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xperiential STEAM Program Based on Visual Impairment Using 3D Printer: Focusing on 'Sun' Concept

3D프린터 활용 체험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 '태양' 개념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3.29
  • Accepted : 2022.04.28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In this study, experiential STEAM program using 3D printer was produced focusing on the content elements of 'solar'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TEAM program, analyzed creative problem solving, STEAM attitude, and STEAM satisfaction by applying it to two middle school 77 students simple random samp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solar tactile model was produced using a 3D printer, and a program was developed to enable students to actively learn experience-oriented activities through visual impairment experiences. Second, in the response sample t-test by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score of STEAM attitude tests,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s were shown in 'interest', 'consideration',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choice' sub-factors except 'consideration' and 'usefulness / value recognition' sub-factors (p<.05). Third,, the STEAM satisfaction test conducte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3D printer-based STEAM program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 range of sub-factors were 3.66~3.97, which improv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science subjects through the 3D printer-based STEAM program.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태양'에 관한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3D 프린터를 활용한 체험형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 Mathematics)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무선 표집된 2개의 중학교 77명의 학생들에게 이를 적용하여 창의적 문제해결력, STEAM 태도 및 수업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D프린터를 활용하여 태양촉각모델을 제작하고 시각장애 체험을 통해 학생들이 체험 위주의 적극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STEAM 태도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표본 t 검정에서는 '소통', '유용성·가치 인식' 구인을 제외한 '흥미', '배려', '자아 개념', '자아 효능감', '이공계 진로선택' 구인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p< .05)를 얻었다. 셋째, 3D프린터 활용 시각장애 중심의 체험형 STEAM 프로그램 적용 후에 실시한 만족도 검사에서는 하위구인들의 평균값의 범위가 3.66 ~ 3.97로, 전반적으로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부현(2018). STEAM 융합수업이 과학에 대한 태도 및 개념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부 보도자료(2016. 12. 23). 지능정보사회에 대응한 중장기 교육정책의 방향과 전략(試案). 세종: 교육부.
  3. 김범기, 이항로, 김기정(1996). 천문 개념 성취도와 공간능력과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15(2), 315-325.
  4. 김학범, 황의욱, 임영진, 황혜진, 차정호(2019). 시각장애를 주제로 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8(2), 139-161.
  5. 김희규(2004). 장애이해교육이 초등학교 일반아동의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개선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11(2), 47-68.
  6. 명전옥(2001). 예비 교사들이 지구과학 문제 해결 실패요인: 달과 행성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2(5), 339-349.
  7. 문영호(2000). 일반아동의 장애체험이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미래창조과학부(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대책.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9. 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장자원부(2014). 3D프린팅 전략기술 로드맵. 세종: 미래창조과학부.
  10. 박송이(2015). 천문학 주제의 융합인재교육(STEAM)이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아진(2013). 장애이해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교 비장애학생의 장애수용태도, 공감, 이타행동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웅서(2016). 3D 프린터를 활용한 입체기하 학습이 학생들의 공간시각화 능력과 정의적 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Stella와 K3DSurf, 3D 퍼즐 램프를 활용한 수학의 심미성(審美性)경험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배성희, 김형범(2016). 중등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천문 수업에 미치는 영향: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논문지, 16(3), 607-616.
  14.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한혜숙 (2011).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5. 손준호, 김종희, 김영곤(2014). 천문 STEAM 프로그램에서 코티칭의 활용이 초등과학 영재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35(7), 572-584. https://doi.org/10.5467/JKESS.2014.35.7.572
  16. 신은수(2018). 3D프린터를 활용한 융합교육프로그램 개발. 융합교육연구, 4(1), 39-51.
  17. 우종옥, 이항로, 민준규(1995). 계통도를 이용한 중.고등학생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유형 연구.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5(1), 233-247.
  18. 이영찬(2015). 3D 도면 제작 프로그램 및 3D 프린터를 활용한 발명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청환, 정진우(1993). 국민학교 자연과 천문분야 내용분석과 문제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2), 247-256.
  20. 정지현(2020). 3D 프린터 활용 유아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유용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융합정보논문지, 10(6), 119-127. https://doi.org/10.22156/CS4SMB.2020.10.06.119
  21. 정현도, 이효녕(2017).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적합한 과학탐구 중심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과학교육연구지, 41(3), 334-350. https://doi.org/10.21796/jse.2017.41.3.334
  22. 최경철(2016). 3D프린터 활용 교육프로그램의 설계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최형신, 유미리(2015). 3D 프린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창의적 디자인 모델 기반 수업.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9(2), 167-174. https://doi.org/10.14352/jkaie.2015.19.2.167
  24. 한신, 김형범, 이창환(2020).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3(2), 162-174. https://doi.org/10.15523/JKSESE.2020.13.2.162
  25. Csikszentmihalyi, M., & Wolfe, R. (2000). New conceptions and research approaches to creativity: Implications of a systems perspective for creativity in education. In K. Heller, F. Monks, R. Sternberg, & R. Subotnik (Eds.), International handbook for research on giftedness and talent (pp. 81-93). Oxford: Pergamon.
  26. Jeong, S., & Kim, H. (2015). The effect of a climate change monitoring program on students' knowledge and perceptions of STEAM education in Korea.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1(6), 1321-1338.
  27. Miller, A., & Dumford, A. (2014). Creative cognitive processes in higher education. J. Creat. Behav., 50(4), 282-293. https://doi.org/10.1002/jocb.77
  28. Paivio, A. (1971). Imagery and verbal processe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29. Scott, W. (1995). Reliability of content analysis: The case of nominal scale coding. Public Opinion Quarterly, 19, 315-325.
  30. Yakman, G. (2007). STEA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Intellectual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