이다. 또한, 이들 연구들도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차별이 나 사회적지지에 초점을 두거나 집단 괴롭힘으로 인한 심 리적 문제나 교우관계 간의 영향만을 규명할 뿐[8][11], 집 단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규명을 위한 연구는 미 흡하다. 본 연구는 집단 괴롭힘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과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하는 영향을 검 증하고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 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II. Theoretical Background

1. bullying victimization

집단 괴롭힘(bullying)은 왕따, 따돌림 등으로 표현되며 타인을 괴롭히거나 해를 끼치는 것으로 힘이 센 개인이나 집단이 힘이 약한 개인이나 집단에게 행사하는 문제행동 이다[14]. 피해자에게 심각한 적응상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고, 낮은 자존감 같은 정서적 적응문제와 학교부적응문 제가 보고되고 있다[15]. 선행연구에 의하면 청소년기 집 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자아존중감에 부적영향을 미치며, 또래집단으로부터의 집단괴롭힘 피해경험은 인정과 소속 의 욕구가 무너지고 자신에 대해 부정적인 자기개념을 형 성하게 한다[16]. 선행연구에서는 집단 괴롭힘 경험이 다 문화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보고하고 있다[8].

2. Life satistifaction

삶의 만족도는 자신이 삶에서 정한 만족기준과 스스로 가 지각하는 삶의 상황에 대한 비교정도를 인지적으로 평 가하는 것으로 주관적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지표로 활용 된다[13].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으로 부모양육태 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뿐 아니라 자아존중감과 같인 개인 적 요인을 보고하고 있다[17]. 특히, 청소년기는 자아정체 감을 성취해야 하는 시기로 교우관계나 주변 환경에 민감 할 수밖에 없는데 다문화가정이라는 자신의 환경으로 인 해 스스로의 의지나 노력과 상관없이 겪게 되는 어려움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청소년기의 차 별은 조롱이나 집단 따돌림 등으로 나타나고 집단 괴롭힘 이라는 학교폭력의 양상을 보이게 되어[18], 다문화청소년 의 삶의 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3. Self esteem

많은 선행연구에서 집단 괴롭힘 경험이 있는 아동들은 낮은 자아존중감을 보인다고 보고하고 있다[19]. 집단 괴 롭힘을 당하는 아동은 자신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청소년시기에는 특히 또래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20], 최미경(2000)의 연구에서는 또래에 의한 괴롭힘을 경험한 아동의 상당수가 우울증과 같은 부정적인 증세로 정신과 진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아동은 심리적 위축과 자신감의 상실로 부정적인 자아존중감을 초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21].

4. social withdrawal

사회적 위축은 삶의 만족도의 영향요인으로 보고되고 있 다. 또래집단에 대한 소속감이 중요한 청소년기는 교우관 계와 같은 의미 있는 상호작용을 하며 자아를 확립해 나가 는 시기이다. 그러나, 소극적인 성향이 있는 청소년이 집단 괴롭힘이라는 부정적 사건을 경험하게 되면 스스로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으로 삶에 대한 만족감이 낮아질 수 있는 것 이다. 사회적 위축은 자신을 또래집단으로부터 고립시키는 경향이 있고, 시간과 장소와 무관하기에[22], 사회적 위축 이 심화될수록 삶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난다[23].

III. Research Method

1. research model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 치는 집단괴롭힘, 자아존중감, 사회적위축의 직접효과와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위축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 구모형을 설정하였으며 [Figure. 1]과 같다.

Fig. 1. Research model

2. Research Problem

본 연구는 앞서 제시한 논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 구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집단 괴롭힘은 삶의 만족도에 어 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집단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 중감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3. Analytical Objects and Data

3.1 Analytical Objects

분석 자료는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MAPS) 6차년도 조 사에 참여한 전체 다문화청소년 중 결측치가 있는 대상자 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1,316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다 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 아보기 위해 독립변수로 집단 괴롭힘, 매개변수로 자아존 중감과 사회적위축, 종속변수로 삶의 만족도를 설정하였다.

3.2. Measuring instrument

3.2.1 Bullying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에서는 김혜원과 이혜경(2001) 의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따돌림 경험 유무, 언어폭력 유무, 신체적 폭력 유무 등 6개 문항으로 구성되 었다. 4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졌으며, 신뢰도는 .921이 었다.

3.2.2 Life Satisfaction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에서는 김신영 외(2006)의 척도 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이경상 등(2011)이 인용한 3개 문항 으로 4점 Likert척도로 이루어졌으며, 삶의 만족도 신뢰도 는 .822이었다.

3.2.3 Social Withdrawal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에서는 이경상 외(2011)의 연구 에서 사용된 사회적 위축 5개 문항을 발췌하여 사용하였 다. 4점 Likert척도로 이루어졌으며, 사회적 위축 신뢰도 는 .908이었다.

3.2.4 Self_esteem

Coopersmith(1967)가 개발한 검사문항 중 자아존중과 관련된 4문항으로, 본 연구에서의 자아존중감 신뢰도는 .858이었다.

4. Data Analysis Analysis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와 Amos 26.0 version을 활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이 분석을 수행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 파악을 위해 기술통계 분석, 신뢰도 분 석 등을 통하여 주요변수들의 정규성을 확인하였으며, 둘 째,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잠재변수에 대한 측정변수의 설 명력을 파악하였다. 셋째, AMOS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하여 변수 간 경로 유의도와 간접효과 및 직접효 과와 총효과를 살펴보았다. 넷째, 부트스트래핑을 활용하 여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았다.

IV. Empirical Analysi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본 연구 대상자인 다문화청소년 중학교 3학년의 일반적 특성을 살핀 결과 최종 분석 대상자 1,316명 중 여자는 50.8%(668명), 남자는 49.2%(648명)로 나타나 전체 성비 는 거의 1:1에 근접하였다.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vey subjects

분석 자료의 변수의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은 평균이 1.0284점(표준편차 .190)으로 중간보 다 낮은 편이었으며, 자아존중감은 평균 3.2824점(표준편 차 .531)으로 중간 보다 높은 편에 속하였다. 사회적 위축 은 평균 2.3208(표준편차 .728)으로 중간 정도의 수준이었 고 삶의 만족도는 3.0491(표준편차 .588)로 중간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정규성 검토를 위한 주요변수의 기술통 계를 분석한 결과, 집단 괴롭힘을 제외한 모든 변수가 왜 도, 첨도 절대값 2미만으로 변수들의 분포가 정규성을 만 족하게 나타났다. 집단 따돌림의 왜도와 첨도는 정규분포 의 기준을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따돌림 경험이 있는 학생이 전체 다문화청소년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상 대적으로 낮은 변인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한 결 과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Technical statistics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집단 괴롭힘은 자아존 중감(r=-.054 * ) 및 삶의 만족도(r=-.076 ** )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으나, 사회적 위축(.063 * )과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다.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위축(-.278 ** ) 과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삶의 만족도(.547 ** )와는 유의 미한 정적 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위축은 삶의 만족도 (-.259 ** )와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분석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Table 2. Correlations between the constructs

3.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측정모형 구성개념의 내적일치도 및 집중타당성을 확인 하기 위해 Cronbach’a와 개념 신뢰도(CR) 및 평균분산 추출값(AVE)을 구하였다. CR은 모두 0.7이상, AVE도 모 두 0.5이상으로 나타나 모두 양호하게 판단되었다. 측정모 형의 판별타당성은 평균분산 추출값의 제곱이 구성개념 간 상관계수 절대값 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 석 결과는 다음 [Table 3]과 같다.

Table 3. Measurement model analysis result

* p<.05, ** p<.01, *** p<.001

구조방정식 모형은 [Fig. 2]와 같으며 연구모형에 대한 모형 적합도는 2값 654.156(p<.001)로, 2값은 표본의 크 기나 모델의 복잡성에 따라 왜곡된 추정의 가능성이 있다 는 점을 감안하여 다른 적합도와 함께 모형의 적합도를 평 가하였다. TLI값 .949, CFI값 .958, RMSEA값 .066으로 괜찮은 적합도를 나타내어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그 결과 는 [table 4]와 같다.

Fig. 2. Mediating effects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Table 4. Model Fitness

* p<.05, ** p<.01, *** p<.001

매개모형의 경로계수를 살펴보면 [table 5]와 같으며 사 회적 위축에서 자아존중감 간의 경로와 사회적 위축에서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에서 삶의 만족도 간의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Table 5. Path coefficient of the partial mediating model

* p<.05, ** p<.01, *** p<.001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각 변수 간의 총 효과와 직접효과 및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집단 괴롭힘은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유의미한 부적매개효과를 나타냈으 며 집단 괴롭힘은 사회적 위축을 매개로 자아존중감에 유 의미한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 검증결과는 다음 [table 6]과 같다.

Table 6.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집단 괴롭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는 유의하였으며 사회적 위축에서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간접효과는 유의 하였다. 분석결과로 집단 괴롭힘이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 감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각각의 경로에 대한 개별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팬텀변수를 활용한 분 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 집단괴롭힘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의 경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별 간접효 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Table 7. Individual indirect effects

* p<.05, ** p<.01, *** p<.001

V. Conclusions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의 다문화청소년패널 6차년도(중학교 3학년) 자료를 이용하여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 삶의 만족도,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위축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위축과 자 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에 있으나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는 집단 괴롭힘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8][17] 와는 다른 결론이나, 비다문화 청소년에 비해 문화적 배경 이 다르다는 이유로 집단 괴롭힘 피해는 다문화청소년에 게서 더 많이 나타나고 삶의 만족도 수준은 더 낮게 나타 나,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집단 괴롭힘 노출을 낮출 필요가 있다. 둘째, 집단 괴롭힘 경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경로에서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결과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총 간접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 감에 대한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팬텀 변수를 활 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위축의 개별매 개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아존중감의 개별 매개효 과는 유의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하여 다음 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다문화 인식 개선 프로그램 운영의 확대로 다른 문 화에 대한 존중과 문화적 다양성 이해를 위한 교육적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특히,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의 미 있는 영향을 미치는 자아존중감의 향상을 위해 다문화 청소년의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특성은 반영하되, 소외감 을 느끼지 않는 프로그램의 운영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사회적 위축의 개별 매개효과는 유의 미하지 않았으나, 사회적 위축은 타인에게 피해를 입히거 나 외현적으로 드러나는 특성은 아니라고는 하지만 성인이 된 이후까지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학교 와 지역사회 청소년 유관 기관들이 협력하여 통합적인 지 원이 제공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의 자기주 장 훈련 프로그램을 포함한 심리적 지원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오는 사회적 위 축과 자아존중감을 바탕으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에 미치는 집단괴롭힘 영향경로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2 차 자료를 활용한 횡단연구의 특성상 중학교 3학년만을 연 구에 포함하여 전체 다문화청소년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 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어, 향후 연구에서는 초·중·고 전체학 령기를 포함한 시간적 흐름에 따른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관련 종단적 변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2018.
  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http://kosis.kr/
  3. Jung Ju-ho, "Effects of the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 of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damage of school violence crimes", Dong-guk university, 2019.
  4. Jun Kyung-Suk, "A Study on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Plan", Gyeonggi Family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2007.
  5. Deok-Hee Lee, "The Mediated Effects of Self Esteem,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of Multi Cultural Youth",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Vol, 17(1), pp. 544-552, 2016.
  6. Eun kyung Kim, "The Relations between Multi-cultural Adolescents's Acculturative Stress and Psycho-social Adjustment : Mediating Effect of Ego-ident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Graduate School of Seoul Women's University, 2016.
  7. Gibson, M. A., "Immigrant Adaptation and Patterns of Human development", 44, 19-23, 2001.
  8. Mena, F. J., Padilla, A. M., & Maldonado, M., "Acculturative stress and specific coping strategies among immigrant and later generation college students", Hispanic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s, 9(2), 207-225, 1987. https://doi.org/10.1177/07399863870092006
  9. Huebner, E. S., "Research on assessment of life satisfac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indicators research, 66(1-2), 3-33, 2004. https://doi.org/10.1023/B:SOCI.0000007497.57754.e3
  10. Day, H. Y. & Jankey, S. G., "Lessons from the literature: Toward a holistic model of quality of life", In R. Renwick, I. Brown, & M. Nagler (Eds.), Quality of life in health promotion and rehabilitation: Conceptual approaches, issues, and applications (pp. 39-50).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1996.
  11. Proctor, C. L., Linley, P. A., & Maltby, J., "Youth life satisfa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0(5), 583-630, 2009. https://doi.org/10.1007/s10902-008-9110-9
  12. McKnight, C. G., Huebner, E. S., & Suldo, S., "Relationships among stressful life events,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sychology in the Schools, 39(6), 677-687, 2002. https://doi.org/10.1002/pits.10062
  13. Diener, E., "Assessing subjective well-being: Progress and opportuniti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31(2), 103-157, 1994. https://doi.org/10.1007/BF01207052
  14. Fujita, F., & Diener, E., "Life satisfaction set point: stability and chang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1), 158, 2005. https://doi.org/10.1037/0022-3514.88.1.158
  15. Sun-young Han, "A Study on the Effect of Self-esteem and Stress do the Youth on Depression", Graduate School of Wonkwang university, 2011.
  16. Sohn, Young Mi, "The Effect of the Adolescent's Social Support on their Depression", Graduate School of Social Science and Cultural Art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2012.
  17. Seung Min Song, Yoo Hyun Lee, "The Influence of Self-esteem Mediated by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search on youth studies, 19(9), 25-46, 2012.
  18. Hyun-ju Le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 Parental Attachment, Emotional 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 Comparing 5th and 8th Grade Panels", Research on educational psychology, 32(4), 649-670, 2018.
  19. Jung ik Ju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 Self-Esteem and Their Predictors", Korean Youth Research., 18(3), 127-166, 2007.
  20. Seung hee Pack, So young Park, Hye won Jung, " Estimating the longitudinal changes in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via piecewise growth mixture modelin", Pedagogy research, 56(1), 187-217, 2018.
  21. Mal Sook Suk, Yong Geun Ku, "The Effects of Family Factors on Life Satisfaction of the Adolescent: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Journal of Youth Welfare, 17(1), 55-74, 2015.
  22. Young Min Kim, Young Sik Lim, "Structural Analysis of Parental Over-Involvement, Ego-Resilience, School Adjustment,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Youth Welfare, 15(2), 343-32013,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