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oss-sectional perception studies of children's monosyllabic word by naive listeners

일반 청자의 아동 발화 단음절에 대한 교차 지각 분석

  • Ha, Seunghee (Division of Speech Pathology and Audiology, Hallym University) ;
  • So, Jungmi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Sogang University) ;
  • Yoon, Tae-Jin (Department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Sungshin Women's University)
  • 하승희 (한림대학교 언어청각학부) ;
  • 소정민 (서강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윤태진 (성신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 Received : 2022.01.25
  • Accepted : 2022.03.06
  • Published : 2022.03.31

Abstract

Previous studies have provided important findings on children's speech production development. They have revealed that essentially all aspects of children's speech shift toward adult-like characteristics over time. Nevertheless, few studies have examined the perceptual aspects of children's speech tokens, as perceived by naive adult listeners. To fill the gap between children's production and adults' perception, we conducted cross-sectional perceptual studies of monosyllabic words produced by children aged two to six years. Monosyllabic words in the consonant-vowel-consonant form were extracted from children's speech samples and presented aurally to five listener groups (20 listeners in total). Generally, the agreement rate between children's production of target words and adult listeners' responses increases with age. The perceptual responses to tokens produced by two-year old children induced the largest discrepancies and the responses to words produced by six years olds agreed the most. Further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sources of disagreement, including the types of segments and syllable structure. This study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and perception of children's speech across age groups.

자음의 정확도와 습득 시기에 관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은 상당히 많은 반면, 유아 혹은 아동의 발화를 대상으로 한 비전문가 혹은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지각 실험은 상당히 빈약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공백을 채우기 위해 2세에서 6세 사이의 아동들이 자신들에게 친숙하다고 판단되는 단음절 단어를 발화하게 하여, 이 단음절 단어를 자극으로 사용하여 일반 성인화자들을 대상으로 교차 지각 실험을 수행되었다. CVC 형태의 단음절 단어들은 2-6세 사이의 아동들의 발화에서 추출되었으며, 전체 20명으로 구성된 성인 화자들을 5 그룹으로 나누어, 아동 발화를 들리는 대로 받아 적게 하는 과업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위해서는 다음의 3가지 조건을 상정하여 분석하였다: (1) VC를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초성 자음만 아동의 조음과 성인의 화자가 일치하는 조건, (2) 종성은 고려하지 않으면서 CV 형태만 조음과 지각이 일치하는 조건, 그리고 (3) CVC 형태인 단어 전체의 조음과 지각이 일치하는 조건.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단어 전체의 일치도가 가장 낮았으며, 초성만 고려했을 때의 일치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일반적인 경향은 아동들의 나이가 많아짐에 따라 아동의 발화와 성인의 지각 반응 사이에 일치도가 높아졌다. 하지만 아동 자음의 습득 연령이 빠르면 2세부터 시작되어 5세 정도면 거의 완성된다고 보고한 전문가들의 진단과는 달리, 일반 성인 화자들은 아동의 발화에 대해서 적어도 5세 정도는 되어야 75% 정도의 일치도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아동의 언어 발달 과정에서 관찰되는 일반 성인들의 지각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즉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아동의 말소리 습득과 관련하여 전문가의 정확한 판단과 아동을 양육하는 부모 혹은 전문가가 아닌 일반 성인의 지각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다. 아동 발달 과정에서 5세 전의 아동들에게서 다소 알아듣기 힘든 단어나 자음이 관찰되더라도, 이는 말소리 지연이나 언어 장애와 관련된 현상은 아니라, 아동의 말소리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성인이 가지는 지각의 한계일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2021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1S1A5A2A03064795).

References

  1. Bernthal, J. E., Bankson, N. W., & Flipsen, P., Jr. (2016). Articulation and phonological disorders: Speech sound disorders in children (8th ed.). Boston, MA: Pearson.
  2. Choi, M. S., & Kim, S. J. (2013). Morphological influences on liquid acquisition in Korean children's spontaneous speech.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8(1), 76-85. https://doi.org/10.12963/csd.13008
  3. Ha, S., Kim, M., & Pi, M. (2019).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age of acquisition of consonants in Korean-speaking children in one-syllable word contexts.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24(2), 460-468. https://doi.org/10.12963/csd.19609
  4. Kaiser, E., Munson, B., Li, F., Holliday, J., Beckman, M., Edwards, J., & Schellinger, S. (2009). Why do adults vary in how categorically they rate the accuracy of children's speech.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25, 27-53. https://doi.org/10.1121/1.2939125
  5. Kim, M., Kim, S. J., & Stoel-Gammon, C. (2016). Phonological acquisition of Korean consonants in conversational speech produced by young Korean children. Journal of Child Language, 44(4), 1010-1023. https://doi.org/10.1017/S0305000916000258
  6. Kim, M., Kim, S. J., & Stoel-Gammon, C. (2020).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speaking children with phonological disorders: Preliminary results.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43(1), 32-41.
  7. Kim, M., & Stoel-Gammon, C. (2011). Phonological development of word-initial Korean obstruents in young Korean children. Journal of Child Language, 38(2), 316-340. https://doi.org/10.1017/S0305000909990353
  8. Kim, M. J., & Pae, S. Y. (2005). The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nd the ages of consonantal aquisition for 'Korean-Test of Articulation for Children (K-TAC)'. Speech Sciences, 12(2), 139-149.
  9. Kim, S. J., Lee, S., & Hong, G. H. (2017). A longitudinal study of phonological development in Korean late-talkers.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9(4), 115-122. https://doi.org/10.13064/KSSS.2017.9.4.115
  10. Kim, Y. T. (1996). Study on consonant accuracy of preschool children using shadow tone test.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1, 7-33.
  11. McCormack, J., Harrison, L. J., McLeod, S., & McAllister, L. (2011).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tudy of the association between communication impairment at 4-5 years and children's life activities at 7-9 years.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54(5), 1328-1348. https://doi.org/10.1044/1092-4388(2011/10-0155)
  12. Munson, B., Johnson, J. M., & Edwards, J. (2012). The role of experience in the perception of phonetic detail in children's speech: A comparison between speech-language pathologists and clinically untrained listeners.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21(2), 124-139. https://doi.org/10.1044/1058-0360(2011/11-0009)
  13. Wolfe, V., Martin, D., Borton, T., & Youngblood, H. C. (2003). The effect of clinical experience on cue trading for the /r-w/ contrast. American Journal of Speech-Language Pathology, 12(2), 221-228. https://doi.org/10.1044/1058-0360(2003/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