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heoretical study on the irony of alienation of local people by historical local identity

역사적 지역 정체성의 지역민 소외 아이러니에 관한 이론적 고찰

  • 이동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 설혜림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 이지훈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 김영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 문화재수리기술학과 건축조경도시전공)
  • Received : 2021.12.27
  • Accepted : 2022.03.05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various conflict situations and unexpressed pathological potential in historical regions. In this regard, the issue of alienation of local people due to local identity was raised and the cause was investigated. It explains the structural origins of local alienation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objectifying a region and forming its identity. The process of alienation of local residents of local identity identified in this paper was divided and explained in three stages: objectification of the region, symbolization of local identity, and religious materialism of local identity. In addition, in the process, the incorporation of the production mode of intellectual work, the separation of producers, and the loss of the subject-centered control ability over these products were pointed out as problematic situations. The study sugges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region and to restore the control of the local people through narrative in relation to this problematic situation. Thus, this thesis asserts that we need to have doubts about the justification for the public good and the basis of the resulting consensus, and that we should be constantly interested in the pathological signs of society around us.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NRF-2021R1I1A4A01056401).

References

  1. 이수정, 「문화재 보존윤리」, 2017
  2. 카를 마르크스, 「1844년 경제학 - 철학 수고」, 2006
  3. 앙리 르페브르, 「이론」, 1992
  4. 박소영, 「앙리 르페브르:도시의 일상」, 2008
  5.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2014
  6. 박정자, 「시뮬라르크의 시대」, 2019
  7. 장 보드리야르, 「소비의 사회:그 신화와 구조」, 2015
  8. 에리히 프롬, 「건전한 사회」, 1999
  9. E. Relph, 「Place and Placelessness」(London : Pion Ltd), 1976
  10. 오장근, 「도시 인식론」, 2018
  11. 에드워드 렐프, 「장소와 장소상실」, 2005
  12. 위르겐 하버마스,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1994
  13. 앙리 르페브르, 「공간의 생산」, 2011
  14.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2015
  15. 장 보드리야르, 「기호의 정치경제학 비판」, 1992
  16. 강현석, 「인문.사회과학의 새로운 연구방법론」, 2016
  17. 신혜정, 「도시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지역자산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18. 김규원 등, 「대구의 정체성 정립 및 도시브랜드 가치 제고 방안」, 대구경북연구원, 2010
  19. 김현석, 변은영, 윤정인, 「서울색과 도시 정체성에 관한 연구」, 디자인학연구, 2012
  20. 황기원, 「도시의 정체성과 쾌적성」, 지방화시대의 도시정체성회복과 조경의 과제를 위한 세미나, 한국조경학회, 1995
  21. 계기석, 천현숙, 「지방화 시대의 도시 정체성 확립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01
  22. 김동명, 김종인, 「건축공간 구성에 나타난 '공간속의 공간' 개념의 양상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1998
  23. 김한배, 「한국 도시경관의 변천 특성에 관한 연구-경관과 그 정체성을 중심으로」, 1994,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이경현, 「완도군 보길도의 지역정체성 형성과정과 특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2
  25. 조일환, 「지역이미지, 리얼리티 그리고 지역정체성의 혼란」, 한국지역지리학회, 2013
  26. 마르셀로 무스토, 「마르크스 소외 개념에 대한 재논의」,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1
  27. 박홍원, 「인간 소외와 커뮤니케이션: 마르크스 소외이론의 현재적 함의」,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