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s of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nd Management Leadership Styles on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s

정보보안문화와 경영진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2.02.09
  • Accepted : 2022.03.22
  • Published : 2022.04.30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s of information security (IS) culture and management leadership styles on employee's security behaviors (IS policies compliance, IS participation) in financial institutions. This study use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236 employee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shows that IS cultur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behavioral intentions to comply with IS policies and the intentions to actively participate in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Transac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S policies compliance intentions and to participate in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In contra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s to participate in information security activities, but not on the IS policies compliance intentions.

본 연구는 개인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조직의 환경적 요인(정보보안문화, 경영진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행동(정보보안정책 준수 의도, 정보보안 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금융기관 구성원 236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보안문화는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도와 정보보안 참여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거래적 리더십은 정보보안정책 준수 의도와 정보보안 참여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지만, 변혁적 리더십은 정보보안 참여 의도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Keywords

I.서론

Ernst&Young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기업의 93%가 사이버 공격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투자를 유지하거나 늘 리고 있다[1]. 국내 기업 역시, IT 예산 중 정보보호 예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2]. 하지만, 기업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전 세계적으로 2018년 상반기에만 개인 정보 유출 사고가 945건 발 생했으며, 유출된 개인 정보는 약 45억 건을 기록하였다[3].

정보 보안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산업계 전문가들과 정보 보안 연구자들은 조직 구성원을 지목한다 [4, 5].즉, 조직의 정보 보안 관리 측면에서 직원이 가장 취약한 지점이다[6]. 직원들은 정보 보안을 생산성을 저해하고 불편한 것으로 인식하고, 이러한 인식은 정보 보안정책 위반 요인 중 하나로 작용한다[7]. 기존 연구는 억제 이론[8, 9], 보호 동기 이론[10], 합리적 선택 이론[7]에 기반하여 조직 구성원의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11]. 하지만,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은 개별적 태도 변화뿐 아니라, 조직이 보유한 특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게 된다[12].

이에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을 촉진하는 주요 동인으로써 조직의 환경적 요인에 주목 한다. 그 이유는 조직은 개개인으로 구성된 하나의 집합이며, 하나의 사회성을 보여주는 집단이기 때문이다[13]. 정보 보안에 있어 조직과 조직 구성원은 상호교환 관계가 성립되는데[14], 조직은 조직의 요구수준에 맞는 정보 보안 행동을 조직 구성원이 수행 하길 기대하고, 조직 구성원은 제한된 정보를 기반으로 정보 보안과 관련된 의사결정을 하게 된다[15]. 그리고 이것은 궁극적으로 조직의 전반적인 정보 보안 수준을 결정한다[13]. 따라서,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을 설명하는 데 있어서 조직의 환경적 요인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정보 보안 행동을 역할 내 행동인 정보 보안정책 준수와 역할 외 행동인 정보 보안 참여로 구분 한다. 전자는 다수 연구에서 다루어졌으나 [7, 8, 9, 10], 후자를 살펴본 연구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정보 보안 참여는 조직의 정보 보안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는 능동적인 행동 (예를 들어, 정보 보안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을 도와주는 행동, 정보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아이디어 제시)으로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을 강화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고려된다[16]. 따라서, 조직의 정보 보안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정보 보안정책 준수와 더불어 정보 보안 참여 행동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으로, 정보 보안문화와 경영진 리더십을 고려한다. 먼저, 정보 보안문화는 다양하게 정의되는데, 황인호 등[11]은 정보 보안문화를 “조직원의 활동과 의식에 조직이 요구하는 보안 수준이 내재하여 올바르게 이루어지는 정도”라고 하였다. 다수의 연구에서 조직 관점에서 정보 보안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다[11, 19]. 정보 보안 문화는 하나의 차원이 아닌 다수의 차원으로 구성되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본 연구는 Schein[18]이 제시한 조직문화 개념과 Van Niekerk and Solms[19]의 정보 보안문화 프레임워크를 토대로 정보 보안문화의 구성요인(정보 보안정책, 교육 및 훈련, 경영진 지원, 정보 보안 지식)을 도출한다. 그리고 4가지 하위 차원으로 구성된 정보 보안문화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리더는 직원들이 조직의 정보 보안 정책을 인지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장려하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다[20].이에 본 연구는 Bass and Avolio[21]가 제시한 Full-range 리더십에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가져와 이러한 리더 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본다.

정리하면, 본 연구는 조직문화와 리더십 이론을 바탕으로 조직의 환경적 요인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특히, 이 전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던 정보 보안 참여 행동을 고려함으로써, 정보 보안정책 문헌에 학술적으로 공헌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정보 보안 문화와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함으로써, 실무자에게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II. 이론적 배경

2.1 정보보안문화

정보 보안문화는 다양하게 정의된다. 우선 해외 문헌을 살펴보면, Mcllwraith[17]은 정보 보안문화를 “정보 보안표준및정책준수의가치에대한개별직 원의 신념”으로 정의한다. Karlsson et al.[22]은 정보 보안문화에는"정보 보안에 영향을 미치면서 조직 구성원들 간에 거래되는 가치, 정신 모델 및 활동의 공유 패턴으로 구성됨"에 대한 공통된 이해가 있다고 말한다. Alhogail and Mirza[23]는 정보 보안문화를 “직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조직의 정보 자산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안내하는 인식, 태도, 가치, 가정 및 지식의 수집”이라고 하였다. 국내에서도 정보 보안문화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련 개념을 수립하기 시작했다. 김혜정과 안증호[24]는 정보 보안문화를 “조직 환경의 객관적 특성(규정, 정책, 절차 등)을 구성원들에게 인식될 수 있도록 하는 조직의 정보 보안 상황”으로 보았다. 황인호 등[11]은 정보고 인문화를 “조직원의 활동과 의식에 조직이 요구하는 보안 수준이 내재하여 올바르게 이루어지는 정도”로 정의하고, 정보 보안문화의 선행요인으로 경영층 지원, 보안규정, 보안 가시성, 교육 및 훈련을 제시했으며, 정보 보안 문화가 정보 보안 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다. 하지만, 정보 보안문화와 정보 보안 참여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보지 않았다.

한편, Schlienger and Teufel[25]은 정보 보안문화를 다양한 측면에서 묘사된 조직문화의 일부라고 했다. 즉, 정보 보안문화는 조직에서 일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관련이 있다[26].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정보 보안문화는 Schein[18]의 조직문화 개념을 토대로 개발되었다. 즉, 조직문화는 인공물(artifacts), 지지된 가치(expoused Value) 및 공유된 암묵적 가정(basic assumptions & belief)으로 구성된다. Van Niekerk and Solms[19]는 Schein[18]이 제시한 조직문화 세 가지구성요소에 정보 보안 지식을 추가하여, 정보 보안문화를 개념화했다.

본 연구는 정보 보안문화 프레임워크[19]와 이 전연구를 참고하여 정보 보안문화를 개념화한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경영진 관심 및 지원, 정보 보안 정책, 보안 프로그램 관리, 교육 및 훈련, 정보자산관리, 변화관리 등이 정보 보안문화의 구성요인으로 제시되었다[27, 28]. 또한, 본 연구는 10년 이상의 정보 보안 실무경력을 가진 전문가 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다. 그들은 바람직한 정보 보안문화를 수립하기 위해서 경영진 지원 및 노력, 정보 보안 중요성 강조, 지속적인 교육 및 실제적인 가상훈련, 보안규정 마련, 최소한의 정보 보안 지식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선행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근거로 정보 보안문화를 조직원의 활동과 의식에 조직 이 요구하는 보안 수준이 내재하여 올바르게 이루어지는 정도로 정의하고[11], 그 구성요소를 경영진 지원, 정보 보안정책, 교육 및 훈련 그리고 정보 보안 지식으로 도출했다.

2.2 리더십

본 연구는 Bass and Avolio[21]가 제시한 Full-range 리더십에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 더 심을 가져온다. 거래적 리더십(transactional leadership)은 구성원이 달성한 성과에 대하여 리더가 보상을 실시한다는 개인 간 이해관계에 기초한 리더와 구성원 간의 상호교환관계를 말한다. 반면에, 변혁적 리더십(transformational leadership)은 리더가 구성원에게 보다 높은 비전과 도덕적 가치 및 신념에 호소하여 구성원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의미한다[29].

변혁적 리더십은 사람들로 하여금 개인으로서 일하기보다는 협력하는 것을 장려한다[29].변혁적 리더 들은 카리스마가 넘치고 사람들이 조직의 이익에 자신의 이익을 두도록 동기를 부여함으로써 가치와 기준에 적응하도록 권장한다[30]. Bass[31]는 변혁적 리더십에는 이상화된 영향력(idealized influence), 지적 자극(intellectualstimulation) 및 개별적 배 려(individual consideration)와 같은 3가지 구성 요소가 있다고 제안했고, 이후 Bass and Avolio[21]는 수정된 이론에서 영감적 동기 (inspirational motivation)를 변혁적 리더십 구성요소에 추가했다.

이상화된 영향력은 경영진들이 직원들에게 모범을 보여주고 구성원들이 그들과 동일시하도록 동기를 부 여한다[32, 33]. 영감을 주는 리더는 직원들에게 열정과 긍정적 마음 그리고 에너지를 부여한다 [34, 35, 36].또한, 지적 자극을 주는 리더는 직원이 기존 방법에 도전하고 표준을 개선하기 위한 혁신적인 전략을 개발하도록 권장한다[33, 37, 38]. 그리고 경영자들은 개별화된 배려를 통해지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직원들이 자신의 능력과 잠재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다[36, 39]. 이 네 가지 특징은 변혁적 리더가 조직 구성원의 현재 요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그들의 성격 개발을 촉진함으로써 자신과 자신이 속한 집단에 대한 더 높은 요구를 고려하도록 해줄 수 있다[38].

Bass[31]는 변혁적 리더십이 어떠한 상황이나 문화적 차이에 상관없이 효과적으로 인정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이 더 강한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상황도 제시하였는데, 사회적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 위기 상황, 정형화된 조직보다는 유기적인 조직에서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하였다 [31]. 따라서 명확한 규범이나 제도를 가지고 있는 구조화된 환경에서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가 제약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혁적 리더십을 가지고 있는 리더는 그러한 상황을 변화시킴으로써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반면,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이 자신의 이익을 실현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40]. 경영진은 이전에 정의된 성과 목표를 달성하는 대가로 보상과 처벌을 제공한다[30, 35]. 경영진과 조직 구성원 사이의 관계는 더 높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상호 보강이라는 내재적 계약에 기반을 두고 있다[30, 41]. Burns[29]는 한 사람이 가치 있는 어떤 것을 교환할 목적으로 다른 사람과 계약을 하면서 주도권을 행사할 때 거래적 리더십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즉 리더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가치 있는 것을 조직 구성원이 가지고 있는 가치 있는 것과 교환하여 거래의 이익을 취하고자 하는 리더십이라는 것이다[42].

거래적 리더십은 주로 조건적인 보상(conti- ngent reward)과 적극적 예외 관리(manage- mentbyexception-active)의 2차원적 행동으로 구성된다[33, 36, 37]. 조건적인 보상은 정의된 성과 기준에 부합하는데 가로 조직원이 보상받는 정도(예를 들어, 임금)를 포함하고[33, 38], 적극적 예외 관리를 하는 경영진은 실수에 대한 직원들의 행동을 감 독하여 위반사항을 규명하고 오류 및 문제가 심각해지기 전에 이를 수정하려고 한다[40].

2.3 정보 보안 행동

직원의 정보 보안 행동은 2가지 행동, 즉 역할 내 행동(in-role behaviour)과 역할 외 행동 (extra-role behaviour)으로 구분할 수 있다 [16]. 하지만, 기존 연구는 정보 보안 행동으로 대부분 역할 내 행동이라고 할 수 있는 정보 보안 정책 준 수(또는 정보 보안 정책 위반)만을 다루었다 [7, 8, 9, 10]. 역할 내 행동은 일상적이고 지속적인 직무수행평가에 기초를 두고 보상과 처벌이 연계되는 조직 활동이다[43]. 정보 보안 맥락에서는 역할 내 행동을 정보 보안정책 준수 행동이라고 할 수 있으며, 조직의 정보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관리자는 적절한 정보 보안정책을 수립하고 구성원이 해당 정보 보안 정책을 따르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7, 44, 45, 46].

역할 외 행동은 조직성과를 높여줄 수 있는 행동으로 누군가의 강제에 의한 행동이 아닌 조직 구성원 자신이 자발적으로 조직의 발전에 도움이 되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47].정보 보안 맥락에서 역할 외 행동은 조직의 정보 보안을 적극적으로 촉진하는 능동적인 행동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를 정보 보안 참 여행 동이라고 한다[16]. 정보 보안 참여 행동의 대표적인 예로 동료를 돕는 것이 있다. 다른 직원(특히 신입 직원)에게 정보 보안정책과 관련된 지침을 알려 주거나, 다른 직원의 부적절한 행동을 식별하고 정보 보안정책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정보 보안 참여 행동의 또 다른 예로 현재 상태를 개 선하기 위한 의견 제시가 있다. 역할 외 행동은 조직 의 공식적인 보상 시스템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식 돼지는 않지만 조직의 효율성과 운영 효율성을 향상 시 킬 수 있다[43]. 마찬가지로, 정보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관련 역할 외 행동 (즉, 정보 보안 참여 행동)이 중요하다[16].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를 확장하여,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으로 정보 보안정책 준수 행동과 정보보안 참여 행동을 모두 고려한다.

III. 연구 가설

3.1 정보 보안문화와 정보 보안 행동

정보 보안문화는 정보기술 보안에 대한 개인, 그룹 및 전체 조직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원칙이다[48]. 정보 보안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먼저, 정보 보안문화가 잘 구축된 조직에서는 구성원들이 정보 보안규정을 잘 준수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D'Arcy andGreene[49]는 정보 보안문화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가 높다고 하였다. 즉 조직 차원의 압력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고 안정책 준수 의도를 높이는 요인이다[9].

또한, 정보 보안문화가 잘 구축된 조직에서는 조직 구성원들이 정보 보안규정에 있지 않지만 조직의 정 보보 안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정보 보안 행동을 스스로 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조직 행동 문헌에 따르면, 조직문화가 (역할 외 행동 중 하나로 볼 수 있는) 직원의 혁신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50]. 또한, 회사와 같은 공동작업환경에서(정보 보안문화 구성요인 중 하나인) 정보 보안 지식은 조직 구성원의 능동적 보안 활동과 긍정적인 관련이 있다[51, 52]. 즉 정보 보안을 강조하는 조직에서는 조직 구성원이 누가 시키지 않아도 혹은 규정에 있지 않더라도 조직 의정부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는 행동을 스스로 할 것이다[53].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한다.

H1a: 조직의 정보보안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정책준수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것이다.

H1b: 조직의 정보 보안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3.2 리더십과 정보 보안 행동

리더십은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있으며, 이것은 직원의 행동에 영향을 준다. 먼저, 거래적 리더십을 살펴보면,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거래적 리더십을 가진 리더는 직원의 행동에 대해 보상과 처벌을 명확히 한다. 정보 보안 정책 준수에 대한 공식적인 조치(즉, 보상 및 처벌)는 직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를 높인다[54]. Humaidi and Balakrishnan[20]은 직원들에게 순응적 행동을 유도하는 데 있어서 거래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는 정보 보안에 대한 감시와 규제가 엄격한 국내 금융기관 직원을 대상으로 한다. 구성원들의 정보 보안규정 준수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근무평가에 반영하는 금융 귀관의 환경을 고려하면, 거래적 리더십이 직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를 높일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 역시 높일 수 있다. 조직 행동 연구를 보면, 거래적 리더십과 직원의 역할 외 행동(즉, 조직시민행동) 간에 긍정적인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55]. 즉, 직원에 대한 관리자의 긍정적인 피드백은 직원들이 스스로 조직에 이익이 되는 행동을 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이 가설을 설정한다.

H2a: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b: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다음으로 변혁적 리더십을 살펴보면, 변혁적 리더는 직원들에게 정보 보안정책 준수 행동의 가치와 중 요성을 전달하므로 직원들이 조직의 이익을 위해 보 한 조치의 불편함을 감수하도록 자극하고, 이것은 직원들의 정보 보안준수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Guhretal.[56]은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 성원의 정보 보안 정책 준수 의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이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을 높이는 행동을 하게 만들 수 있다. 변혁적 리더는 공식적인 직무 사항을 넘어 목표를 달성하고[55], 최소 직무 요구 사항을 초과하도록 목표 수준에 따라 직원에게 동기부여를 할 수 있기 때문이다[31]. 최근 연구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관련 역할 외 행동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56]. 따라서, 아래와 같이 가설을 설정한다.

H3a: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b: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직문화와 리더십 이론 그리고 이전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Fig.1. 과같이 조직의 환경적 요인과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 간 관계를 설명하는 연구 모형을 제시한다.

Fig. 1. Research mode

IV. 연구방법

4.1 데이터 수집 및 표본 특성

본 연구는 금융업종에 종사하는 직장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했다. 금전과 신용 거래를 주된 업무로 하는 금융업은 정보 보안 사고에 가장 민감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 규모가 큰 분야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금융업에 속하는 조직은 정보 보안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 따라서, 금융 분야는 정보 보안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기에 적합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데이터수집을 위해 국내 리서치 전문 기업을 통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목적에 맞게 정보 보안 정책이 내부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기업의 직원은 설문조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총 250명이 설문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이중에서 결측값 존재 또는 불성실 응답자 14명을 제외한 23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유효한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응답자 중 남성이 107명(45.3%), 여성이 129명(54.7%)이다. 연령의 경우에는 20대가 47명(19.9%), 30대가 99명 (41.9%), 40대가 56명(24.6%), 50대, 60대가 각각 28명(11.9%), 4명(1.7%)이다. 직급을 보면 사원이 99명(40.3%), 대리가 57명(24.2%), 과장이 37명(15.7%), 차장/부장이 40명(16.9%), 기타 7명(3%)이다.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4.2 측정항목

본 연구의 측정항목은 총 37개로 3개의 독립변수와 2개의 종속변수로 구성되어 있다(부록 참고).독 랩 변수로 조직 환경요인 중 하나인 정보 보안문화는 다차원 2차적 구성(second-orderconstruct)으로 4개의 하위 차원, 즉 경영진 지원, 정보 보안 정책, 교육 및 훈련, 정보 보안 지식을 포함하고 있다. 또 다른 조직 환경인 경영진의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으로 구성되어 있다.그리고종속변 수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 의도를 파악하기 위한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와 정보 보안 참 여의도 가 있다. 모든 항목은 리커트(Likert) 7점 척도로 측정되었다.

V. 분석 및 결과

5.1 측정모형 검정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을 검정하기에 앞서, SPSS 25.0과 SmartPLS 3.2.8을 이용하여 측정문항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Table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정문항의 cronbach’s α와 개념 신뢰도(compositereliability) 값이 모두 0.7 이상으로 나왔으므로 측정문항은 신뢰성이 있 다고 볼 수 있다[57]. 또한, 요인 적재량(factorlo ading) 값이 모두 0.7 이상이고 AVE 값이 모두 0.5 이상으로 나왔으므로 모든 측정문항에 대한 수 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57]. 마지막으로, 각 변수의 AVE 값의 제곱근이 다른 변수들의 관계에서 가장 높은 상관계수 값보다 커야 하고 수치가 모두 0.7이 산이어야 판별 타당성이 있다[57]. Table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관계수 중 어떠한 수치도 AVE의 제곱근 값보다 높지 않고 AVE 값의 제곱근이 모두 0.852 이상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들은 판별 타당성을 만족한다.

Table 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Table 3. Discriminant Validity of Latent Variables

Note: Diagonal elements (bold) are the square root of average variance extracted (AVE) betweentheconstructs and their measures.

5.2 가설 검정

SmartPLS 3.2.8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는 Fig.2와 같다. 먼저, 정보 보안문화와 정보 보안 행동을 살펴보면, 가설 1a ‘조직의 정보 보안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에 긍 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수준 0.1% 수 준에서 채택되었다. 가설 1b‘조직의 정보 보안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역시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채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고 안 행동에 있어서 정보 보안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Fig. 2. Results of PLS Structural Model Analysis

다음으로, 리더십과 정보 보안 행동을 살펴보면, 가설 2a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수준 0.1% 수준에서 채택되었다. 가설 2b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역시 유의수준 1% 수준에서 채택되었다.

가설 3a‘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기각되었으며, 가설 3b‘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수준 1% 수준에서 채택되었다.

VI. 결론

6.1 연구결과 논의

본 연구는 조직문화 문헌과 리더십 이론에 기반하여 금융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조직의 환경적 요인 (정보 보안문화,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정보 보안정책 준수, 정보 보안 참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4가지 하위 차원(경영진 지원, 정보 보안 정책, 교육 및 훈련, 정보 보안 지식)으로 구성된 정보 보안문화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정책 준수 의도와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것은 정보 보안문화와 보안 준수 및 직원의 행동 역할 사이에는 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이 전연구 결과와 일치한다[58].그리고 정보 보안문화와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를 연구한 최근의 연구[11, 28]와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준다. 즉, 정보 보안문화의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 구성원의 수동 적 및 능동적 보안 행동 의도가 증가한다는 것이다. 특히, 정보 보안문화가 정보 보안 참여 의도를 높여준다는 결과는 조직의 정보 보안 전략 수립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다.

둘째, 거래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 및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전 연구결과와 다르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 전연구에서는 거 내적 리더십이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와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지 못했다[56]. 본 연구는 이전연구와 다르게 정보 보안에 가장 민감한 업종이라고 할 수 있는 금융업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금융기관 구성원들의 대부분이 규정 준수 여부를 모니터링 받고, 정기적으로 그 결과가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금융업의 조직 환 견에서는 조건적 보상이나 적극적인 예외 관리를 특 징으로 하는 거래적 리더십이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 정보보안이 민감한 업종(예를 들어, 금융업)과 덜 민감한 업종(예를 들어, 제조업)에 종사하는 직원을 대상으로 거래적 리더십의 영향력 차이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거래적 리더십과 다르게, 변혁적 리더십은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 의도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능동적 보안 행동, 즉 정보 보안 참여를 촉구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수동적 보안 행동, 즉 정보 보안정책을 준수하게 만드는 데 있어서 큰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말한다.

6.2 한계점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본 연구는 금융업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본 연구 결과가 다른 업종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고 보장할 수 없다. 특히, 리더십의 영향에 있어서 다른 결과가 나올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변혁적 리더십이 수동적 보안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 이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다루었는데, 정보 보안 맥락에 알맞은 또 다른 리더십(예를 들어, 윤리적 리더십)이 존재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 정보 보안 맥락에서 윤리적 리더십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른 설문조사 연구와 마찬가지로, 실제 행동이 아닌 의도를 측정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실제 행동을 측정할 필요가 있다.

6.3 시사점

본 연구는 정보 보안정책 문헌에 학술적으로 공헌하며, 정보 보안정책 연구자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는 정보 보안문화의 4가지 하위 차원을 도출하였으며, 정보 보안문화가 조직 구성원의 정보보안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혔다. 특히 이전 연구와 다르게, 정보 보안문화가 정보보안 참여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보였다. 이처럼 조직의 정보보안 성과에 있어서 정보 보안문화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보 보안문화 개념에 대한 포괄적인 합의가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정보 보안문화의 개념을 확립하기 위한 향후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정보 보안 맥락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리더십 개념을 고려하였다. 구체적으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직원의 보안 행동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를 확장하였다. 특히,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향후 연구에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보안 행동으로 역할 내 행동인 정보 보안정책 준수 의도와 역할 외 행동인 정보 보안 참여 의도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정보 보안정책 준수에만 초점을 맞춘 기존 연구를 확 장하였다. 역할 외 행동은 조직의 공식적인 보상 시스템에 의해 직접적으로 인식되지는 않지만 조직의 효율성과 운영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43]. 마찬가지로,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관련 역할 외 행동(즉, 정보 보안 참여 행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16].향후 연구에서 이것의 선행요인을 살펴보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의미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또한 실무자에게도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본 연구는 정보 보안문화의 구성요인으로 경영진 지원, 정보 보안 정책, 교육 및 훈련, 정보 보안 지식을 제안하였으며, 이것이 금융업종 구성원의 정보 보안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기업에게 바람직한 정보 보안문화부 랩 방안을 제시한다. 우선, 정보 보안 향상을 위한 경영진의 지원이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 향상을 위한 중 요한 요소임을 강조한다. 경영진의 지원과 관심이 높 아지면 정보 보안 예산과 타부서의 업무협조가 수월 해지고, 무엇보다 조직 구성원 전체의 정보 보안에 대한 관심과 참여가 늘어날 수 있다. 이것은 조직 전체 의 공유가치인 정보 보안문화 수립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조직은 경영진의 정보 보안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 예를 들어, 경영진 보고 시 전사적 보안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궁극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설득해야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뉴스레터 등 임원 전용 자료를 준비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조직이 수립하는 정보 보안정책이나 규정은 조직 구성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조직의 현실에 맞게 잘 정의되고, 외부환경 변화에 따라 변경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교육 및 훈련은 조직구성원에게 정보 보아 내 목 적을 인식시키고, 정보 보안협력 분위기를 정립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구성원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불참에 대한 처벌 및 비난보다 참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이 효과적일 수 있다. 끝으로, 직원의 정보 보안정책 위반은 관련 지식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4, 5]. 따라서, 조직은 보안 절차 및 행동 방법 등을 조직구성원에게 체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지식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리더십 유형과 정보 보안 행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직의 정보 보안 수준을 향상하는 데 있어서 조직 구성원이 수립된 정보보안 정책을 얼마나 잘 준수하는지도 중요하지만, 능동적으로 정보 보안 관련 행동을 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본 연구결과는 적어도 금융기관에서는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금융기관 리더들은 조직 구성원들이 정보 보안 정책을 잘 준수할 수 있도록 거래적 리더십을 적극적으로 발휘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변혁적 리더십 역시 조직 구성원의 정보 보안 참여를 증가시킬 수 있는 만큼 금융기관에 소속된 리더는 두 가지 유 형의 리더십을 모두 보유하는 것이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의 보안 행동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 조직적 환경(정보 보안 문화,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하지만, 조직 내에 정보 보안을 위한 문화를 조성하고, 리더가 적절한 리더십을 발휘하는 것은 특정 부서에서 단독으로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는 기업 이 자사의 정보 보안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을 추진할 때 전사적 관점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References

  1. van Kessel, P., & Allan, K. Under cyber attack. EY's Global Information Security Survey 2013. Ernst & Young, 2013.
  2.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Survey on Information Security-Business, 2020.
  3. 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181008005322/en/Data-Breaches-Compromised-4.5-Billion-Records-in-First-Half-of-2018, 2022.3.30.
  4. Kreicberge, L., "Internal threat to information security-countermeasures and human factor with SME," Ph.D. Thesis, Lulea University of Technology, Dec. 2020.
  5. Siponen, M. and Vance, A., "Neutralization: new insights in to the problem of employee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olicy violations," MIS quarterly, vol. 34, no. 3, pp. 487-502, Sep. 2010. https://doi.org/10.2307/25750688
  6. Padayachee, K., "Taxonomy of compliant information security behavior," Computers &Security, vol. 31, no. 5, pp. 673-680, July 2012. https://doi.org/10.1016/j.cose.2012.04.004
  7. Bulgurcu, B. H., Cavusoglu, H. and Benbasat, I.,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An empirical study of rationality-based beliefs and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MIS Quarterly, vol. 34, no. 3, pp. 523-548. Sep. 2010. https://doi.org/10.2307/25750690
  8. D'Arcy, J., Hovav, A. and Galletta, D. "User awareness of security countermeasures and its impact on information systems misuse: A deterrence approach,"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0, no. 1, pp. 79-98, Mar. 2009. https://doi.org/10.1287/isre.1070.0160
  9. Herath, T. and Rao, H. R. "Protection motivation and deterrence: a framework for security policy compliance in organisations,"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8, no. 2, pp. 106-125, April 2009. https://doi.org/10.1057/ejis.2009.6
  10. Ifinedo, P. "Understanding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policy compliance: An integr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Computers & Security, vol. 31, no.1, pp. 83-95, Feb. 2012. https://doi.org/10.1016/j.cose.2011.10.007
  11. Hwang, I., Kim, D., Kim, T. and Kim, J. "Effect of security culture on security compliance and knowledge of employees," Information Systems Review, 18(1), pp. 1-23, Mar. 2016. https://doi.org/10.14329/isr.2016.18.1.001
  12. Knapp, K. J., Marshall, T. E., Kelly Rainer, R. and Nelson Ford, F.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s effect on culture and policy," Information Management & Computer Security, vol. 14, no.1, pp. 24-36, Jan. 2006. https://doi.org/10.1108/09685220610648355
  13. Ernest Chang, S., and Lin, C. S. "Exploring organizational culture for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Industrial Management & Data Systems, vol. 107, no. 3, pp. 438-458, April 2007. https://doi.org/10.1108/02635570710734316
  14. Molm, L. D. "Structure, action, and outcomes: The dynamics of power in social ex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ol. 55, no. 3, pp. 427-447. June 1990. https://doi.org/10.2307/2095767
  15. Hu, Q., Xu, Z., Dinev, T. and Ling, H. "Does deterrence work in reducing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buse by employee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54, no. 6, pp. 54-60, June 2011. https://doi.org/10.1145/1953122.1953142
  16. Hsu, J. S. C., Shih, S. P., Hung, Y. W. and Lowry, P. B. "The role of extra-role behaviors and social controls in information security policy effectiveness,"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vol. 26, no. 2, pp. 282-300, June 2015. https://doi.org/10.1287/isre.2015.0569
  17. McIlwraith, A. Information Security and Employee Behaviour: How to Reduce Risk Through Employee Education. Training and Awareness, 2nd Ed., Routledge, Aug. 2021.
  18. Schein, E. H. and Schein, P. A. The corporate culture survival guide, 3rd Ed., John Wiley & Sons, June 2019.
  19. Niekerk, J. A., and Solms, R. V. "Understanding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 conceptual framework," Proceedings of the ISSA 2006 from Insights to Foresight Conference, pp. 21-30, July 2006.
  20. Humaidi, N. and Balakrishnan, V. "Leadership styles and information security compliance behavior: The mediator effect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and Education Technology, vol. 5, no. 4, pp. 311-318, April 2015. https://doi.org/10.7763/IJIET.2015.V5.522
  21. Bass, B. M. and Avolio, B. J. Improv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age, Nov. 1993.
  22. Karlsson, F., Astrom, J. and Karlsson, M.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state-of-the-art review between 2000 and 2013," Information & Computer Security, vol. 23, no.3, pp. 246-285, July 2015. https://doi.org/10.1108/ICS-05-2014-0033
  23. Alhogail, A. and Mirza, A.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 definition and a literature review," In 2014 World Congress on Computer Applications and Information Systems(WCCAIS), pp. 1-7, Jan. 2014.
  24. Kim, H. J. and Ahn, J. H. "An Empirical Study of Employee's Deviant Behavior for Improving Efficiency of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Journal of Society fore-Business Studies, 18(1), Feb. 2013.
  25. Schlienger, T. and Teufel, S. "Information security culture-from analysis to change," South African Computer Journal, vol. 2003, no.31, pp. 46-52, Dec. 2003.
  26. Martins, A. and Elofe, J.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Secur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Springer, Boston, MA, May 2002.
  27. Alnatheer, M., Chan, T. and Nelson, K. "Understanding and measuring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Proceedings of the 16th Pacific Asia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PACIS), 144. July 2012.
  28. Nasir, A., Abdullah Arshah, R. and Ab Hamid, M. R. "A dimension-based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model and its relationship with employees' security behavior: A case study in Malaysian higher educational institutions," Information Security Journal: A Global Perspective, vol. 28, no. 3, pp. 55-80, July 2019. https://doi.org/10.1080/19393555.2019.1643956
  29. Burns, J. M. Leadership. Open Road Media, April 2012.
  30. Jung, D. I. and Sosik, J. J.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 work groups: The role of empowerment, cohesiveness, and collective-efficacy on perceived group performance," Small group research, vol. 33, no. 3, pp. 313-336, June 2002. https://doi.org/10.1177/10496402033003002
  31. Bass, B. 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Free Press, May 1985.
  32. Bass, B. M., Avolio, B. J., Jung, D. I. and Bergson, Y. "Predicting unit performance by assessing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8, no. 2, pp. 207-218, April 2003. https://doi.org/10.1037/0021-9010.88.2.207
  33. Bono, J. E. and Judge, T. A. "Personality and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9, no.5, pp. 901-910, Oct. 2004. https://doi.org/10.1037/0021-9010.89.5.901
  34. Liu, J., Siu, O. L. and Shi, K.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trust in the leader and self- efficacy," Applied Psychology, vol. 59, no.3, pp. 454-479, July 2010. https://doi.org/10.1111/j.1464-0597.2009.00407.x
  35. Rafferty, A. E. and Griffin, M. A. "Dimension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ceptual and empirical extension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15, no.3, pp. 329-354, June 2004. https://doi.org/10.1016/j.leaqua.2004.02.009
  36. Stewart, J.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 evolving concept examined through the works of Burns, Bass, Avolio, and Leithwood," Canadi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Policy, 54, pp.1-29, June 2006.
  37. Avolio, B. J., Bass, B. M. and Jung, D. I. "Re-examining the component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using the Multifactor Leadership,"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72, no.4, pp. 441-462, Dec. 1999. https://doi.org/10.1348/096317999166789
  38. Bass, B. M., Waldman, D. A., Avolio,B. J. and Bebb, 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falling dominoes effect," Group & Organization Studies, vol. 12. no.1, pp. 73-87, Mar. 1987. https://doi.org/10.1177/105960118701200106
  39. Geijsel, F., Sleegers, P., Leithwood,K. and Jantzi, 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ffects on teachers' commitment and effort toward school reform,"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vol. 41, no.3, pp.228-256. June 2003. https://doi.org/10.1108/09578230310474403
  40. Sadeghi, A. and Pihie, Z. A. L.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its predictive effects on leadership effectivenes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Social Science, vol. 3, no.7, pp. 186-197, April 2012.
  41. Kim, Woo-Jin and Seo, Won-Seok.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tel Employees: Focused on the Moderating Role of Empowerment,"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19(3), pp. 173-198. June 2010.
  42. Ko, S. S. and Lee, C. W.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leadership styles for each rank in Korea's national defense organization," korean Journal of association for policy sciences, 15(2), pp. 111-139, June 2011.
  43. Zhu, Y. "Individual behavior: In-role and extra-role,"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 4, no.1, pp. 23-27, Jan. 2013.
  44. Boss, S. R., Kirsch, L. J., Angermeier, I., Shingler, R. A. and Boss, R. W. "If someone is watching, I'll do what I'm asked: mandatoriness, control, and information security," European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 18, no.2, pp. 151-164, April 2009. https://doi.org/10.1057/ejis.2009.8
  45. Posey, C., Roberts, T. L., Lowry, P. B., Bennett, R. J. and Courtney, J. F. "Insiders' protection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assets: development of a systematics-based taxonomy and theory of diversity for protection-motivated behaviors," MIS Quarterly, pp. 1189-1210, Dec. 2013. https://doi.org/10.2307/41703504
  46. Wall, J. D., Palvia, P. and Lowry, P. B. "Control-related motivations and information security policy compliance: The role of autonomy and efficacy," Journal of Information Privacy and Security, vol. 9, no.4, pp. 52-79, 2013. https://doi.org/10.1080/15536548.2013.10845690
  47. Van Dyne, L. and LePine, J. A. "Helping and voice extra-role behaviors: Evidence of construct and predictive valid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1, no.1, pp. 108-119, Feb. 1998. https://doi.org/10.2307/256902
  48. Ngo, L., Zhou, W., Chonka, A. and Singh, J. "Assessing the level of IT security culture improvement: Results from three Australian SMEs," In 2009 35th Annual Conference of IEEE Industrial Electronics, pp. 3189-3195, Nov. 2009.
  49. D'Arcy, J. and Greene, G. "Security culture and the employment relationship as drivers of employees' security compliance," Information Management & Computer Security, vol. 22, no.5, pp. 474-489, Nov. 2014. https://doi.org/10.1108/IMCS-08-2013-0057
  50. Kwon, J. S. "The influence of innovative organization culture to human resource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26, no.1, pp. 153-182, 2011. https://doi.org/10.22903/JBR.2011.26.1.153
  51. Jaeger, L. and Eckhardt, A. "When Colleagues Fail: Examining the Role of Information Security Awareness on Extra-Role Security Behaviors," Proceedings of the Twenty-Sixth European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ECIS), 124, June 2018.
  52. Park, J. and Kim, B.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Information Security Climate on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Participation Behavior," The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29(4), pp. 57-76, Dec. 2020. https://doi.org/10.5859/KAIS.2020.29.4.57
  53. Kessler, S. R., Pindek, S., Kleinman, G., Andel, S. A. and Spector, P. E. "Information security climate and the assessment of information security risk among healthcare employees," Health informatics journal, vol. 26, no.1, pp. 461-473, Mar. 2020. https://doi.org/10.1177/1460458219832048
  54. Lebek, B., Guhr, N. and Breitner, M.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s' Information Security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Motivation and Climate," Proceedings of the 35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formation Systems (ICIS), Dec. 2014.
  55. Podsakoff, P. M., MacKenzie, S. B., Moorman, R. H. and Fetter, R. "Transformational leader behaviors and their effects on followers' trust in leader,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1, no.2, pp. 107-142, 1990. https://doi.org/10.1016/1048-9843(90)90009-7
  56. Guhr, N., Lebek, B. and Breitner, M. H. "The impact of leadership on employees' intended information security behaviour: An examination of the full-range leadership theory," Information Systems Journal, vol. 29, no.2, pp. 340-362, Mar. 2019. https://doi.org/10.1111/isj.12202
  57. Fornell, C. and Larcker, D. F.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1, pp. 39-50, Feb. 1981. https://doi.org/10.2307/3151312
  58. D'Arcy, J. and Greene, G. "The multifaceted nature of security culture and its influence on end user behavior," In Proceedings of IFIP TC8 International Workshop on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Research, pp. 145-15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