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민간기록관리의 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 방향성 연구

An Study on New Direction of Archival Management Policy in Civil-Sector

  •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전북대학교 문화융복합 아카이빙연구소)
  • 투고 : 2022.03.30
  • 심사 : 2022.04.13
  • 발행 : 2022.04.30

초록

민간에서 시민이 자신의 기록을 수집하거나 아카이빙하고 이를 활용하도록 하는 것은 시민사회에서 시민이 누려야 하는 정당한 권리며, 국가는 이러한 시민의 기록활동을 적절히 지원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가기록관리 체계는 민간기록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공적 지원 체계를 가지고 있지 못하고 지원 대상에서 민간기록을 배제하고 있다. 민간 기록은 한번 소실되거나 훼손될 경우, 복원이나 회복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국가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것은 분명하다. 본 연구는 민간기록에 대한 제도적 지원의 필요성을 논하고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크게 두 가지, 시민기록문화의 활성화와 진흥을 위한 안정적 지원, 그리고 민간기록의 안정적 관리 보존을 위한 지역 내 민간기록수집 및 보존을 위한 조직과 물리적 공간의 지원이라고 파악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구체적으로 민간기록관리의 개념적 범주와 현황, 그리고 민간기록관리 정책 수립 시 고려가 필요한 민간기록관리의 특징에 대해 살펴보았다.

Collecting, archiving, and using civil records in the private sector is recognized as part of the legitimate rights that citizens should have in civil society. However, the national records management system does not have a balance between private records management and public records management, and private records are excluded from appropriate government support. Considering that civilian records cannot be restored or restored once lost or damaged, it is clear that national att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This study discusses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for private records and has two main directions for support policies: sustainable support for the revitalization and promotion of civic records culture, and within the region for the sustainable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private records. It was identified that a stable organization and physical space support were needed for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private records. And to put it into practice, the conceptual categories and current status of private records management, and the characteristics of private records management that need to be considered when establishing a private records management policy were examined.

키워드

과제정보

본 논문은 2019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9S1A5B8099507). 이 논문은 2022년도 전북대학교 연구기반 조성비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참고문헌

  1. 국가기록원 (2021). 「민간분야 기록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완료보고서」. 전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전: 국가기록원
  2. 김세경 (2007). 우리나라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규의 변천. 한국기록학회지, 7(1), 5-38.
  3. 김익한 (2010). 마을 아카이빙 시론, 기록학연구, 26, 151-172. https://doi.org/10.20923/kjas.2010.26.151
  4. 김지현 (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https://doi.org/10.14404/JKSARM.2014.14.3.105
  5. 김영선, 오효정, 이정은 (2021). 시민참여형 공모전을 활용한 민간기록물 수집 활성화 방안 : 전주 시민기록관의 기록물 수집공모전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1(3), 37-60. https://doi.org/10.14404/JKSARM.2021.21.3.037
  6. 배양희, 김유승 (2017). 민간디지털 아카이브 수집정책 연구, 기록학연구, 53, 120-159.
  7. 손동유 (2019). 민간분야 공동체 아카이빙의 성과와 과제, 실천민속학연구, 34, 39-63.
  8. 주현미 (2020). 노회찬 아카이브 기초연구, 기록학연구, 68, 244-279.
  9. 윤은하 (2021). 민간기록관리와 아카이브 : 지방기록물관리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기록학연구, 69, 35-62.
  10. 이경래, 이광석 (2013). 영국 공동체 아카이브 운동의 전개와 실천적 함의, 기록학연구, 37, 4-39.
  11. 이경래 (2013). 북미지역 공동체 아카이브의 거버넌스 논의와 비판적 독해, 기록학연구, 37, 226-264.
  12. 이연창 (2021). 관계형 아카이브 환경모형, 기록학연구, 69, 63-91.
  13. 이해준 (2001). 지역기록물 관리기관의 설립과 운영방안, 역사와 담론, 30, 177-200.
  14. 임신영, 이혜원 (2021). 민간분야 기록관리 관련 현황 및 시사점: 기록관리이슈페이퍼 vol.30, 19-41.
  15. Fisher, R. (2009). In search of a theory of private archives: The foundational writings of Jenkinson and Schellenberg revisited. Archivaria, 67, 1-24. 재인용: 김지현(2014). 미국, 캐나다, 호주 주립기록관의 민간기록물 수집정책 분석, 한국기록관리학회지. 14(3), 105-126.
  16. Caswell, Micheal. (2014). Defining human rights archives: introduction to the special double issue on archives and human rights, Archival Science vol. 14, 207-213. https://doi.org/10.1007/s10502-014-9226-0
  17. Gilliland, A., & McKemmish, S. (2014). The role of participatory archives in furthering human rights, reconciliation and recovery. Atlanti: Review for Modern Archival Theory and Practice, 78-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