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structuring Global Production Space of Korean Rechargeable Battery Companies

한국 이차전지기업의 글로벌 생산공간 재구성 연구

  • Ja-Yeong Cho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campus)
  • 최자영 (동국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22.12.10
  • Accepted : 2022.12.31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is study targets the rechargeable battery industry, which has been rapidly growing recently. The rechargeable battery indus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electric vehicle industry. However, other factors also influence it. Currently, rechargeable battery companies show a pattern of restructuring production space by various means. To determine the causes of these production spaces, the factors affecting regional and national scales were thoroughly examined. As a result, the location factors for rechargeable battery-related companies are determined by cooperative relationships with assembled car companies, government policy regulations, and the stability of supply of key materials. And a spatial strategy was implemented to make the most of these circumstances.

본 연구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이차전지산업을 대상으로 한다. 이차전지산업은 전기차 산업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그러나 그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이차전지 기업들은 기존의 입지 외에도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생산공간을 구축하는 패턴을 보인다. 이러한 생산공간의 재구성 원인을 도출하기 위해 지역 및 국가 단위의 스케일에서 영향을 미친 요인들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은 완성차 기업과의 협력 관계, 정부의 정책적 조절행위, 주요 소재 공급의 안정성 등에 따라 입지요인이 결정되었고, 배터리 셀 기업, 소재기업, 혹은 연계를 통한 공간전략을 구사하여 글로벌 생산공간의 입지를 결정하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섭.김은란.김대종.구정은, 2009, "신성장산업의 입지 패턴 분석을 통한 산업입지정책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 2009(38).
  2. 김경화, 2022, "미국의 신 공급망 재편 전략과 IRA 전기 동력차 보조금 규정," KITA통상리포트 2022(11).
  3. 김리나.이재욱.박준혁.신승욱.박인수.정경우.유정현.김수경.조성준.전호석.장한권, 2022, "에너지 전환시대 배터리용 핵심광물 4종(Li, Ni, Co, C)의 자원산업 동향 분석," 한국자원공학회지 59(2), pp.218-232
  4. 김영순, 2019, "제4차 산업혁명과 초연결사회 그리고 사물 인터넷 시대," 한국콘텐츠학회지 17(3), pp.14-19.
  5. 김철중.박준서, 2021, "22년 keyword는 해외 증설과 원가 혁신," 미래에셋증권 2022 Outlook Report.
  6. 김형규, 2022, "LG컨소시엄 '니켈 생산 1위 인도네시아 에 11조 투자체인,' 한경 2022.04.18.일자 기사.
  7. 김희철.홍성조, 2015, "신성장동력산업의 입지현황 및 집적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7(4), pp.65-88.
  8. 박준서, 2022, "배터리 장비 장비 없으면 배터리도 없다," 미래에셋증권 Industry Report, 2022.5.23.
  9. 산업통상부, 2022, 유럽 원자재법, CBAM등 EU통상정책 점검 보도자료, 2022.11.17.
  10. 손창우, 2020, "한중일 배터리 삼국지와 우리의 과제," IIT TRADE FOCUS 2020(31).
  11. 신유리, 2021, "전기차용 이차전지의 시장 트렌드 및 기술 개발 동향," 산은조사월보 2021(790), pp.34-53.
  12. 윤성혜.임진희.최자영, 2019, "도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및 법제연구," 한국법제연구원 기후변화 법제연구 19-16-2-01.
  13. 이건오, 2022, "배터리 주도권 전쟁, 인도네시아 격전지 부상," 인더스트리뉴스(http://www.industrynews.co.kr) (기사게재일 2022년 4월 20일).
  14. 이재호.김소은, 2022, "최근 인도네시아의 주요 광물 수출 중단조치의 배경과 시사점," KIEP 세계경제포커스 5(4).
  15. 이혁준.박종한.고준호, 2021, "자율주행 자동차 도입 수준에 따른 도시부 도로 탄소배출량 감소효과 추정," 한국ITS학회논문지 20(6), pp.162-176.
  16. 임지훈, 2022, "배터리 핵심 원자재 공급망 분석: 리튬," 한국무역협회 TRADE FOCUS 2022(21).
  17. 정예지.홍서희, 2022,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안 주요 내용 및 평가, 국제금융센터 Brief.
  18. 최자영, 2018, "대중국 한국 자동차 부품 해외직접투자 기업의 공간 전략과 생산 네트워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최자영, 2021, "중국 전기차 산업 공간의 전환기 특성 연구,"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4(4), pp.386-399. https://doi.org/10.23841/EGSK.2021.24.4.386
  20. SNE리서치, 2021, LIB 4대 부재 SCM 분석 및 시장 전망 (-2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