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효정, 오새내, 조명실, "코로나19로 인한 전면 원격수업 시기의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분노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pp.299-308, 2020.
- B. H. Munro,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Path analysis of a national sampl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18, No.2, pp.133-141, 1981. https://doi.org/10.3102/00028312018002133
- 주영주, 김지연, 최혜리,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01-124, 2009.
-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537-565, 2016.
-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그릿과 자율성, 마인드셋 그리고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12호, pp.45-69, 2017.
-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pp.1087-1101,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 박준수, 귀인피드백이 마인드셋(mindset), 그릿(grit), 자기조절력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 T. L. Strayhorn, "What role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 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18, No.1, pp.1-10, 2014. https://doi.org/10.1007/s12111-012-9243-0
- S. N. Slick and C. S. Lee,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8, pp.61-6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8.61
-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4호, pp.109-129, 2016.
- 이상섭, 조홍식, "체육수업에 대한 교과 흥미도가 학생들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1호, pp.855-867, 2015.
- A. B. Bakker and E. Demerouti,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2, No.3, pp.309-328, 2007.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 유선욱, 박혜영, "대학-학생 공중 관계, 대학생의 학업 열의,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73-200, 2016. https://doi.org/10.15814/JPR.2016.20.3.173
- E. Breso, W. B. Schaufeli, and M. Salanova, "Can a self-efficacy-based intervention decrease burnout, increase engagement, and enhance performance? A quasi-experimental study," Higher Education, Vol.61, No.4, pp.339-355, 2011. https://doi.org/10.1007/s10734-010-9334-6
- 김갑순, 박윤조, "코로나 19에 의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644-65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644
- 박경원,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175-18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175
- 이정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수업평가 학습요인 비교 사례연구," 인문사회 21, 제12권, 제1호, pp.143-156, 2021.
- 김현진, "코로나 19 상황 속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 실태와 개선방안: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350-358,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6.350
- 표정민, "대학생의 그릿(Grit)이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제17권, 제1호, pp.25-46, 2018.
-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169-192, 2017.
- 홍세정,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 마인드셋 및 그릿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 조주연, 김명소,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 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 권, 제4호, pp.477-497, 2013.
-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https://doi.org/10.1002/job.248
-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1990. https://doi.org/10.2307/256287
-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and A. B. Bakker,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3, No.1, pp.71-92, 200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 C. Maslach, S. E. Jackson, and M. P. Leiter,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recrow Education, 1997.
- V. Gonzalez-Roma, W. B. Schaufeli, A. B. Bakker, and S. Lloret,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dependent factors or opposite pol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8, No.1, pp.165-174, 2006. https://doi.org/10.1016/j.jvb.2005.01.003
- 이자영, 이상민,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1호, pp.131-147, 20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1.131
- M. M. Handelsman, W. L. Briggs, N. Sullivan, and A. Towler,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8, No.3, pp.184-192, 2005. https://doi.org/10.3200/JOER.98.3.184-192
- T. Muller, "Persistence of women in online degree-completion program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9, No.2, pp.1-18, 2008. https://doi.org/10.19173/irrodl.v9i2.455
- 박혜진,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은주희, 임규연,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제25권, 제2호, pp.479-499, 2013.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2.479
- 주영주, 심우진, 김지연, 김가연, "사이버대학에서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51-175, 2009.
- 이숙원, "대학평생교육 참여지속 과정에 따른 학습자와 교육기관 요인의 영향력 비교," 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1호, pp.117-147, 2003.
- 황매향, 하혜숙, 김명섭,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제16권, 제3호, pp.301-319, 2017.
- 임효진, "그릿 개념의 재정립: 목적, 열정, 인내의 재검토," 교육심리연구, 제33권, 제3호, pp.317-339, 2019.
- 임효진, 이소라,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 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한국초등교육, 제31권, 제1호, pp.109-127, 2020. https://doi.org/10.20972/KJEE.31.1.202003.109
- 정혜원, 김예림, 박소영, "초.중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pp.673-693, 2020.
- 김영갑, 전혜진,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소진, 학과환경특성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A 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5권, 제2호, pp.77-95, 2012.
- 유지원, 송윤희,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3권, pp.91-112, 2013.
- Z. Ivcevic and M. Brackett, "Predicting school success: Comparing conscientiousness, gri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52, pp.29-36, 2014. https://doi.org/10.1016/j.jrp.2014.06.005
- 임효진, 하혜숙,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 (Grit) 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1호, pp.59-81, 2017. https://doi.org/10.17286/KJEP.2017.31.1.03
- 송윤희,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자의 과제가치, 학업소진,학습만족도 및 학업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평생학습사회, 제9권, 제3호, pp.171-187, 2013.
- A. L. Duckworth and P. D. Quin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2, pp.166-174, 2009.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제11권, 제3호, pp.145-166, 2015.
- Y. C. He, Self-determination among Adult Chinese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America, 2009.
- 송윤희,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109-128, 2015.
- 두민영, 권희림, 문은경,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9권, 제1호, pp.185-210, 2017.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1.185
- 김지심, 강명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6, 2010. https://doi.org/10.15753/AJE.2010.11.2.002
-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011.
-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