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in Spatial Distribu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태양광 발전의 분포 변화: 시군구 단위에서의 분석

  • Chung Sup Lee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Kang-Won Lee (Department of Geograph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ang-Hyun Chi (Departmen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Received : 2022.12.09
  • Accepted : 2022.12.27
  • Published : 2022.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distribution and its change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n the scale of municipality(Si-Gun-Gu). First the distribu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was analyzed in 2020, and second, from 2017 to 2021, we tracked the increase in capacit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n each Si-Gun-Gu.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and increase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were concentrated in some regions and the unequal distribu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has been identified through Gini coefficient.

이 연구의 목적은 전국 229개 시군구를 공간 단위로 설정하여 태양광 발전의 입지, 분포 그리고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첫째, 2020년 시군구별 발전량과 발전설비 용량을 통해서 태양광 발전의 분포를 분석했고, 둘째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시군구별 발전설비 증가량을 확인하여 시계열적 변화를 추적했다. 분석 결과, 발전량, 발전설비 용량 및 증가량 모두 몇몇 시군구에 집중되었는데, 그 정도는 상위 5개 시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12% 이상, 상위 10개 및 20개 시군구로는 각각 20%와 33% 이상이었고, 태양광 발전에 대한 지니 계수는 약 0.6이었다. 따라서 시군구 단위에서 태양광 발전의 불균등한 분포가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경.김성욱, 2016, "태양광 발전시설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5), pp.109-128.
  2. 김연중.김수석.채광석.서대석.박지연.송성환.추성민, 2018, 농촌 태양광 보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3. 박기일.조윤직, 2015, "한국 지방정부의 재생에너지 보급요인 분석: 신.재생에너지 지방보급사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49(1), pp.165-191.
  4. 박선아.윤순진, 2018, "장소애착 맥락으로 본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 갈등과 수용성," 환경사회학연구 ECO 22(2), pp.267-317.
  5. 박유민.김영호, 2012, "환경적.사회적 영향을 고려한 태양광발전소의 기존 입지 타당성 평가 및 지속가능한 입지 제안,"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5(3), pp. 437-455. https://doi.org/10.23841/EGSK.2012.15.3.437
  6. 배주은.김충호, 2021, "태양광 발전시설의 입지현황 및 유형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남도 거창군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의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22(4), pp.101-119.
  7. 이기림.이원희, 2015, "GIS와 계층분석법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소 입지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8(4), pp.1-13. https://doi.org/10.11108/KAGIS.2015.18.4.001
  8. 이기현.이건주.강성우, 2018, "태양광 에너지의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발전소 입지분석과 선정," 에너지경제연구 17(2), pp.58-57.
  9. 이동성.임재욱, 2019,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서울시를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20(4), pp.107-117. https://doi.org/10.23129/SEOULS.20.4.201912.107
  10. 이지영.강인준, 2010, "GSIS 기술을 활용한 태양광시설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지 18(2), pp.99-105.
  11. 장창석.김선경, 2017, "태양광 발전시설 입지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유형 연구: 서천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9(3), pp.113-133. https://doi.org/10.21026/JLGS.2017.29.3.113
  12. 진상현.황인창, 2011, "신.재생에너지 보급정책의 지역별.에너지별 성과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3(1), pp.15-32. 산업통상자원부, 2019,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