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GRIT of a Student Majoring in Landscaping during Online Learning on Their Learning Persist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n Academic Engagement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전공자의 그릿이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학업열의에 대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최재현 ((주)랜드스케이프어바니즘)
  • Received : 2022.01.20
  • Accepted : 2022.02.09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GRIT of the students who major in landscaping upon their will to continue online learn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he academic engagement in this proces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surveyed the landscape major students in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from November 25, 2021, to December 9, 2021.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from 296 participants showed that the GRIT of the landscaping major students during online learning in their universities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academic engagement and learning persistence. Also, academic engagemen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impact on learning persistence.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of the landscaping major students in online learning and their learning persistence, academic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GRIT and the academic engagement of a student were important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ing persistence during online learning for landscaping major students. Due to the nature of landscaping departments, where practical classes are important because the subject itself is a practice-oriented one and the subject covers a variety of areas, it i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that the internal factors of students, as well as the external factors of the university, need positive improvement to reinforce the academic engagement during online learning.

본 연구는 조경학과 전공 대학생의 그릿이 온라인 수업의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학습열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서울·경지지역 소재 대학교의 조경학과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5일부터 2021년 12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96명의 응답을 분석한 결과,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전공자의 그릿은 학업열의와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업열의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전공자의 그릿과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서 학업열의는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조경학과 전공자의 대학 온라인 수업에서 학습지속의향을 높이기 위해 전공자의 그릿과 학습열의가 중요함을 규명하였다. 또한 실용적인 학문이며 교육과목에서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어 실습수업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조경학과의 특성 상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열의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학생 개인의 내적인 요인과 학교 차원에서의 외적인 요인 모두를 긍정적으로 개선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효정, 오새내, 조명실, "코로나19로 인한 전면 원격수업 시기의 대학 신입생의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분노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교양교육연구, 제14권, 제6호, pp.299-308, 2020.
  2. B. H. Munro, "Dropouts from higher education: Path analysis of a national sampl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18, No.2, pp.133-141, 1981. https://doi.org/10.3102/00028312018002133
  3. 주영주, 김지연, 최혜리, "기업 사이버교육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몰입,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4호, pp.101-124, 2009.
  4.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학업지속의향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3권, 제12호, pp.537-565, 2016.
  5. 조남근, 권정희, 정미예, "대학생의 그릿과 자율성, 마인드셋 그리고 학업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청소년학연구, 제24권, 제12호, pp.45-69, 2017.
  6.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and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pp.1087-1101, 2007.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7. 박준수, 귀인피드백이 마인드셋(mindset), 그릿(grit), 자기조절력에 따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7.
  8. T. L. Strayhorn, "What role does grit play in the academic success of black male collegians at predominantly White institutions?,"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18, No.1, pp.1-10, 2014. https://doi.org/10.1007/s12111-012-9243-0
  9. S. N. Slick and C. S. Lee, "The relative levels of gri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otential dropping-out and university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2, No.8, pp.61-66,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8.61
  10. 강명희, 윤성혜, 김도희, 류다현, "자연과학계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그릿(Grit),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 간의 관계분석," 직업교육연구, 제35권, 제4호, pp.109-129, 2016.
  11. 이상섭, 조홍식, "체육수업에 대한 교과 흥미도가 학생들의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1호, pp.855-867, 2015.
  12. A. B. Bakker and E. Demerouti,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State of the art," Journal of managerial psychology, Vol.22, No.3, pp.309-328, 2007. https://doi.org/10.1108/02683940710733115
  13. 유선욱, 박혜영, "대학-학생 공중 관계, 대학생의 학업 열의, 학업 성취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20권, 제3호, pp.173-200, 2016. https://doi.org/10.15814/JPR.2016.20.3.173
  14. E. Breso, W. B. Schaufeli, and M. Salanova, "Can a self-efficacy-based intervention decrease burnout, increase engagement, and enhance performance? A quasi-experimental study," Higher Education, Vol.61, No.4, pp.339-355, 2011. https://doi.org/10.1007/s10734-010-9334-6
  15. 김갑순, 박윤조, "코로나 19에 의한 대학생들의 스트레스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9호, pp.644-65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9.644
  16. 박경원, "비대면 수업에서 대학생이 인지하는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12호, pp.175-181,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12.175
  17. 이정오, "대면수업과 비대면수업의 수업평가 학습요인 비교 사례연구," 인문사회 21, 제12권, 제1호, pp.143-156, 2021.
  18. 김현진, "코로나 19 상황 속 발달 장애 학생의 온라인 학습 실태와 개선방안: 충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1권, 제6호, pp.350-358, 2021. https://doi.org/10.5392/JKCA.2021.21.06.350
  19. 표정민, "대학생의 그릿(Grit)이 삶의 만족도와 학문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제17권, 제1호, pp.25-46, 2018.
  20. 임효진, "그릿(Grit)의 요인구조와 타당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제18권, 제2호, pp.169-192, 2017.
  21. 홍세정, 영재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완벽주의, 마인드셋 및 그릿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20.
  22. 조주연, 김명소, "초등학생의 학업소진 및 학업열의 에 관한 남녀 차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18 권, 제4호, pp.477-497, 2013.
  23. W. B. Schaufeli and A. B. Bakker,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and Behavior, Vol.25, No.3, pp.293-315, 2004. https://doi.org/10.1002/job.248
  24. W. A. Kahn, "Psychological conditions of personal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3, No.4, pp.692-724, 1990. https://doi.org/10.2307/256287
  25. W. B. Schaufeli, M. Salanova, V. Gonzalez-Roma, and A. B. Bakker, "The measurement of engagement and burnout: A two sample confirmatory factor analytic approach,"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3, No.1, pp.71-92, 2002. https://doi.org/10.1023/A:1015630930326
  26. C. Maslach, S. E. Jackson, and M. P. Leiter,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recrow Education, 1997.
  27. V. Gonzalez-Roma, W. B. Schaufeli, A. B. Bakker, and S. Lloret, "Burnout and work engagement: Independent factors or opposite pol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68, No.1, pp.165-174, 2006. https://doi.org/10.1016/j.jvb.2005.01.003
  28. 이자영, 이상민, "한국형학업열의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제24권, 제1호, pp.131-147, 2012. https://doi.org/10.17927/TKJEMS.2012.24.1.131
  29. M. M. Handelsman, W. L. Briggs, N. Sullivan, and A. Towler,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98, No.3, pp.184-192, 2005. https://doi.org/10.3200/JOER.98.3.184-192
  30. T. Muller, "Persistence of women in online degree-completion programs,"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Vol.9, No.2, pp.1-18, 2008. https://doi.org/10.19173/irrodl.v9i2.455
  31. 박혜진, SNS 활용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2. 은주희, 임규연, "평생교육프로그램에서 참여동기, 교수실재감, 학습성과 간의 관계," 교육방법연구, 제25권, 제2호, pp.479-499, 2013. https://doi.org/10.17927/TKJEMS.2013.25.2.479
  33. 주영주, 심우진, 김지연, 김가연, "사이버대학에서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측정 도구 개발 및 양호도 검증," 교육공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51-175, 2009.
  34. 이숙원, "대학평생교육 참여지속 과정에 따른 학습자와 교육기관 요인의 영향력 비교," 평생교육학연구, 제9권, 제1호, pp.117-147, 2003.
  35. 황매향, 하혜숙, 김명섭, "초등학생의 그릿(Grit)과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 초등상담연구, 제16권, 제3호, pp.301-319, 2017.
  36. 임효진, "그릿 개념의 재정립: 목적, 열정, 인내의 재검토," 교육심리연구, 제33권, 제3호, pp.317-339, 2019.
  37. 임효진, 이소라, "그릿(Grit)을 매개로 학업열의를 예측하는 부모, 교사, 교우 변인: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비교," 한국초등교육, 제31권, 제1호, pp.109-127, 2020. https://doi.org/10.20972/KJEE.31.1.202003.109
  38. 정혜원, 김예림, 박소영, "초.중학생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0권, pp.673-693, 2020.
  39. 김영갑, 전혜진,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소진, 학과환경특성이 학교생활만족도와 학업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 A 사이버대학교 호텔관광외식경영학과를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5권, 제2호, pp.77-95, 2012.
  40. 유지원, 송윤희,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참여 및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과제가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3권, pp.91-112, 2013.
  41. Z. Ivcevic and M. Brackett, "Predicting school success: Comparing conscientiousness, grit,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Vol.52, pp.29-36, 2014. https://doi.org/10.1016/j.jrp.2014.06.005
  42. 임효진, 하혜숙, "원격대학 여성 성인학습자들의 끈기 (Grit) 와 목표인식, 학업-가정갈등 및 사회적 지지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제31권, 제1호, pp.59-81, 2017. https://doi.org/10.17286/KJEP.2017.31.1.03
  43. 송윤희,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자의 과제가치, 학업소진,학습만족도 및 학업지속의향의 구조적 관계," 평생학습사회, 제9권, 제3호, pp.171-187, 2013.
  44. A. L. Duckworth and P. D. Quin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2, pp.166-174, 2009.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45. 하혜숙, 임효진, 황매향, "끈기와 자기통제 집단수준에 따른 성격요인의 예측력 및 학교 부적응과 학업성취의 관계," 평생학습사회, 제11권, 제3호, pp.145-166, 2015.
  46. Y. C. He, Self-determination among Adult Chinese English Language Learners: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Autonomy Support, Intrinsic Motivation, and Engage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America, 2009.
  47. 송윤희, "대학생의 감사성향과 학업열의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5권, 제4호, pp.109-128, 2015.
  48. 두민영, 권희림, 문은경,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실재감이 학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 분석," 교육방법연구, 제29권, 제1호, pp.185-210, 2017. https://doi.org/10.17927/TKJEMS.2017.29.1.185
  49. 김지심, 강명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6, 2010. https://doi.org/10.15753/AJE.2010.11.2.002
  50. 배병렬,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011.
  51.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2,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