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the Online Learning Using Virtual Reality (VR) Geological Data: Focused on the Geo-Big Data Open Platform

가상현실(VR) 지질자료 개발을 통한 원격수업의 효과 분석: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3.22
  • Accepted : 2022.04.29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In this study, We developed VR (Virtual Reality) geological resources based on the Geo Big Data of the Big Data platform that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Material (KIGAM). So students selected the theme of lessons by using these resources and we operated Remote classes using the materials that developed as to Virtual Reality. Therefore, the geological theme maps provided by the Geo Big Data Open Platform were reconstructed and produced materials were created for Study about Real Korean geological outcrops grounded in Virtual Reality. And Topographic information data was used to produce class materials for Remote classes. Twenty students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including interviews to confirm the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 of remote classes in virtual reality geological data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the classes, so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ductive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in terms of interest, utilization, and knowledge utilization as taking remote classes for developing geological data in virtual reality geological data. This is the result of showing the adaptability of diverse and flexible learning getting away from a fixed framework by motivating and encouraging students and inducing cooperation for communication. Second, students recognized distance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Virtual Reality geological data as 'Realistic hands-on learning process', 'Immersive learning process by motivation', and 'Learning process of acquiring knowledge in the field of earth science'.

이 연구에서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 플랫폼의 지오빅데이터를 토대로 가상현실 지질자료를 개발하고 이 자료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직접 주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가상현실 자료를 개발하는 원격수업을 운영하였으며, 이에 대한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지오빅데이터에서 제공하는 지질 주제도는 실제 한국의 지질노두를 가상현실을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수업자료를 제작하였고, 지형정보 데이터는 원격수업을 위한 자료 제작을 위해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으로 무선표집에 의해 20명의 학생들을 선정하였고 가상현실 지질자료 개발의 원격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의 변화 및 수업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인터뷰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귀납적 범주화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상현실 지질자료 개발 원격수업에 대한 흥미도, 활용도 및 지식활용도에서 학생들은 긍정적인 수업반응을 나타내었다. 이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의사소통을 위한 협력을 유발하여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 다양하고 융통성 있는 학습의 적응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둘째, 가상현실 지질자료 개발의 원격수업에 대해 학생들은 '현실감 있는 체험 학습 과정', '동기유발에 의한 몰입감 있는 학습 과정', '지구과학 분야 지식 습득의 학습 과정'으로 인식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National University Development Project (2021).

References

  1. 권영옥(2013). 빅데이터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 서비스 활성화 방안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지, 19(2), 87-100.
  2.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소, 43(3), 271-283.
  3. 김정아, 김민규, 유혜진, 김용민, 김종훈(2019). 파이썬을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 교육이 초등학교 6 학년 학생의 컴퓨팅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3), 197-206.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3.197
  4. 김태현, 고장완(2019). 몰입형 가상현실 학습이 중학생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지, 25(1), 99-120.
  5. 김효정(2020). 가상현실 체험에 기초한 디자인 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자인학회지, 33(3), 177-188.
  6. 김희수(2014). 3D 파노라마 가상 현실 기술을 이용한 지질 답사 학습 자료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35(3), 180-191. https://doi.org/10.5467/JKESS.2014.35.3.180
  7. 남충모, 김종우(2018). 학습자에 따른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비교 연구. 한국정보교육학회지, 22(5), 585-592.
  8.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9. 박지수(2019). 사회과 학습자료로서 데이터 시각화기법의 효과 연구: 초등학교 3, 4학년을 대상으로. 사회과교육, 58(3), 57-73.
  10. 박현린, 손은남(2020).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한 매체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국내 동향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20(5), 725-741.
  11. 손미현(2020). 지식정보처리역량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과학탐구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유상미, 김형범, 김용기, 김흥태(2021).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1), 33-47. https://doi.org/10.15523/JKSESE.2021.14.1.33
  13. 윤마병(2019). 3D 파노라마 가상현실 만들기를 통한 학성리 맨삽지 야외학습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현장과학교육, 13(3), 339-358. https://doi.org/10.15737/SSJ.13.3.201908.339
  14. 이경순, 한정선(2001). 교수-학습 과정에서 가상현실의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17(3), 133-163.
  15. 최섭, 김희백(2020). 가상현실 특성을 반영한 VR 프로그램 기반 수업 적용 및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2), 203-216. https://doi.org/10.14697/JKASE.2020.40.2.203
  16. 한도윤(2018). 초등학교 지층관련 학습을 위한 가상현실 자료 개발. 석사학위논문, 23-50.
  17. 한신, 김형범, 김용기, 송하명(2020). 비유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중학교 '태양계' 단원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1), 15-28.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1.15
  18. 홍석영, 한신, 김형범(2020). 데이터 기반 STEAM 교육을 통한 문제 해결 과정 분석_대기대순환과 표층 해류 내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3), 330-343.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3.330
  19. Ault, C. R. (1998). Criteria of excellence for geological inquiry: The necessity of ambiguit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89-212.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802)35:2@@<@@189::aid-tea8@@>@@3.0.co;2-o
  20. Fouh, E., Akbar, M., & Shaffer, C. A. (2012). The role of visualization in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puters in the Schools, 29, 95-117. https://doi.org/10.1080/07380569.2012.651422
  21. Hsieh, Y. J., & Cifuentes, L. (2006). Student-generated visualization as a study strategy for science concept learning. Educational Technology and Society, 9(3), 137-148.
  22. Jeong, Y., Kim, H., & Lee, C. (2021). Effects of science journaling on elementary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Korea. Sustainability, 13(17), 9691. https://doi.org/10.3390/su13179691
  23. Krueger, M. W. (1991). Artificial reality (2nd ed.). Reading, MA: Addison-Wesley.
  24. Laudan, R. (1987). From mineralogy to geology: The foundations of a science, 1650-1830.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Lincoln, Y. S., & Guba, E. G. (2000). Paradigmatic controversies, contradictions, and emerging confluences. In N. K. Denzin, & Y. S. Lincoln (Eds.), Handbook of qualitative research (2nd ed., pp. 163-188). Thousand Oaks, CA: Sage.
  26. McLellan, H. (1994). Virtual reality and multiple intelligences: Potentials for higher education. Computing in Higher Education, 5(2), 33-66. https://doi.org/10.1007/BF02948570
  27. Michael, H. (1997). 가상현실의 철학적 의미. 서울: 책세상.
  28. Orion, N. (1993). A modelfor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 trips as an integral part of the science curriculum.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93(6), 325-331.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3.tb12254.x
  29. Orion, N., & Hofstein, A. (1994). Factorsthat influence learning during a scientific field trip in a natural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10), 1097-1119. https://doi.org/10.1002/tea.3660311005
  30. Pantelidis, V. S. (1993). Virtual reality in the classroom. Educational Technology, 33(2), 2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