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f the Production Techniques Used in the Goryeo-period Gilt-Bronze Case for Acupuncture in the Collection of the Royal Museums of Art and History, Belgium

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금동침통의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한 제작기법 연구

  • Lee, Jaesung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 Park, Younghwa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 이재성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 박영환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Received : 2022.04.04
  • Accepted : 2022.04.19
  • Published : 2022.05.31

Abstract

Over 200,000 Korean cultural heritage items are currently located abroad. They have made their way to 22 countries under different circumstances and with unique backgrounds. While some of them continue to contribute to promoting Korean culture around the world, others cannot be exhibited due to damage or poor condition. In view of these circumstances,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OKCHF) has since 2013 provided museums and art galleries abroad with support for the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utilization of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items that they house. As a part of these efforts and on the occasion of the 120th anniversary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Kingdom of Belgium in 2021, a gilt-bronze case for acupuncture needles dating to the Goryeo period (918-1392) from the collection of the Royal Museums of Art and History (RMAH), Belgium was brought to Korea for conservation treatment. The primary purpose of this conservation treatment was to restore the original form of the relic and slow to the degree possible the progress of corrosion.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gilt-bronze case followed the fundamental order of conservation treatment: removal of corrosive substances, stabilization, and reinforcement. Since this was the first case of restoring metallic cultural properties under the abovementioned support program by the OKCHF, special methodologies distinct from those available in overseas institutions were required. Diverse scientific methods (e.g., X-ray inspection, CT scanning, 3D microscopy)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metalcraft techniques used in the Goryeo period. The analysis found that several designs, including lotus and scrollwork, were exquisitely engraved on the surface of the case by making dots using a round-edged chisel. A bronze plate engraved with designs was rolled into a cylindrical form. The ends were overlapped by 2 to 3 centimeters and then attached to each other by silver soldering. The overlapping ends were welded flat with nearly no gaps. As the final process in the production, the case was lavishly gilt with gold powder using amalgam gilding.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the gilt-bronze case for acupunctural needles in the RMAH collection restored the original form of the relic and arrested further corrosion. Above all, it revived the historic and academic value of the overseas Korean cultural heritage through scientific analysis.

전 세계 22개국에 흩어져 있는 우리 문화재는 20만 여점에 이른다. 저마다 다른 사연을 가지고 외국에 나가게 된 우리 문화재 중 일부는 해외 기관에 소장되어 세계인들에게 우리 문화를 알리고 있지만 훼손되어 전시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13년부터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보존·복원 및 활용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2021년은 한국과 벨기에 수교 120주년을 기념하여 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고려시대 금동침통을 국내에 들여와 보존처리했다. 보존처리의 기본 방향은 원형을 보존하고 부식이 지속되는 것을 최대한 늦추는 것이기 때문에 표면 부식물제거, 안정화처리, 강화처리를 거치는 기본적인 보존처리 순서로 진행하였다. 하지만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보존처리 지원 사업 중 금속문화재로서는 처음으로 보존처리된 사례이기 때문에 국외 기관과의 차별화가 필요했다. 이를 위해 X선 투과조사, 컴퓨터단층촬영, 3차원 현미경 조사 등 과학적인 조사·분석법으로 고려시대의 다양한 금속 공예기술을 파악하였다. 표면에 정교하게 새겨진 연꽃, 넝쿨 등의 다양한 문양은 끝이 둥근 정을 이용해 점선으로 시문했다. 또한 문양이 새겨진 구리판을 원통형으로 말기 위해서 양끝을 약 2~3mm 정도 겹쳐지게 은땜으로 접합하였으며, 겹친 부위의 단차가 거의 없을 정도로 평평하게 단접하였다. 제작공정의 마지막 과정에서는 금분을 이용한 아말감 도금법으로 표면을 화려하게 도금하였다.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인 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금동침통에 대한 보존처리로 원형을 보존하고, 더 이상의 추가적인 부식을 예방하였다. 특히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에 대한 과학적 조사를 통해 역사적 가치와 학술적 가치를 되살릴 수 있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 조사연구(R&D)의 '무기질문화재 보존처리 및 조사 연구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References

  1. 구지혜, 비파괴 분석을 통한 조선시대 은제 여성장신구에 관한 연구-바탕재료와 땜접합 기술을 중심으로, 용인대학교 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27, (2008).
  2. 김문정, 변지선, 입사장, p65,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08).
  3. 국립문화재연구소, 고려 금속공예의 이해 2, p48,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21).
  4. 국립중앙과학관, 겨레과학인 우리공예, p195, 민속원, 서울, (1999).
  5.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우리 문화재를 지키다, p66, 국립중앙박물관, 서울, (2016).
  6. 서긍, 조동원 외 4 역, 고려도경, 황소자리출판사, 서울, p296. (2005).
  7. 송응성, 최주, 천공개물, 전통문화사, 경기, (1997).
  8. 양석우, 김수기, 열처리 조건에 따른 재현 도금층의 표면현상 연구, 보존과학회지 28(1), p29, (2021). https://doi.org/10.12654/JCS.2012.28.1.029
  9. 이규경, 최주, 오주서종박물고변, p35, 학연문화사, 서울, (2008)
  10. 이난영, 한국고대금속공예연구, p174, 일지사, 경기, (1992).
  11. 이오희, 문화재 보존과학, p163, 주류성, 서울, (2008).
  12. 이현상, 백제 한성기 금공품 제작기술 연구-금동관, 금동식리, 장식대도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27, (2018).
  13. 임옥수, 이채원, 백동연죽장, p92-144, 국립문화재연구소, 대전, (2006).
  14. 한국철강신문, 비철금속용어사전, p327, 한국철강신문, 서울, (2008).
  15. David A. Scott, Metallography and Microstructure of Ancient and Historic Metals, The Getty Conservation Institute, (1991).
  16.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