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idential Location Choice Factors by Income Level of Young One-person Households and Newlyweds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서울대도시권 청년 1인 및 신혼 가구의 소득수준별 주거입지 선택요인

  • 박정연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창효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21.08.18
  • Accepted : 2022.01.05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among the income level groups of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and newlywed households in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residential location by income level in both single-person young households and newlyweds. Second, among young households, the low-income group showed a behavior of choosing a residential location based on bounded rationality considering the economic condition of the household. Third, even though the income level is similar, the difference in the factors for choosing a residential location between single-person young households and newlywed households was confirmed, which is results of the life-cycle changes. These results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housing policies that can supplement the economic conditions of young household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and to review customized housing policies that reflect changes in life-cycle stages as well as age or income level.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도시권 거주 청년 1인 가구와 신혼 가구를 소득수준별로 구분하여, 주거입지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요인의 집단 간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주거이동 및 입지선택 과정을 분석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 조건부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적용하였고, 실증분석에 활용한 기초 자료는 '2016년 가구통행실태조사'의 표본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청년 1인 가구와 청년 신혼 가구 모두에서 소득수준별 주거입지 선택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년 가구 중 저소득 집단은 가구의 경제적 여건을 고려하는 제한적 합리성에 기초한 주거입지 선택 행태를 나타냈다. 셋째, 소득수준이 유사할지라도 청년 1인 가구와 신혼 가구 간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에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생애주기 변화에 따른 결과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울대도시권 거주 청년 가구의 경제적 여건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적절한 주거정책 마련, 그리고 연령 또는 소득뿐만 아니라 생애주기 단계의 변화를 반영하는 맞춤형 주거정책에 대한 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세연.박환용, 2014, 서울시 1인 가구의 주거환경만족 영향요인 연구, 「주택연구」, 22(1), 2014, pp.77-104.
  2. 김경덕.김병랑, 2018, 주거지역 결정요인이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주거환경」, 16(4), 2018, pp.271-285.
  3. 김영주.곽인경, 2020, 청년 1인가구의 주거환경과 우울감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15(4), pp.242-250.
  4. 김재홍, 2006, 명시선호실험을 이용한 소득계층별 주거입지 속성가치의 격차 분석, 「지역연구」, 22(2), pp.3-26.
  5. 김주원.정의철, 2011, 소형가구 연령대별 주택수요 특성분석, 「주택연구」, 19(2), pp.123-150.
  6. 김진후.조강현.이재수, 2020, 수도권 베이비부머 가구의 주거이동과 주거입지 선택의 영향 요인, 「감정평가학 논집」, 19(1), pp.187-214.
  7. 김혜영, 2014, 유동하는 한국가족: 1인가구를 중심으로, 「한국사회」, 15(2), pp.255-292. https://doi.org/10.22862/KJSR.2014.15.2.008
  8. 박미선, 2017, 1인 청년가구 주거여건 개선을 위한 정책 지원방안, 「국토정책 Brief」, 627, pp.1-8.
  9. 박원석, 2015, 부산.경남 가구의 가구특성별 주거입지 선호 요인 분석 -수도권 및 대구.경북 가구와의 비교-, 「국토지리학회지」, 49(4), pp.411-423
  10. 성현곤, 2012, 주거입지선택에서의 대중교통 접근성과 직주균형의 구조적 관계가 가구수준의 통행행태에 미치는 영향, 「국토계획」, 47(4), pp.265-282.
  11. 이백진.서민호.김혜란.정일호, 2012, 주거입지 선호의식분석 -주거입지 요소별 한계수준과 가구특성별 격차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pp.17-33.
  12. 이소영.오명원, 2019, 청년.신혼가구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주거 선호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28(5), pp.125-133.
  13. 이용민, 2020, 신혼부부 맞춤형 주거생활서비스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31(2), pp.65-73.
  14. 이재수.원재웅, 2017, 서울 전출입 가구의 주거이동 특성과 이동 요인 연구 - 2001~2010년 간 서울 대도시권의 가구이동, 「국토계획」, 52(5), pp.27-45. https://doi.org/10.17208/jkpa.2017.10.52.5.27
  15. 이정섭, 2011,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모형에 대한 출생 코호트 접근과 해석,「한국지역지리확회지」, pp.75-95.
  16. 이현정, 2016, 취약계층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과 제도, 「한국가정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자료집」, pp.141-157.
  17. 임유라.추장민.신지영.배현주.박창석, 2009, 소득계층요인에 따른 자연녹지와 도시공원의 접근성 분석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44(4), pp.133-146.
  18. 임창호.이창무.손정락, 2002, 서울 주변지역의 이주 특성 분석, 「국토계획」, 37(4), pp.95-108.
  19. 전명진.강도규, 2016, 수도권 주거 이동 가구의 주거입지 선택 요인 분석, 「지역연구」, 32(1), pp.83-103. https://doi.org/10.22669/KRSA.2016.32.1.083
  20. 정희주.오동훈, 2014, 청년세대 1, 2인 가구의 주택점유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2), pp.95-113.
  21. 조윤성.김기중.이창효, 2018, 학령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구의 주거입지 특성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도시연구」, 19(4), pp.43-59. https://doi.org/10.23129/SEOULS.19.4.201812.43
  22. 최령.이준민, 2014, 사회초년생의 주거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97.
  23. 최막중.임영진, 2001, 가구특성에 따른 주거입지 및 주택유형 수요에 관한 실증분석, 「국토계획」, 36(6), pp.69-81.
  24. 최열.김영민.조승호, 2010, 생애주기에 따른 주거이동 특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D)」, 30, pp.313-321. https://doi.org/10.12652/KSCE.2010.30.3D.313
  25. de Palma, A., N., Picard, P. A. & Waddell, P., 2007, Discrete choice models with capacity constrain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housing market of the greater Paris region, Journal of Urban Economics 62(2), pp.204-230. https://doi.org/10.1016/j.jue.2007.02.007
  26. Habib, K. M. N. & Miller, E. J., 2009, Reference-dependent residential location choice model within a relocation context,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2133, pp.92-99. https://doi.org/10.3141/2133-10
  27. McFadden, Daniel, 1973, Conditional logit analysis of qualitative choice behavior. Berkeley: Institute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28. Schirmer, P. M., van Eggermond, M. A. B. & Axhausen, K. W., 2014, The role of location in residential location choice models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Transport and Land Use 7(2), pp.3-21. https://doi.org/10.5198/jtlu.v7i2.740
  29. Waddell, P., 2006, Reconciling household residential location choices and neighborhood dynamics, Working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