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the Promotion of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in School Media with Focus on the Operation of the Facebook Page of a Graduate School Newspaper

학내 언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에 관한 분석-A대 대학원 신문의 페이스북 페이지 운영실태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중심으로-

  • 안혜진 (중앙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
  • 이승하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 Received : 2022.01.14
  • Accepted : 2022.02.15
  • Published : 2022.04.28

Abstract

Although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has led to a swift increase in the number of companies using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it will not be accurate to say that they have fully "utilized" the functionality of SNS simply by "using" thes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ing digital technology and help SNS users in extending the functionality of these services beyond their regular use and thus, revitalize the field by increasing the service providers' efficiency. In this study, the Facebook usage status of a graduate school newspaper from an undisclosed university in Seoul was analyzed from February to December, 2021 using the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subject and type of content to ensure a continuous supply of quality content; Second,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user categories and characteristics by utilizing SNS functionalities such as, the target reports and insights, and based on this, supply content that meets the needs of the users; Third, to resolve the problem of low levels of user participation and an inactive Facebook account, it is necessary to mobilize new marketing tools like online ev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ronts the real problems faced by some companies that cannot keep pace with market changes in a digital environment, identifies failure factors, and proposes solutions to them.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SNS를 활용하는 기업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나 SNS를 단순히 '사용'하는 것만으로 그 기능을 '활용'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을 넘어 디지털 기술과 SNS 기능을 온전히 활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공급자의 효율을 높여 현장을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목적 아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2021년 2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A대학 대학원 신문사의 페이스북 이용실태를 참여관찰법을 통하여 분석 및 고찰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질의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콘텐츠의 주제와 유형을 다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타겟보고서나 인사이트 등 SNS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범주와 특성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니즈에 맞는 콘텐츠를 공급해야 한다. 셋째, 저조한 사용자 참여와 페이스북 비활성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라인 이벤트 등의 촉진전략을 새로이 개최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시장의 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는 일부 기업의 현실적 문제를 직시하고, 그 실패 요인과 이를 타진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를 둔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753590&cid=40942&categoryId=31630
  2. 설원태, 김성해, "정체성 위기의 국내 대학신문 : 미국대학신문과 공동체저널리즘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3호, pp.211-250, 2009.
  3. 홍광희, "The Educational Role and Direction of University Paper," 경영교육연구, 제32권, pp.73-90, 2003.
  4. 이상복, "대학신문 문예(화)면의 기능과 활용 방안 -원대신문을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19-238, 2013.
  5. 최기숙, "특집논문 : 제도로서의 "매체" ; 1950년대 대학생의 인문적 소양과 교양 "지(知)"의 형성 -1953~1960년간 <연희춘추/연세춘추>를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42호, pp.123-167, 2010.
  6. 이시내, 이경렬, "SNS 이용자들의 온라인 구전(eWOM)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개인적 특성, SNS 특성, 대인적 영향, 사회적자본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5권, 제4호, pp.273-315, 2013.
  7. 김현정, 표희선, 한미정, "파워블로그 포스트의 광고효과 및 구전 효과에 관한 분석: 제품 후기 및 리뷰 포스트의 광고 정보원으로써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3권, 제4호, pp.315-362, 2011.
  8. http://www.newsprime.co.kr/news/article/?no=528753
  9. 이한석, "SNS 디지털 환경의 특성이 문화콘텐츠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정보적 참여, 감정적 애착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336-345,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336
  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348348&cid=40942&categoryId=32854
  11. 박종철, 전수정, 이한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활동이 소비자의 지식창출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경영학회지, 제12권, 제4호, pp.201-226, 2011. https://doi.org/10.15706/JKSMS.2011.12.4.010010
  12. 김영리, 윤지환, "중저가 호텔예약사이트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메시지 유형에 따른 고객 상호작용 경험 이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텔경영학연구, 제24권, 제5호, pp.175-189, 2015.
  13. 이성준, "SNS 광고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과 관여도의 역할에 대한 고찰: 페이스북 뉴스피드 광고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9호, pp.188-202, 2014. https://doi.org/10.5392/JKCA.2014.14.09.188
  14. 한규훈, "SNS 광고효과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페이스북 이용자 분석을 토대로," 홍보학연구, 제16권, 제3호, pp.132-168, 2012. https://doi.org/10.15814/JPR.2012.16.3.132
  15. A. Otero, C. Moreno, and S. Mallon, "How to increase revenue generation by maximizing the (customer) experience of the digital learner?," Proceedings of EDULEARN17 Conference, pp.9254-9264, 2017.
  16. S. Parise, P. J. Guinan, and R. Kafka, "Solving the crisis of immediacy: How digital technology can transform the customer experience," Business Horizons, Vol.59, No.4, pp.411-420, 2016. https://doi.org/10.1016/j.bushor.2016.03.004
  17. R. N. Bolton, J. R. McColl-Kennedy, L. Cheung, A. Gallan, C. Orsingher, L. Witell, and M. Zaki, "Customer experience challenges: bringing together digital, physical and social realms,"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Vol.29, No.5, pp.776-808, 2018. https://doi.org/10.1108/JOSM-04-2018-0113
  18. 김수정, 박철, "챗봇 서비스품질이 고객경험과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제23권, 제1호, pp.119-142, 2021.
  19. 김태선, "감정이입 디자인 관점에서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활용한 전통시장 고객의 경험연구-대구 동구시장의 고객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제19권, 제1호, pp.483-495, 2013.
  20. 강성권, 유은, 정재민, "가전제품 구매의 디지털 고객경험: 온라인 구매 여정 프로세스 분석," 한국경영정보학회, 제21권, 제1호, pp.61-90, 2019.
  21. A. R. Rodie and S. S. Kleine, "Customer Participation in Services Production and Delivery," in Handbook of Services Marketing & Management, SAGE Publications, Inc, 2000.
  22. J. L. H. Bowden, "The Process of Customer Engagement: A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Vol.17, No.1, pp.63-74, 2009. https://doi.org/10.2753/MTP1069-6679170105
  23. 주재훈, 신민석, "고객참여와 심리적 주인의식의 관계에서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 생태계 유형의 조절효과: 카카오와 페이스북 생태계의 비교," 정보시스템연구, 제25권, 제1호, pp.75-104, 2016.
  24. 김주향, 유은이, "고객참여가 서비스품질 및 관계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제28권, 제1호, pp.403-420, 2016.
  25. 김주희, 이형룡, "고객참여가 브랜드몰입, 브랜드신뢰,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항공사 승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저널, 제33권, 제2호, pp.139-156, 2019.
  26. 최윤기, 한장희, 김세윤, 서동근, 최지호, "서비스 접점에서 고객참여와 만족간의 관계," 대한경영학회지, 제24권, 제4호, pp.2121-2139, 2011.
  27. 김병섭, 박동균, 박주상, 오시영, 이수영, "일선 경찰의 행태 및 근무환경에 대한 참여관찰적 연구: Lipsky의 일선관료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제10권, 제1호, pp.1-26, 2013. https://doi.org/10.25023/KAPSA.10.1.201305.1
  28. C. Glesne,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ddison-Wesley, 2005, 안혜준 역, 질적 연구자 되기, 아카데미프레스, 2017.
  29. 강영은, 신영선, 지달님, 김지애, 임승빈, "참여관찰법을 이용한 공간 모델 기초연구 -농촌마을 커뮤니티시설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제15권, 제1호, pp.31-46, 2009.
  30. https://www.facebook.com/caugsp/?notif_id=1644076040472436¬if_t=aymt_page_post_reminder_14d_notification&ref=notif
  31. http://gspress.cauon.net/
  32. https://www.facebook.com/kugnews1905
  33. https://www.facebook.com/caugsp
  34. https://business.facebook.com/latest/inbox/automated_responses?asset_id=908714195902453&nav_ref=pages_classic_isolated_section_inbox_redirect
  35. https://business.facebook.com/latest/inbox/automated_responses?asset_id=908714195902453&nav_ref=pages_classic_isolated_section_inbox_redirect
  36. https://www.facebook.com/caugsp
  37. https://www.facebook.com/caugsp/insights/?referrer=page_insights_tab_button
  38. https://www.facebook.com/caugsp
  39. 김은미, 정남호, 구철모, "관광 소셜미디어의 고객참여 동기에 대한 연구 : 한국관광공사의 페이스북 우수팬을 대상으로," 2020 한국경영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 pp.209-213, 2020.
  40. 정희경, 정인영, 한희섭, "항공사 SNS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브랜드 경영에 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28권, 제8호, pp.91-11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