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이 주민참여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 중심으로

The Effect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based Urban Regeneration 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 Focusing on Incheon Open Port Cultural District

  • 정영미 (사단법인 인천도시경영연구원 )
  • 발행 : 2022.12.15

초록

This study, the meaning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utilization in urban regeneration was examined and in the proces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was verified through path analysis among physical, cultural, social, and economic fact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ain variables of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which the moderating effect of economic factors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mediating effec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Furthermore, by presenting a more integrated and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olicy plan, it is intended to ultimately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and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호․김선명․이계민․이도석 (2014), 지역 역사문화 및 생태지원의 개발 진단 및 활용방안, 「한국지방지학회보」.
  2. 강현(2020), 도시재생과 삶의 질의 관계 : 범죄예방 전략과 지역 무질서모델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권은혜(2017), 도시재생에서 주민의 자주적 관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주민참여 정도와 공동체의식 수준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김미영(2015), 현대사회에 존재하는 공동체의 여러 형식, 「사회와 이론」 27:181-218.
  5. 김향집(2011), 역사문화지원과 연계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재생 방안, 「한국지역개발학회지」.
  6. 김환호(2021), 지역주민의 도시재생사업의 인식이 주민참여와 주민만족에 미치는 영향
  7. 라도삼(2014), 문화를 통한 도시경쟁력 강화 방안, 「국토」, 2:22-29.
  8. 박종현(2019), 도시재생사업의 특성요인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시 근린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9. 송희영(2012),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기회 연구, 「예술경영연구」, 24:73-96.
  10. 신선미(2018), 장소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 인천광역시 중구 개항장 일대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20-60.
  11. 심응섭(2004), 21세기를 맞이한 지방문화육성 전략, 「한국정책과학학회보」, 8(3):23-45.
  12. 이권희(2018),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의 활용이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이권희.박종화. (2015),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이 도시민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 : 대구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의 경험. 「국토연구」.
  14. 이범훈.김경배(2010), 인천 개항장의 장소 만들기 실태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11권 5호, p95-112.
  15. 정남지(2016), 개항문화지구 내 문화자본 현황분석 및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 제안, 인천발전연구원 연구보고서.
  16. 조명래(2011), 문화적 도시재생과 공공성의 회복, 한국적 도시재생에 관한 비판적 성찰, 공간과 사회, 21권 3호, p 39-65.
  17. 채성만(2020), 서울시 도시재생사업이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8. 최준호,송건섭 (2001), "행정서비스를 통한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의 삶의 질 연구: 대구광역시와 경산시 비교", 한국행정학회, p. 525-543.
  19. 이영균․김동규(2007), 지역 주민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 p223-250.
  20. 최막중.김미옥 (2001), 장소성을 형성요인과 경제적 가치에 관한 실증분석 : 대학가 로데오거리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계획학회지」, 36(2): 153-162
  21. Lehmen., A. F. (1998), A Quality of Life interview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ill, Valuation program Planning 11
  22. Offe (1985), Disorganized Capitalism: Contemporary Trans formation of Workand Politics, The MIT Press.ublications.
  23. Pavot, W. & Diener, E. (1993), "Review of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Psychological Assessment, 5
  24. Roberts, P. W., & Sykes, H. (2000),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Publications.
  25.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s://know.tour.go.kr
  26. 인천광역시 https://www.incheon.go.kr
  27. 인천광역시 중구청 https://www.icjg.go.kr
  28. 국토교통부 통계청,
  29. 인천광역시 중구 (2016), 근대건축물 보수, 복원지원홍보물
  30. 인천발전연구원(2016), 인천을 읽다 : 인천개항장 가치상승 프로젝트, 인천:도서출판 다이아트.
  31. 인천광역시 중구 지원 및 관리조례
  32. 인천발전연구원, (2014), 도시재생과 연계한 융합 관광육성방안 연구, p38-50
  33. 인천발전연구원 (2016), 개항문화지구내 문화자본 현황분석 및 문화예술 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책제언
  34. 인천광역시 문화도시 종합발전계획 (2017)