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Household Characteristics by Residential Type and Region: Focused on Income and Wealth Effects

지역별 거주유형별 가구특성에 관한 연구: 소득효과와 자산효과를 중심으로

  • 정예은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
  • 심승규 (Aoyama Gakuin University 국제정치경제학부) ;
  • 홍지훈 (부산대학교 경제학과)
  • Received : 2022.03.14
  • Accepted : 2022.04.10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freehold and leasehold households living in the seven largest cities and the other areas. We employ the two-stage logit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marginal effects of wealth and income after controlling for the other one. We documen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households with more net wealth are more likely to reside in their own houses, regardless of living areas. Second, the pure income effect after controlling for wealth and other variables lowers the tendency of freeholders to live in the seven largest cities while increasing the tendency to live in the other areas. Furthermore, the income effects reduce the tendency to live in the former regions.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pure income effects enhance preferences for a better living environment (e.g., larger spaces, better school districts, etc.), whereas the wealth effec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freeholds.

본 연구는 지역별 거주형태별 가구 특성을 순자산과 소득이라는 측면에서 살펴 본다. 특히 순자산과 소득의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단계 로짓회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순자산효과와 순자산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소득의 효과를 분리하여 추정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국토교통부 주거실태조사 2020 자료를 활용하여 2단계 로짓회귀분석 모형을 추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첫째, 순자산의 증가는 광역시나 비광역시 가구들 모두의 자가 확률을 높이고, 차가 확률을 낮춘다. 둘째, 순자산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 추가적인 소득은 비광역시 가구들의 경우 자가로 거주하고 있을 확률은 높이지만, 광역시 가구들에서는 오히려 자가로 거주하고 있을 확률을 낮춘다. 또한, 순자산 등으로 설명되지 않는 추가적인 소득은 자가든 차가든, 광역시 보다는 비광역시에 거주할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순자산의 증가는 (특히 광역시 거주 가구들 중에서) '내집마련'의 가능성을 높이지만, 순자산 증가로 설명되지 않는 추가적인 소득의 증가는 광역시에서 '내집마련'보다는 광역시 내에서 혹은 광역시를 떠나 좀 더 좋은 거주여건(더 넓은 주거면적, 더 나은 교육여건 등)에 대한 욕구를 자극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순용.박헌수(2015), "소득 및 가격 탄력성을 이용한 지역 및 소득계층별 주택수요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6(2): 71~86. https://doi.org/10.23129/SEOULS.16.2.201506.71
  2. 김인하.이상호.유완(1991), "로짓 모형을 이용한 지역별 주택 소유형태의 결정요인",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1(1): 203~206.
  3. 김정수.이주형(2004), "가구특성에 따른 주택선택행태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9(1): 191~204.
  4. 김주원.정의철(2011),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특성 분석", 「주택연구」, 19(2): 123~150.
  5. 박원석(2015), "수도권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요인 분석: 대구.경북 가구사례와의 비교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1(3): 515~528.
  6. 박천규.이수욱.손경환(2009), "가구생애주기를 감안한 주택수요특성 분석 연구", 「국토연구」, 60: 171~187. https://doi.org/10.15793/KSPR.2009.60..010
  7. 심승규.지인엽(2021), "생애주기별 주택소유와 주거유형: 연령대별 손바뀜 현상에 대한 실증분석", 「LHI Journal」, 12(4): 31~40.
  8. 이준민.심승규.홍지훈(2022), "소득효과와 자산효과에 의한 주택점유형태 분석", 「부동산연구」, 32(1): 41~54.
  9. 이창무.박지영(2009), "가구특성을 고려한 장기주택수요 예측모형: 보완된 Mankiw & Weil 모형을 적용하여", 「국토계획」, 44(5): 149~161.
  10. Shaheed, M. S. and K. Gkritza (2014), "A Latent Class Analysis of Single-Vehicle Motorcycle Crash Severity Outcomes", Analytic Methods in Accident Research, 2: 30~38. https://doi.org/10.1016/j.amar.2014.03.002
  11. 국토교통부(2020), "주거실태조사 통계설명자료", 2021. 12.5 읽음. https://meta.narastat.kr/metasvc/index.do?confmNo=116031&inputYear=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